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 3세 인공 와우 시술 아동과 보청기 착용 아동의 균형능력의 비교

        SONGBRIAN BYUNG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보청기 착용 아동과 인공 와우 아동의 균형능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보청기 착용 아동과 인공 와우 아동의 균형능력의 변화를 지켜보기 위해서 수술의 주 연령대인 2세를 기준으로 인공 와우 수술을 하지 않은 보청기 착용 아동과 인공 와우 수술을 한 아동을 대상으로 균형능력의 기본자세를 유지 시 균형을 유지하는 정적균형을 비교하였다. 대상자는 2014년 1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경기도 소재의 S센터와 B센터에서 언어치료를 받고 있거나 상담을 다녀간 2, 3세의 인공 와우 수술아동과 보청기 착용한 아동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각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검사는 네 가지 감각조건에서 한발서기 평가를 실시하여 아동의 균형능력을 측정하였으며, 감각조건은 다음과 같다. 단단한 지지면에서 눈을 뜬 상태, 단단한 지지면에서 눈을 감은 상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눈을 뜬 상태,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눈을 감은 상태. 이 조건들에서 보청기 착용 아동과 인공 와우 아동의 집단 간 균형능력의 차이, 연령에 따른 균형능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보청기 착용 아동과 인공 와우 아동의 균형능력을 비교한 결과 조건과 상관없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른 균형능력의 비교에서는 3세 아동이 2세 아동에 비해 균형능력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 3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눈을 뜬 상태에서는 두 집단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3세가 균형 발달에 중요한 시기임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2세와 3세 사이에는 균형의 발달이 더욱 크게 나타나는 시기이므로 그 시기에 적절한 감각자극을 통해 균형능력 향상에 도움을 되리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anding bala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and children with Hearing Aid. The subjects were 20 children age 2 and 3 year old children who had Cochlear Implant and Hearing Aid and were randomly selected into two groups with 10 children each. The one leg standing test was used on four different conditions which were ridged surface with eyes open, ridged surface with eyes closed, movable surface with eyes open, and movable surface with eyes closed. The differences of balance and balance ability between ages were compared.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and Hearing Aid. Second, The 3 year old children showed increased the standing balance on all 4 conditions more than age 2 childre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condition 3. This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ce of balance development during age 2 to 3year old. Therefore, between age 2 to 3 year old the standing balance can be improved significantly using proper sensory input treatment.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어머니의 근골격계 증상 및 양육부담감과의 관계

        박소정,SONGBRIAN BYUNG,이상춘 한국발달장애학회 2013 발달장애연구 Vol.17 No.3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nd mother's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parenting-burden. Using university hospitals,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such as disability welfare from mothers with children 3 to 10 years o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140 people were survey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determine three aspects witch include Short Sensory Profile,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o scale the parenting burden of the mothers. Out of 75% of the mothers who undertook the study complained of shoulder pain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mother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child's disability. Also, the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suffer a much lager parenting burden than that of a mother with a child without the developmental disorder, the parenting burden of the mother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is also variable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disorder of there child. And, in a subsection of parenting burden, physical and social burden on the mother's would also reflect on the level of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mother's. The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has a link to the mother's level of burden, it was found that if the child had a normal reaction, the mother's parenting-burden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would be minor but if the child had a more serious level of disability then the mother's parenting-burden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would be much more extensive. Therefore,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mother's parenting-burden to solve the problem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ist for an accurate assessment of needs and early intervention and treatment, Through direct social support to increase the mother's peace of mind should be needed.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어머니의 근골격계 증상 및 양육부담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과 경기도 및 인천 지역에 있는 대학병원, 재활병원 그리고 장애인 복지관 등의 재활시설을 이용하는 만 3∼10세의 발달장애아동을 둔 어머니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세 가지의 질문지로써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근골격계 증상, 양육부담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 중에 근골격계 증상을 호소하는 비율은 75%로 어깨부위의 호소가 가장 많았으며 근골격계 증상은 감각처리능력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는 보통 이상의 양육부담감을 가지고 있으며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따라 어머니의 전체 양육부담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양육부담감의 하위영역 중 신체적 부담감과 사회적 부담감이 높을수록 근골격계 증상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어머니의 근골격계 증상과 양육부담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전문가의 정확한 평가와 조기 중재 및 치료가 요구되며 직접적인 사회적 지지를 통해서 어머님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발과 발목에 적용한 관절가동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허우리,SONGBRIAN BYUNG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2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발과 발목에 관절가동기법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관절가동범위와 균형 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으며,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는지 시간에 따라 반복측정함으로써 균형 조절을 위한 마비측 발과 발목의 감각입력의 기여에 대해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11명이다. 연구방법은 치료적 중재 전 검사로 연구 대상자의 마비측 발등굽힘과 발바닥굽힘의 관절가동범위(Goniometer) 및 균형 능력(기능적 뻗기 검사)을 측정하였고, 이어서 연구자는 20분간 각 연구대상자의 발과 발목에 관절가동기법을 적용하였다. 치료적 중재가 끝나면 중재 즉시, 중재 3시간 후, 중재 6시간 후 관절가동범위 및 균형능력을 반복측정 하였다.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의 발과 발목에 관절가동기법 적용에 대한 시간에 따른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 발바닥굽힘 관절가동범위, 균형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뇌졸중 환자의 발과 발목에 관절가동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발목의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고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엉덩허리근의 수동과 능동 신장운동이 요통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이준재,SONGBRIAN BYUNG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요통환자들에게 나타나는 엉덩허리근(iliopsoas muscles)의 짧아짐 정도를 측정하고 짧아진 엉덩허리근을 수동신장운동과 능동신장운동을 통해 늘여주었을 때 요통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요통을 호소하는 남자환자 20명, 여자환자 2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환자는 성별로 무작위 선정하여 두 그룹 모두 남성과 여성이 각각 10명으로 수동신장운동군 20명, 능동신장운동군 20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수동신장운동군과 능동신장운동군에 각각 신장운동을 적용하여 각 군의 치료 전과 치료 후 엉덩허리근의 신장효과를 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으로 통계 처리 하였다. 그리고 수동신장운동군과 능동신장운동군 간에 신장효과를 비교해 보기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수동신장운동을 시행 한 결과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엉덩허리근의 짧아짐 각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능동신장운동을 수행한 결과 역시 치료 전 보다 치료 후에 엉덩허리근의 짧아짐 각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그리고 수동신장운동군 보다 능동신장운동군의 엉덩허리근 짧아짐 각도가 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 허리 통증 또한 양측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되었다(p<0.001). 그러므로, 요통의 원인인 엉덩허리근의 짧아짐에 의한 요통 치료로 능동적신장운동이 임상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활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탄성저항운동 훈련과 감각운동신경발달훈련이 지적장애 유아의 체중지지각 압력, 압력분포 및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

