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장 충격시 기업특성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장승욱(Seung-Wook Jang),임병진(Byung-Jin Y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1 경영연구 Vol.26 No.2

        시장 충격에 대한 많은 기존 연구들은 시장 충격의 원인과 시장 충격 기간 동안의 주가지수의 변동성과 동조화 현상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시장 충격 시 개별 기업의 특성 요인들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미미한 수준이다. 또한 CAPM 모형과 3요인 모형을 검증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정상적 기간을 대상으로 검증한 연구로 시장 충격 시를 대상으로 모형을 검증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3요인이 시장 하락 충격 시에도 주식수익률의 설명요인으로 타당한가를 살펴보고, 주식시장의 하락 충격 시 개별 기업의 고유 요인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베타와 시장가치대 장부가치 변수는 모든 시장 충격에서 동일하게 주식수익률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주식수익률의 설명변수로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규모변수의 경우에는 2001년 시장 충격을 제외하고는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특성변수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사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현금 비율과 수익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시장 충격 시 수익률의 하락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예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식의 유동성, 주식수익률의 표준편차 및 누적수익률 등이 시장 충격 시 개별 주식수익률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별기업의 특성변수는 시장 충격별로 상이한 결과가 나타나 개별 기업의 특성이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시장 충격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1997년 충격의 경우에는 수익성 변수가 유의적으로 그리고 부채비율 및 누적수익률 변수는 부분적으로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1년 충격의 경우에는 주식유동성과 누적수익률이 그리고 2008년 충격 시에는 주식수익률의 표준편차와 누적수익률이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A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causes and effects of stock market crashes. These studies mainly focus on the factors leading to a crash and on the volatility and co-movements of stock market indexes during and after the crash.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s of several characteristics on stock returns in 3 major stock market crashes with data for a large sample of firms using the event-study methodology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 find that stocks with higher beta and lower MVB have significantly lower returns in stock market crashes. Also, we find that cash ratio, EBITDA, liquidity, standard deviation of stock and cumulative return affects in return. Meanwhile, verification of firm characteristics result comes out differently by market crashes.

      • KCI등재

        외항 화물운송업의 재무분석 및 성과에 미치는 요인 연구

        장승욱 ( Jang Seung-wook ),안우철 ( Ahn Woo-chul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8 해운물류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외항 화물운송기업을 대상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보유 선박 유형에 따른 기업의 재무적 특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보유 선박 유형을 LNG선, LPG선, 벌크선, 원유석유제품류운반선, 일반화물선, 풀컨테이너선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외항 화물운송기업의 전체 부채비율이 다소 증가하고 있으며, 보유 선박유형별 재무적 특성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의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특히 LPG선은 기업규모와 부채비율, 벌크선은 성장률, 일반화물선은 기업규모, 부채비율, 연수, 마지막으로 풀컨테이너선은 기업규모, 성장률, 부채비율, 접대비비율 및 연수가 총자산순이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해운선사들은 보유선박유형에 따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재무적 요인들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에 따른 선제적 조치와 선박포트폴리오의 다각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Using data from 2008 to 2017, this study analyzed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offshore freight shipping companies in Korea, categorized by vessel type, and their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analysis showed an upward trend in the overall debt ratio of offshore freight transport companies and differences in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each vessel type as well as the major factors affecting business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ROA performance of the business are the size of business and debt ratio in the LPG line; the growth rate in the bulk line; the size of business, debt ratio, and year in the general freight line; and the size of business, growth rate, entertainment expense rate, debt ratio, and year in the full container line. Therefore, each shipping company needs to recognize differences in key financial factors affecting its performance based on vessel type, implement proactive measures, and diversify its vessel portfolio.

