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Angiogenesis inhibitor attenuates parathyroid hormone-induced anabolic effect

        Rhee, Y.,Park, S.Y.,Kim, Y.M.,Lee, S.,Lim, S.K. Masson Pub. USA, Inc 2009 BIOMEDICINE AND PHARMACOTHERAPY Vol.63 No.1

        In vivo osteogenic responses to anabolic stimuli are expected to be accompanied by angiogenesis as well as in the process of remodeling of bone. Consequently, angiogenesi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bone forming stimulating effect of parathyroid hormone (PTH).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we used actively growing young Sprague-Dawley rats and CKD-732, one of the angiogenesis inhibitor (AI) to reveal the relationship of angiogenesis in the effect of PTH. The groups were divided as (1) vehicle [VEH group], (2) PTH(1-84) [PTH group], (3) AI alone [AI group], (4) PTH(1-84)+AI concomitance [PTH-AI group] and were treated for 6 weeks.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f PTH group was higher than VEH group and the gain of bone mass was attenuated in PTH-AI group. The maximal failure load in PTH group was higher than VEH group, but it was definitely attenuated by concurrent use of AI. Moreover, the toughness showed similar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PTH-AI group. General bone turnover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PTH-AI group as shown by the absence of increase in osteocalcin and β-crosslaps and by decrease in metaphyseal length. The BMD or the biomechanic data of AI only group were similar to the VEH group, suggesting the minimal effect of AI itself on the normal modeling phase of the growing rats. In conclusion, the angiogenesis seemed to contribute to completing the anabolic effect of PTH especially for bone strength.

      • KCI등재후보

        유전자 특허의 정당성에 관한 윤리적 논의

        이상헌(Rheey, Sang-Hu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20 No.-

        유전자에 대한 특허권, 특히 인간 유전자에 관한 특허권은 생명공학과 생명윤리 영역에서 첨예하게 대립되는 논쟁거리 이다. 2010년 3월 미국 법원에서 인간 유전자에 대한 특허권을 무효화하는 판결이 내려졌지만, 현재까지 유전자에 대한 특허가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추세였다. 하지만 유전자 특허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의료 분야의 기여라는 일부 이득에도 불구하고 유전자라는 특수성 때문에 특허의 해악에 대한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지되어 왔다. 이 논문은 유전자 특허의 주요 정당화 근거를 살펴보고, 유전자 특허에 대한 몇가지 주요 반론을 집중 조명할 것이다. 반대 논증은 법률적-기술적 논증, 현실의 부정적 결과에 기초한 논증, 그리고 비결과주의적 논증으로 나눠 설명될 것이다. 이 논문은 유전자 특허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유전자 특허는 정당화 근거가 희박하며, 더욱이 유전자 특허로 인한 이득이 소수 자본과 거대 기업에게 집중되고, 그로 인한 폐해는 다수 인류에게 돌아간다는 점에서 유전자 특허는 정당하지 않다고 주장할 것이다. The Patent right on genes, especially the patent right on human genes is a battlefield in biotechnology and bioethics. Today, gene patents are permitted generally, although a American Court has decided that the patent rights on human gene are invalid in March 2010. But this paper aims to examine main reasons by which gene patent system be justified, and to focus on important objections to gene patents. Main Objections can be divided into legal-technological objection, objection based on negative effects, and non-consequentialistic objection. I will take a critical position on gene patents. Gene patents, I argue, have little justified grounds, moreover benefits from gene patents is concentrated on a few capitals and several multinational major company and harms fall on all humans, especially poor nations and poor people.

