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당뇨병이 없는 성인에서의 당화 혈색소 농도와 관련된 인자

        황승욱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2002 제주생명과학연구 Vol.5 No.-

        연구배경 : 당화 혈색소는 최근 2∼3개월 동안의 혈당 농도를 반영하며, 당뇨병 환자들에서의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미세혈관 합병증의 예측인자이기도 하다. 최근 연구들에서 당화 혈색소 농도가 당뇨병 환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 있어서 사망률을 예측하는 중요한 인자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당뇨병이 없는 성인들에서 당화 혈색소 농도와 관련된 인자들을 심혈관 위험인자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01년 4월 1일에서부터 2001년 7월 31일까지 일개 대학 병원의 건강 증진 센터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20세 이상의 수진자 중 당뇨병이 없고 혈중 당화 혈색소 농도가 본 건강 증진센터의 정상 상한수치인 7.1%이하인 1,7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들은 성명, 연령, 신장, 체중, 혈압, 공복시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 당화 혈색소가 측정되었고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흡연력이 조사되었다. 당화 혈색소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하여 성별로 t-test또는 ANOVA test로 평균값 비교를 한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인자들에 대하여 당화 혈색소를 4분위수로 나눈 후 중회귀 로짓 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가장 낮은 당화 혈색소의 제1구간에 대한 가장 높은 제 4간의 당화 혈색소의 교차비를 구하였다. 결과 : 성별로 각 인자들에 대한 당화 혈색소 농도의 평균값 분석시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연령과 체질량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당화 혈색소 농도의 평균의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남성에서는 총콜레스테롤 240㎎/㎗ 이상, 중성지방 200㎎/㎗ 이상, 고밀도콜레스테롤, 공복시 혈당 110㎎/㎗ 이상에서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 35㎎/㎗ 이상에서 평균값이 유의하게 낮았고(P<0.05), 여성에서는 고혈압, 총콜레스테롤 240㎎/㎗ 이상, 중성지방 200㎎/㎗ 이상, 공복시 혈당 110㎎/㎗ 이상에서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고(P<0.05). 남성에서의 흡연, 고혈압, 여성에서의 흡연, 고밀도콜레스테롤에 대한 당화 혈색소 농도의 평균값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로지스틱 다중회귀 분석으로 교차비를 구하였을 때, 남성과 여성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당화 혈색소 농도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비만, 총콜레스테롤 240㎎/㎗ 이상, 공복시 혈당 110㎎/㎗ 이상의 변수들에서 당화 혈색소 농도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남서에서는 고밀도콜레스테롤 35㎎/㎗ 이상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 본 연구에서 당뇨병이 없는 성인에서 당화 혈색소 농도와 관련된 인자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는 연령의 증가,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 공복시 혈당능 장애이며, 남성에서의 저고밀도콜레스테롤혈증도 관련이 있었다. Backgroud :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HbA1c) is an indicator of averag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over 2-3 months, and in diabetes patients, it i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 In recent studies,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 is predictor of mortality in diabetes patient and people without diabetes. Our study is designed to obtain factors associated glycated hemoglobin in adults without diabetes. Methods : We screened 1778 adults over 20 years who were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a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2001 to July 2001, had no diabetes and had HbA1c below 7.1%. Every subjects were assessed with respect to gender, age, height, weight,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FBS),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HDL)-cholesterol, triglyceride, HbA1c and smoking were assess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actors associated HbA1c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In men and women, as age and BMI were increased. the means of HbA1c is increased and that of HbA1c was higher in higher total cholesterol(≥100㎎/㎗). In men, the means of HbA1c was lower in higher HDL cholesterol(<35㎎/㎗) and in women, that of HbA1c was higher in hypertension.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in men and women as age is increased, the odd ratio of HbA1c is increased, and that of HbA1c was higher in obesity, higher total cholesterol(≥240㎎/㎗), higher FBS(<110㎎/㎗). In men, the odd ratio of HbA1c was lower in higher HDL cholesterol(<35㎎/㎗). Conclusion : factors associated glycated hemoglobin(HbA1c) in adults without diabetes were increasing age, obesity, hypercholesterolemia, impaired fasting glucose in both sex and in men, low HDL cholesterolemia is too associated.