        정해익,SONGBRIAN BYUNG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nkle sensory motor training on foot pressure, pressure distribution over weight bearing angle and speed of ambulation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22, age between 4 to 6 years ol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 to two groups randomly, 11 children in group one who performed elastic resistance exercises and 11 children in group two who performed elastic balance pad, and performed 4 times a week for 16 weeks. The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first, group 1, who used elastic resistance band exercis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oot pressure(p=0.016). Group 2, who used elastic balance pad, showed als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oot pressure(p=0.015). However, the differences of foot pressure change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p=0.698). The Second, group 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istribution of foot pressure over weight bearing line(p=0.011). Group 2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istribution of foot pressure over weight bearing line(p=0.001). However, the differences of distribution of foot pressure over weight bearing line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0.624). The Third, group 1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peed of ambulation(p=0.001). Group 2 showed als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peed of ambulation(p=0.001). However, the differences of speed of ambulation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p=380). Therefore, the elastic resistance band exercise, which can give continuous resistance through out the movement pattern, and the balance mat exercise, which gives stimulus and facilitate the reflexive motor response, can be used for clinical rehabilitation to improve the dynamic gait ability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탄성저항 운동과 균형매트를 이용한 발목 감각운동발달훈련이 지적장애 유아들의 보행 시 입각기에서 발 표면위의 체중지지각위에서 발생되는 발의 압력, 압력분포 그리고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4세에서 6세의 지적장애유아들 22명을 선정하여 탄성저항운동을 한 실험군 11명 그리고 탄성 균형매트를 이용한 대조군 11명으로 나누어 주 4회 16주간 진행하였다. 실험 전-후의 결과는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탄성저항운동을 이용한 실험군의 발목 감각발달운동은 지적장애유아의 보행 시 종말 입각기 발 압력의 변화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p=0.016), 감각균형매트를 이용한 대조군 역시 발표면 체중지지각 위에서의 발 압력이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p=0.015). 그러나 두 군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탄성저항운동을 이용한 실험군에서는 체중지지각위에서 나타나는 발 압력의 분포의 변화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011), 감각매트를 이용한 대조군 역시 체중지지각위에서의 발 압력 분포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p=0.001). 두군 간의 발 압력 분포 변화의 차이 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탄성저항운동을 이용한 실험군의 발목 감각발달운동은 지적장애유아의 보행 시 보행속도의 변화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p=0.001), 감각균형매트를 이용한 대조군 역시 보행속도가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p=0.001. 그러나 두 군 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발목 감각운동 시 지속적인 저항의 변화를 줄 수 있는 탄성저항 운동과 지속적이고 빠른 체중 이동 자극을 주는 균형매트의 운동들이 발과 발목의 고유수용성감각의 자극을 통하여 반사적 그리고 중추신경계의 작용을 촉진 시켜 발과 발목의 근 수축 정도와 보행속도에 효과를 줄 수 있어 임상에서 지적장애 유아들의 보행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입원형태에 따른 집중적인 치료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기전,SONGBRIAN BYUNG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입원 형태의 환경에 따른 치료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운동기능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경직형 뇌성마비아동 24명으로, 낮병동 집단 12명과 통상입원 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치료적 중재로 중추신경계 발달치료 프로그램을 1일 2회, 1회 30분 이상, 주 5일, 총 8주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낮병동군과 통상입원군 모두에서 대동작기능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p<.01), 특히 하위영역 중 눕기와 구르기, 앉기, 네발기기와 무릎서기 영역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둘째, 집단 간 대동작기능과 대동작기능 분류체계의 변화량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치료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환경적 차이가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운동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뇌성마비아동의 운동기능 증진과 실제 생활에서의 문제를 고려한다면, 이러한 환경적 차이에 따른 입원 형태를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nsive therapy program on motor function according to the inpattern pattern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were 24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hey consisted of 12 children in day hospital group and 12 in hospitalization group.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were performed for treatment of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and the subjects received physical therapy from one physical therapist for over 30 minutes, 2 times a day, for 5 days a week, 8 weeks in to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 Firstly, The total score of the GMFM in both day hospital and hospitalization group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p<.01), and low rank dimension of Lying & rolling, Sitting, and Crawling & Kneeling show significant difference (p<.05). Secondly, GMFM and GMFC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s differences for the change.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finding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eans affected by environmental differences in inpatient pattern. And considering the problems of cerebral palsy in children motor function and promoting real life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form of hospitalization due to these environmental differences.