      • KCI등재후보

        칸트 도덕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포스트휴먼

        이상헌(Rheey Sang-H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2

        오늘날 기술적 발전에 주목하는 학자들은 포스트휴먼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인간의 능력을 근본적으로 뛰어넘는 미래적 신인류로서 포스트휴먼은 갖가지 기술적 수단에 의해 인간능력이 향상된 인간이다. 이 글은 기술적 수단에 의한 인간 능력향상에 대해 칸트 도덕철학의 관점에서 반성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칸트 도덕철학적 관점에서, 포스트휴먼 되기가 정당화될 수 있는지, 포스트휴먼 되기에 어떤 윤리적 문제가 있을 수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 글은 기술적 안정성과 안전성은 문제삼지 않고 가정할 것이다. 이것들은 철학적 쟁점이라기보다 기술적 쟁점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칸트 도덕철학의 관점이 인간 능력의 공학적 향상 자체에 대해 무조건 부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오히려 인간성의 완성이라는 방향과 관련하여 인간능력의 공학적 향상은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으며, 심지어 장려될 수 있는 길도 있어 보인다고 주장할 것이다. Recently the possibility of posthuman or transhuman is discussed by those who giv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nanotechnology, neuroscience,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The posthuman broadening or exceeding the natural human capabilities by overcoming aging, cognitive shortcomings, involuntary suffering is the enhanced human being. This article aims to look at the human enhancement by means of emerging technologies from a perspective of Kant’s moral philosophy. In his moral philosophical viewpoint, I examine some questions, whether a becoming posthuman can be justified and what problems there are for human to become posthuman. I"ll not deal with issues of safety and security. Because these are technological ones, rather than philosophical ones. In this article I’ll show you it is not true that the technological enhancement of human capabilities would be rejected by Kant in his moral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the contrary, I argue that the technological enhancement of human capability is permissible, even recommended by Kant’s moral philosophy, if it contribute to the perfection of humanity.

      • KCI등재후보

        합성생물학과 윤리적 쟁점들

        이상헌(Rheey Sang-Hu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7 No.-

        최근 생명과학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이 합성생 물학이다. 합성생물학은 최근 10여년 사이에 급속도로 발전한 공학적 접근법을 생물학에 적용한 융합 학문이 다. 합성이라는 말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합성생물학은 자연 속에 존재하는 생명의 재창조 내지는 전혀 새로운 인공생명의 창조를 노린다. 이 때문에 생명공학을 연상 하기 쉽고, 그래서 생명공학의 확장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 확장은 양적이지 않고 질 적이다. 생명공학이 생명에 대한 조작 정도에 그쳤다면 합성생물학은 생명의 재설계와 창조를 직접 노린다. 물 론 이런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은 막대하다. 하지만 그 이면에서 도사리고 있는 위험과 해악 또한 헤아려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최근 연구 동향을 체 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합성생물학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합성생물학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다양한 윤 리적 쟁점들을 둘러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Synthetic biology is the emerging field defined as the area of convergence of biology and technologies. Synthetic biology is a new biological science that engineering approaches are applied to. Synthetic biology aims to redesign and reconstruct naturally occurring biological systems, or to create novel biological systems that has never occurred in nature. Someone see this technology as the expansion of existing biotechnology, but I think that expansion is not quantitative but qualitative. Biotechnology has tried to manipulate life, but synthetic biology deal with life directly. This technology try to redesign and reconstruct natural organism and to newly create artificial organism. It is expected that the success of synthetic biology will bring a great profit, but we must not ignore the risk and harm in the hidden sid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what sinthetic biology is and to look around various ethical issues raising from the expected results of the studies of synthetic biology.

      • KCI등재

        우리는 왜 인공지능에 대한 통제를 고민해야 하는가?