      • KCI등재

        투자심리가 위험-수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승욱(Seung Wook Jang),안승철(Seung Cheol An)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경영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how the influence of investor sentiment on the market's mean-variance tradeoff. In this paper, we use KOSPI, KOSPI50, KOSPI100, KOSPI200, LARGE INDEX, MEDIUM INDEX, and SMALL INDEX. These data are obtained from KRX(Korea Exchange) for the period January 1 2003 to December 30 2010. And we use GFI and VKOSPI as a investor sentiment index substitute. In the study volatility modes are rolling window model, GARCH and TGARCH. We find that the moments of returns and realized variance are different between the low and high sentiment regimes. This study shows that the mean-variance tradeoff is impacted by investor sentiment: High sentiment undermines an otherwise positive tradeoff. The empirical evidence is consistent with a large influence of sentiment traders during high-sentiment periods and the intuition that sentiment traders can undermine the risk-return tradeoff.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시장을 대상으로 투자자의 투자심리가 위험-수익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2003년 1월 3일부터 2010년 12월 30일까지 KOSPI, KOSPI50, KOSPI100, KOSPI200, 대형주 지수, 중형주 지수 및 소형주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투자심리의 대용치로 GFI와 코스피변동성지수(VKOSPI)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변동성의 측정은 3가지 방법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먼저, 과거 20일 동안의 각 지수별 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일별 분산, 조건부 이분산을 고려한 GARCH 모형 그리고 비대칭적 변동성을 고려한 TGARCH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험-수익상충관계를 검증한 결과에서 투자심리를 고려하지 않는 모형의 경우는 모든 지수에서 분산의 추정계수(b)의 값이 비유의적인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위험-수익 상충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투자심리를 고려한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대부분의 지수에서 분산의 추정계수(b1)의 값이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심리가 위험-수익 상충관계에 다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투자심리의 추정계수(b2)의 값이 모든 지수에서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심리가 주식수익률에 정(+)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투자심리와 변동성간의 상호작용항의 추정계수(b2) 값이 예상과 일치하게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심리가 높은 시점에 투자심리가 위험-수익 상충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과 일치하고 있다. 예상치 못한 변동성의 충격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예상치 못한 변동성의 추정계수(c₁)의 값이 대부분의 지수에서 비유의적인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투자심리와 예상치 못한 변동성의 충격간의 상호작용항의 추정계수(c₂)는 모든 지수에서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심리가 높은 시점에서 예상치 못한 변동성의 증가는 수익률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기업의 고유위험이 투자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장승욱(Jang, Seung-Wook),윤상용(Yun, Sang-Yong)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經營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기업 고유위험의 증가가 기업 투자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기업 소유구조에 따라 그 영향력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시장모형을 활용하여 기업 고유위험의 추정치를 구한 후,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투자율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유위험의 추정계수가 모든 분석모형에서 유의적인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 고유위험의 증가가 투자감소를 가져올 것이라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력이 기업 소유구조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한 결과에서, 최대주주 지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고유위험 증가에 따른 투자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고,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율이 낮은 기업일수록 투자감소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업경영에서 투자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고유의 특성요인들, 즉 경영자 특성, 소유구조 등이 비중 있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In frictionless capital markets, only the systematic risk is relevant for investment decisions. Thus, idiosyncratic risk (unsystematic risk) should not affect the valuation of investment projects, as long as firm owners are diversified and managers maximize shareholder value. But many researche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idiosyncratic risk and investment for publicly traded firms. In this paper, we find that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m is stronger when managers own a larger fraction of the firm. High-powered incentives may expose managers to idiosyncratic risk. Also, if managers are risk averse, they might under-invest when firm-specific uncertainty increases. The negative effect of managerial risk aversion on investment is mitigated if executives are compensated with options rather than with shares or if institutional investors from a large part of the shareholder base.

      • 경기 전망에 대한 지역별 인식 비교 분석

        장승욱(Jang, Seung Wook)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13 영상저널 Vol.6 No.1

        본 연구는 기업경기실사지수와 소비자동향지수를 이용하여 대구 경북의 기업들과 소비자들의 설문 조사의 결과와 전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두 지수간 상호관련성과 영향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모형으로는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과 변수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존재여부판정을 위한 공적분(cointegration)검정을 하였다. 그리고 기업경기실사지수와 소비자동향지수간 상호영향력 분석을 위한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을 이용하였다. BSI의 기초통계량을 살펴보면,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비해 대구경북의 지수가 모든 부분에서 낮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수의 변동성의 경우에는 대구경북의 지수의 변동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CSI의 기초통계량을 살펴보면, BSI의 결과와는 달리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CSI에 비해 대구경북의 CSI가 더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대구경북의 기업들이 전국의 기업들에 비해 경기전망에 대해 보다 부정적인 의견을 갖는 기업들이 많은 반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대구경북의 소비자들이 전국의 소비자들에 비해 경기전망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의견을 갖는 소비자들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SI를 대상으로 전국의 BSI와 대구경북의 BSI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83으로 나타났으며, CSI를 대상으로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0.9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두 지수의 시계열이 안정적 과정을 따르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각 변수에 대해 ADF(Augmented Dickey Fuller)와 PP(Phillips and Perron) 단위근 검정결과, 차분 BSI와 CSI 변수는 단위근이 있다는 귀무가설을 유의적으로 기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안정적 시계열 자료임을 알 수 있다. 두 시계열간 공적분의 존재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Johansen의 공적분검정을 수행한 결과, 두 변수간에는 적어도 1개의 공적분 관계가 존재함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BSI와 CSI간에 공적분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은 상호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SI와 CSI간의 상호관련성과 영향력 파악을 위해 VAR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의 BSI는 당기의 BSI 뿐만 아니라 당기 CSI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전기 BSI의 영향력은 당기 BSI보다 당기 CSI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 경북 지수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BSI는 CSI의 선행 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region recognize of business outlook concentrate upon Daugu and Gyeongbuk and study on the effects between the BSI and CSI. Daegu and Gyeongbuk" BSI showed compared to the results of nationwide survey of index appeared to have a low value in all parts, higher volatility of the BSI compared to a nationwide survey. And Daegu and Gyeongbuk" CSI appeared to have a high value compared to the nation"s. We examine the interdependence of the BSI and CSI. We employ impulse response function based on VAR model as well as variance decomposition after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test. The finding that many macro time series may contain a unit root has spurre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non-stationary time series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tionwide" and Daegu-Gyeongbuk"s BSI showed 0.83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tionwide" and Daegu-Gyeongbuk"s CSI showed 0.97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is research showed following main results. From basic statistic analysis, both the BSI and CSI have unit roots, Secon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them. Between BSI and CSI to determine the relevance and influence of VAR models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BSI(0) and BSI(-1) affects the CSI. Daegu-Gyeongbuk" index analysis results also showed the same results. Therefore we know that BSI play role leading variable of CSI.