      • KCI등재후보

        서울 강서지역 1개 대학병원에서 성인 급성 신우신염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

        황병연,이재갑,박대원,이연주,김성범,엄중식,손장욱,정희진,김우주,김민자,박승철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목적 : 3년간 서울시 강서지역의 1개 대학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성인 급성 신우신염 환자를 대상으로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고, 향후 급성 신우신염의 초기 경험적 치료 항생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3년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에 상부요로감염으로 내원한 16세 이상 환자 229명의 의무 기록을 검토를 통하여, 인구학적 특성, 원인균, 항생제 감수성, 초기 항생제 사용 양상과 입원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 연구에 포함된 229명을 118명의 단순 신우신염군과 111명의 복잡 신우신염군으로 구분 하였다. 단수 신우신염의 평균 발생 연령은 38.2세와 복잡 신우신염 56.1세로 복잡 신우신염 환자의 연령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양군 모두에서 원인균 중 E. coli의 분리율이 가장 높았으며 항생제 감수성 결과 ampicill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는 높은 내성률을 보였고, ciprofloxacin, gentamicin, cefotaxime에 대한 감수성은 비교적 높았으나 복잡 신우신염의 경우 단순 신우신염에 비하여 ciprofloxacin, gentamicin에 대한 감수성이 다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균 입원 기간, 항생제 투여 기간에 있어서도 복잡 신우신염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 서울의 강서 지역에서 대학병원급에 치료 의뢰되는 단순 급성 신우신염의 치료에 있어 1차 항생제로 3세대 cephalosporin, aminoglycoside, quinolone 중 한가지를 초기 경험적 치료제로 사용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the initial therapeutic regimen for adult patients with acute pyelonephritis (AP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causative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patients with APN. Methods : We reviewed medical charts of 229 APN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at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1st of January. 1999 to 31st of December, 2001. We investigated the demographic data, clinical findings, durations of hospital treatment,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the causative microorganisms and initial antibiotic regimens in patients with APN. Results : In this study, 229 adult patients with APN were classified into simple APN patients (118 patients, 51.5%) and complicated APN patients (111 patients, 48.4%). Mean age of patients with simple APN was 38.2±14.1 years old and that of patients with complicated APN was 56.1±14.9 years old. Mean age of patients with complicated AP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imple APN patients (P<0.0001). Escherichia coli was the most common microorganism both in simple APN (96.7%) group and in complicated APN (90.6%) group.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E. coli was at the low level of ampicillin (31%/20%)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42.6%/34.2%) in each group. In contrast, ciprofloxacin (11.5%/22.7%), gentamicin (16.4%/22%) and cefotaxime (0%/8.2%) resistance remained at relatively lower level. In comparison of simple APN with complicated APN, ciprofloxacin and gentamicin resistances were higher in complicted APN group. Averag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5.9±2.3 days/8.2±4.6 days) and duration of antibiotic use (12.1±3.9 days/15.3±10.0 day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complicated AP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3rd cephalosporin, aminoglycoside or quinolone antibiotic would considered as one of the initial therapeutic regimen for patients with simple APN in southwestern Seoul.

      • 퍼지回歸分析을 利用한 材料費의 評價

        黃承國,朴盈滿,姜鎬郁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1 硏究論文集 Vol.9 No.-

        本論文은 自動車關聯産業에서의 서브어셈블리에 대한 單位當總投入材料費와 總純材料費와의 關係를 評價하는 問題를 다룬다. 投入材料費와 純材料費사이에 퍼지니스가 存在한다고 看做하여, 可能性모델을 根據로 하는 퍼지線形回歸分析을 利用하여 各서브에셈블리의 係數를 퍼지數로 求하는 材料費評價問題를 解決하고자 하는 새로운 手法이다. This paper purposes to estimate the relation between total input material cost and total net material cost of sub-assembly in an automotive industry. We suggest a new method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each sub-assembly which has fuzzy numbers. We used the fuzzy linear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possibility model in the material cost problem.

      • 5-〔3-(N-Substituted Piperazinyl)Propoxy〕Indan類의 合成과 中樞神經抑制效果

        黃熙喆,閔庚鎭,文勝煜,李萬佶,徐丙天 嶺南大學校附設 基礎科學硏究所 1985 基礎科學硏究 Vol.5 No.-

        Five new indans, 5-[3-(N-substitued piperaziny) propxy]indans, were synthesized by condensation of 5-(3-bromopropoxy)indan, the intermediate, and N-substituted piperazines. The structure of the compunds were determined by means of IR, NMR spectoscopy along with elemental analysis. Each compound was tested for antimorphine and antiamphetamine effects as part of CNS depressant effects and for muscle relaxant action in mice. Thes compound exhibited less potent activity compared to chlordiazepoxide on CNS depressant effect. Muscle reaxant action of the compounds, the side effect of tranquilizer, however, was much weaker than that of chlordiazepoxide.