      • KCI등재

        탄력성 재질 발목-발 보조기(Ankle-Foot Orthosis) 사용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 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조성희,SONGBRIAN BYUNG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1

        본 연구는 탄력성 재질을 사용한 발목-발 보조기 사용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17명이다. 탄력성 재질을 사용한 발목-발 보조기 사용이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MTD측정(Physiofeedback MTD-balance), TUG검사(The Timed Up and Go Test), BBS검사(Berg Balance Scale)를 실시하였고,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실내와 실외 환경에서 10m walk test, FSST(Four Square Step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균형 능력 검사인 MTD측정과 TUG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BBS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보행 능력 검사인 10m walk test는 실외측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FSST는 실내와 실외측정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탄력성 재질을 사용한 발목-발 보조기 사용은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균형 능력과 보행 능력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 활성도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진영미,SONGBRIAN BYUNG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ved path gait training and general gait training on the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gait ability for stroke patients. Method: Twenty-Seven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in two groups. Experiment group(n=13) performed the curved path stride gait training. Control group(n=14) performed the general gait training. In the Experiment group, the curved path stride gait training was performed 30 minutes 5 times a week for 8 weeks. Control group also performed general straight time gait training 30 minutes 5 times a week for 8 weeks. Surface EMG was used to measure the changes in lower limb muscle activity. The gaiting ability was assessed by Dynamic Gait Index(DGI), Time Up and Go Test(TUG), 10m walking test, Figure of 8 walk Test(F8WT). Results: First,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mproved in the leg muscle activity test after the gait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e-and post-training change comparing with control groups(p<.05).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Dynamic Gait Index, Time Up and Go Test, 10m walking test in the gait ability test after the gait training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 with the Figure of 8 walk Test(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urved path stride gait training was effective for the activation of the leg muscle and improvement of the gaiting of the stroke patien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 활성화 및 보행 개선에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과 일반 보행 훈련의 효과가 다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뇌졸중으로 진단 후 6개월 이상의 뇌졸중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선정 하여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을 한 연구군 13명, 일반 보행 훈련을 이용한 대조군 14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군에는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을 적용 하였고, 대조군에는 일반 보행 훈련을 각각 주 5회, 1일 30분, 8주 동안 실시하였다. 훈련 후 평가는 하지 근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표면근전도(Telemyo 2400 G2 Telemetry EMG system, Noraxon, U.S.A. 2007)를 사용하여 집단 간의 하지 근 활성도 차이를 보았고, 동적보행 지수(DGI), 일어나 걸어가기(TUG), 10m 보행 검사, 8자 곡선 보행 검사(F8WT)를 통해 집단 간에 보행 개선의 차이를 비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군과 대조군 모두 보행 훈련 후 하지 근 활성도 검사에서 향상되었고(p<.05), 두 집단 간 훈련 전, 후 변화량에서는 연구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둘째,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을 한 연구군과 일반 보행 훈련을 한 대조군 모두 보행 훈련 후 보행 능력 검사에서는 동적 보행 지수, 일어나 걸어가기, 10m 보행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5). 그러나 대조군은 8자 곡선 보행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가 없었다(p>.05). 두 집단 간 훈련 전, 후의 변화 차이에서는 연구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이 연구 결과를 통해서 회전 경로 보폭 조절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활성화 및 보행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