      • KCI등재
      •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the Corporate Debt Funding Source Decision : The Determinants of between Public and Private Placed Debt : 기업의 회사채 조달원천의 선택에 관한 연구 : 공모발행과 사모발행 의사결정변수의 탐색

        Seung-Cheol An(안승철),Seung-Wook Jang(장승욱),金鍾斗, 李詳鎬 한국산업경영학회 2003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between public and privately placed debt that the nearest privately issue augment in an alarming way. Determinants of privately issue are presumed information asymmetry, financial risk, agent cost, issue cost, and proprietary information. We force in this study on incremental financing decisions and estimate a logit model for the probability a firm will choose a private placement over a public debt issue.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ly issue firms for information asymmetry variable(size and age). The ratio of leverage was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ly issue firms, means the more high ratio of leverage, the more select privately placed debt. The PER was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ly issue firms, means firms of high PER select private issue than public. However, Tobin"s Q ratio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variable of issue cost was negati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ly issue firms, means firms of high issue size select public issue than private. The ratio of R&D to sales, proxy for proprietary information was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ly issue firms, means firms of high ratio of R&D to sales select private issue than public. Dummy 1 variable was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ly issue firms, means firms of speculation rank select private issue than public. Interaction variable that dummy variable with PER was significant differences means, firms of the high PER and low credit rank more select private issue than public.

      • KCI등재

        원주와 DR의 가격괴리에 관한 실증연구

        김용현(Kim, Yong-Hyeon),장승욱(Jang, Seung-Wook)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1 No.3

        This paper studies the price differential between original stock and depository receipt in Korea. More importantly, current paper examines the relevance of the investors’ sentiment hypothesis, the exchange rate hypothesis, the investors’ attitudes toward risks hypothesis, the information asymmetry hypothesis, and the arbitrage transaction hypothesis. For this, determinants of the price differentials a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whole depository receipt (DR) sample, American depository receipt (ADR) and global depository receipt (GDR) samples, and impact of financial crisi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investors’ sentiment hypothesis and the exchange rate hypothesis are partially supported, and the investors’ attitudes toward risks hypothesis are consistently supported. Coll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vestors’ attitudes toward risks hypothesis plays significant role in explaining the price differential between original stock and depository receipt among the existing hypotheses.

      • KCI등재

        기업의 CSR과 장기 재무성과

        김용현(Kim, Yong-Hyeon),장승욱(Jang, Seung-Wook),강지은(Kang, Ji-Eun) 글로벌경영학회 201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2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and its long-run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Korea. Whereas previous studies focused the relationship mainly based on measures of ROA, ROE, and Tobin’s Q, our research employs three measures of stock returns, Tobin’s Q, and operating performance on long-term basis. Also, this paper deliberately uses the methodology of fixed-effects model with 1-year lag to alleviate the endogeneity problem. We report that the firms with superior CSR performance have insignificantly higher stock returns compared to their matching firms, which is partly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We also report that the superior firms have higher Tobin’s Q and operat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ir matching inferior firms,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Finally, we show that the CSR activ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obin’s Q. Overall,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firms can improve long-run financial performance with CSR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