      • 여성호르몬대체요법을 받는 폐경 후 여성에서의 혈청 C-reactive Protein 수치 변화

        황승욱,최국명 제주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2002 제주생명과학연구 Vol.5 No.6

        연구배경: 폐경 후 여성에서 여성호르몬 대체요법 치료는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는 기존에 관상동맥질환을 갖고 있는 폐경 후 여성에서 1년 내의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이 증가했다가 시간경과에 따라 위험이 감수한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한편 혈청 C-reactive protein(CRP)의 등가는 광상동백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인정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을 받는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이 혈청 CRP 수치의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5년 5월 1일부터 2001년 5월 31일까지 일개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1년 정도의 간격으로 연속 3회 이상 건강검진을 받은 여성 188명 중에서 의무기록 열람과 전화조사를 통해 40세 이상 70세 미만으로 일개대학병원 가정의학과에서 처음으로 폐경 후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기 시작한 여성 40면을 대상으로 연도별로 혈중 CRP 수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여성호르몬 대체요법 후의 혈중 CRP 농도는 고혈압 군에서 1년후의 CRP의 증가가 있었으나(P<0.05). 2년 후에는 기저수치에 비해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비고혈압 군에서는 1년 후와 2년 후 모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특히 고혈압이 있으면서 폐경 후 여성호르몬대체요법을 받는 여성에서 시간적 경과에 따라 혈중 CRP 수치가 단기적으로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ackground: It was known that postmenopausal estrogen replacement therapy(ESP) decrease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had a pattern of increase and decrease during ERT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coronary disease. The increase of Serum C reactive protein level was accept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RT in postmenopausal women and the change of CRP level.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was composed of 40 postmenopausal women who first started HRT in Health Promotion Center of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5, 1995 to May 31, 2001. We checked their CRP level yearly. Results: In the group composed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hypertension,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CRP level(P<0.05) in 1 year ERT. But CRP level in 2 year after ER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aseline level. In the group composed of postmenopausal women without hypertension. CRP level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1 year after nor 2 year after.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CRP level showed the pattern of short-term increase and then decrease with time trend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hypertension.

      • 점액성췌장 낭종 1예

        황석주,김영운,오성광,김대영,임선재,박승욱,이두용,이헌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5 충남의대잡지 Vol.22 No.2

        Pancreatic cystadenoma is very rare, slow growing tumor and generally preoperative differential diagnosis may be difficult. A 43-year-old fe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the complaint of abdominal discomfort in the epigastrium for about preceeding 5 years.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were performed. When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m was performed, displacement of distal pancreatic duct by huge mass was noted and injected dye was drained irregulary into the cavity of mass. Distal pancreatectomy was performed with splenectomy. The mass size of distal pancreas was 7X4cm, and the cyst contained with yellowish thick mucoid fluid. Diagnosis was confirmed the mutinous cystadenoma of the pancreas on histologic examination.

      • 제주도 고등학교 학생들의 비만 유병률과 심혈과 위험인자

        황승욱,김현주,홍성철,이상이 제주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2002 제주생명과학연구 Vol.5 No.6

