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Four levels of the Twofold Truth in the East Asian Yogacara School

        Shigeki Moro(모로 시게키(師茂樹))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Truth is one of the central subjects not only in philosophy but also in religion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theory of twofold truth, one of the representative theories in the Mahayana Buddhism, especiall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Zenju 善珠 (732-797), an eminent scholar monk of the Japanese Yogacara (Hosso) school in the Nara period. Based on Ji 基 (632-682) and Woncheuk 圓測 (613-696), Zenju explains four levels of the twofold truth which classifies the twofold truth (the conventional truth and the ultimate truth) under four levels respectively. He states that both verbal conventions and realities are the foundation of the truths (satya), and those eightfold truth forms a mutually linked system. The theory of four levels of the twofold truth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tuvidya or Buddhist logic. Zenju states that the restriction of the proof of vijnaptimatrata, zhengu 眞故 or “in the ultimate truth,” corresponds to the first three of four levels of the ultimate truth: the conventional ultimate truth, the ultimate truth based on real principles, and the ultimate truth based on realization. In verbal communication or debate with logical expressions, Zenju allows plural truths corresponding to opponents, including those of religions or thoughts other than Buddhism. 진리 (諦, truth)는 철학뿐만이 아니라 종교에서도 중요한 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인 이제설 (二諦說)을 다루는데, 특히 나라(奈良)시대의 일본 법상종 (法相, Hosso)에서 뛰어난 학자이자 승려인 젠주(善珠, 732-797)의 해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젠주는 기(基, 632-682) 와 원측 (圓測, 613-696)의 해석에 기반하여, 사중(四重) 각각을 세속제 (世俗諦)와 승의제 (勝義諦 )의 이제 (二諦)로 분류한 사중이제 (四重二諦)에 대해 설명한다. 그는 언설상(言說相)과 진(眞)은 제(諦, satya)의 토대이고, 이러한 여덟 개의 제는 상호적으로 연결된 체계를 형성한다고 서술한다. 사중이제설은 인명(因明, hetuvidya) 이나 불교논리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젠주는 유식비량(唯識比量)의 분별인 진고(眞故) 또는 취승의(就勝義)는 진제의 사중에서 앞의 세 가지인 세간승의제(世間勝義諦), 도리승의제(道理勝義諦, 증득승의제(證得勝義諦)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그는 논리식을 포함한 언어적 소통이나 논쟁에서, 불교 이외의 다른 종교나 사상을 포함한 상대[対論者]에 상응하는 다수의 제(諦)를 허용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