        연구배경 : 최근 청소년 연령층의 비만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비만 청소년들에 있어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이 조기에 발현될 뿐 아니라 성인비만과 성인병 발생의 주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내 고등학생들의 비만 유병률과 청소년 비만과 심혈간 위험인자인 혈압, 총콜레스테롤, 공복시혈당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소아비만과 청소년 비만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제주도내 22개 고등학생 1학년 6,06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체격조사는1999년도 학교 신체검사 자료와 병원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하였다. 비만에 대한 평가는 대한소아과학회에서 발행한 1998년도 한국소아표준치와 체질량 지수 두가지를 이용하였다 심혈관 위험인자로는 총콜레스테롤 수축기 혈압, 이완기혈압 공복시 혈당으로 하였으며, 배상자중 646명에 대해 과거 건강기록부를 열람하여 초등학생 때의 비만실태를 조사하였다. 결과 : 제주도 고등학생의 비만 유병률은 표준체중에 의한 비만 산출법으로는 남, 여학생 각각 12.6%, 13.3%이었고 체질량 지수에 의한 비만 위험군 및 비만 학생이 남, 녀 각각 12.7%, 13.4%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비만 유병률은 남학생의 경우 시 지역 12.9%, 군 지역 10.3%로 시 시역에서 비만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학생의 경우 시·군지역 각각 12.9%, 14.2%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고등하교 계열에 따른 비만 유병률은 남학생의 경우 인문계 13.9%, 실업계 10.1%로 인문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여학생의 경우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비만 정도에 따른 심혈관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에서 남학생의 경우 수축기와 이완기혈압, 공복시혈당,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비만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여학생의 경우 공복시혈당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체질량지수와 심혈간 위험인자간의 상관관계에서 남학생은 혈압, 공복시혈당 총콜레스테롤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여학생의 경우 공복시혈당 외에 다른 수치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대상자 중 646명에 대해 초등학교 1학넌 때의 비만실태를 추적한 결과 초등학생 비만이 고등학생 비만에 미치는 비교위험도가 남녀 각각 3.77, 2.16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결론 : 제주도지역 고등학생들의 비만 유병률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청소년 비만과 심혈관 위험인자간의 관련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아비만이 청소년 비만으로 상당수 이행되었으므로 소아 및 청소년기에 적절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Background: Recently, adolescent obesity was increased and tended to become obese adults, facing increased risk for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Even vefore reaching adulthood, adolescent, obesity already was experiencing hypertension, dyslipidemia, and diabetes melli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evalence of obes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island and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obesity and adolescent obesity. Method: The study subjects were 6,064 students of twenty-two high school in Jeju island and health survey data was gathered from high school health examination data and hospital health examination data from Aug. 1999 to Dec. 1999. Adolescent obesity was evaluated by ideal body weight method in 1998 and body mass index.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checked total cholesterol,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In 646 students, obesity at primary school is checked by primary school health record. Results: Prevalence of obesity in Jeju island high school students was 12.6% in male students, 13.3% in female students by ideal body weight method and Prevalence of obesity risk and obesity was 12.7% in male students, 13.4% in female student by body mass index. Prevalence of obesity of male students in city area and district area of Jeju island were each 12.9%, 10.3% and that of male students in city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of female students in city area and district area of Jeju island were each 12.9%, 10.3% and that of male students in city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obesity of female students in city area and district area of Jeju island were each 12.9%, 14.2%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revalence of obesity of male students in general and commercial school group were each 13.9%, 10.1% and that of general scho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tudents, Prevalence of obesity general and commercial schoo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tal cholesterol,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gree of obesity in male and female students(P<0.05) and fasting blood sugar was on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gree of obesity in male students (P<0.05). In 646students, Relative risk of obesity at primary school and that at high school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3.77, 2.66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Conclusion: Prevalence of obes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island is very high and adolescent obes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ostly childhood obesity tended to become adolescent obesity and program of control of obesity at childhood and adolescence is required.

      • 결핵균 동정을 위한 microplate colorimetric assay의 개발

        정진욱,황승용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3 이학기술연구지 Vol.6 No.-

        Polystyrene(PS) microplate는 DNA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미생물의여러 특정 염기서열들을 동시에 간단하게 검색할 수 ㅣㅇㅆ기 때문에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결핵균 유전자에 같은 염기서열로 반복되는 direct repeat(DR) sequence region 사이에 위치한 서로 다른 염기서열들을 PS plate microplate를 사용하여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들 DR sequence 사이의 유전자들은 서로 다른 염기배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열이 안정하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한 결핵균의 동정이 가능하다. DR regiion을 통한 결핵균 동정을 위하여 DR region 사이에 존재하는 43종류의 염기서열들을 phosphorylated oligonucleotide로 제작하여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와 1-methylimidazole을 매개체로 microplate와 공유결합시켰다. 결핵균의DR region을 이용하여 이들 사이의 유전자들을 PCR로 증폭한 수, 이 증폭산물들과 microplate에 결합되어 있는 oligonucleotide probe들과 hybridizaton하였다. PCR primer에는 biotin이 붙어있기 때문에 alkaline phosphatase가 붙어있는 streptavidin 을 발색반응 매개체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alkaline phosphatase와 substrate의 발색반응을 이용하여 M.tuberculosis H37Rv 와 M. bovis BCG를 동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Developing a fast method for detecting mutations is very important in diagnosis. Some mutations cause genetic disorders and often cause drug resistance in mycobacterium. Many different detection methods have been used to find mutations such as RFLP, sequencing and oligonucleotide dot blotting. However, most of them are not easy to detect many different mutaions simultaneously and are not easy to us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have developed a simple micro well hybridization method for detecting mutations. This method has three main steps including oligonucleotide coating on to microwells as probes, PCR amplification of target DNA and colorimetirc detection after hybridization. In order to test this assay system, we have amplified direct sequence (DR) region of bacterium bovis BCG strain using biotinylated primer. Modified oligonucleotides which are complement to DR region were covalently immobilized onto microwells by 1-ethyl-3-(3-dimethylaminoprophyl) -carbodiimide and 1-methyl-imidazeole. Each set of oligonucleotides contains a normal oligonucleotide as a control and also has mutated oligonucleotides which have substitution, deletion and insertion. We have found that this microwell detection system is very reliable and fast method to detect multiple mutations. All of the mutated oligonucleotides did not hybridize to target DNA. As a matter of fact, this method can be made as a cheap and fast detection kit for multiple mutation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