        이상헌(Rheey, Sang-hun)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이 논문은 인공지능으로 인한 인류의 위험에 대한 최근의 논의를 다룰 것이다. 인공지능을 협의의 인공지능(ANI), 인공 일반지능(AGI), 인공 초지능(ASI)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것이다. 먼저, ANI 즉 약한 인공지능 시스템이 불러올 수 있는 위험에 대해 살펴본다. 인간이 효율성의 극대화를 위해 자율형 인공지능에게 작업의 권한을 상당 부분 이양하고 인간의 개입 없이 판단하고 행동하게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아무리 정교한 시스템이라고 하더라도 인간이 만든 인공지능 시스템은 불완전하기 마련이며, 바이러스 감염이나 버그 등으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인공지능에게 맡기는 일에 한계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대표적으로 살상용 자율무기는 허용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강한 인공지능 연구자들은 인공 일반지능과 초지능의 출현을 낙관한다. 초지능은 모든 면에서 인간의 능력을 월등하게 능가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이므로 인간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거나 인간에게 해를 입힐 수도 있다. 그래서 초지능을 통제하는 문제가 심각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초지능을 통제할 수 있을지를 현재까지 제안된 통제방안들을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만일 초지능이 출현한다면, 인간이 초지능을 완벽하게 통제할 방안이 현재로서는 없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초지능의 출현이 허구적인 가정일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도 통제 문제에 대한 연구는 인공지능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실용적인 가치가 있다. This paper will cover recent discussions on the risks of human be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We will consider AI research as artificial narrow intelligence(AN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AGI), and artificial super intelligence(ASI). First, we examine the risks of ANI, or weak AI systems. To maximize efficiency, humans will use autonomous AI extensively. At this time, we can predict the risks that can arise by transferring a great deal of authority to autonomous AI and AI’s judging and acting without human intervention. Even a sophisticated system, human-mad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are incomplete, and virus infections or bugs can cause errors. So I think there should be a limit to what I entrust to artificial intelligence. Typically, we do not believe that lethal autonomous weapons systems should be allowed. Strong AI researchers are optimistic about the emergence of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AGI) and artificial superintelligence(ASI). Superintelligence is an AI system that surpasses human ability in all respects, so it may act against human interests or harm human beings. So the problem of controlling superintelligence, i.e. control problem is being seriously considered. In this paper, we have outlined how to control superintelligence based on the proposed control schemes. If superintelligence emerges,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way for humans to completely control superintelligence at this time. But the emergence of superintelligence may be a fictitious assumption. Even in this case, research on control problems is of practical value in setting the direction of future AI research.

      • KCI등재

        도덕적 향상이 기후변화의 대책이 될 수 있을까?

        이상헌 ( Rheey Sang-hun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이 논문은 도덕적 향상이라는 방법이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이 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페르손과 사불레스쿠는 < Unfit for the future >라는 책에서 과학기술에 의한 도덕적 향상을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제시했다. 기후변화라는 환경 위기의 긴급성과 그 결과의 파국적 성격, 그리고 도덕 심리학과 자유민주주의의 한계로 인해 기존의 방식들로는 기후변화 문제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그래서 그들은 긴급 수단으로 도덕적 향상을 제안한다. 도덕적 향상이란 생물학적 진화를 통해 형성된 인류의 심리적 및 행동적 성향을 신경 약물과 유전공학을 통해, 기후변화문제에 좀더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나는 페르손과 사불레스쿠의 주장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도덕적 향상이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할 것이다. 나는 여섯 가지 이유를 들어 그들의 주장을 비판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whether moral improvement can be a solution to climate change. Persson & Savulescu presented a moral enhancement by technological mean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in Unfit for the future(2012). The urgency of the environmental crisis of climate change, the catastrophic nature of the consequences, and the limitations of moral psychology and liberal democracy are the grounds of their argument that traditional methods cannot cope with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So they suggest moral enhancement as an emergency measure. Moral enhancement refers to changing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tendencies of human beings formed by biological evolution in a way that is more responsive to climate change through neuropharmacological drugs and genetic engineering. But I will critically consider Persson & Savulescu's argument and argue that moral enhancement is not appropriate as a solution to climate change. I will criticize their argument for six reasons.

      • KCI등재

        유전자 변형 작물의 쟁점에 대한 철학적 분석

        이상헌 ( Rheey Sang-hun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철학논집 Vol.56 No.-

        이 논문은 GM 작물에 관한 논쟁을 서로 평행선을 걷는 소모적인 논쟁으로 만들지 않도록 방지하고, GM 작물에 관련된 실질적인 문제점에 대해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GM 작물에 관한 논쟁은 과학적, 사회경제적, 윤리적 관점에서 여러 가지 쟁점이 거론되고 있는데, 여기에 철학적인 쟁점이 추가되어 논쟁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이 논문은 GM 작물과 관련된 철학적 쟁점들을 살펴보고, 주요 개념들을 명료화하여 GM 작물을 둘러싼 소모적인 논쟁을 줄이고 좀더 생산적인 논의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철학적 분석의 결과, GM 작물에 대한 의미 있는 쟁점은 안전성 쟁점과 권리 쟁점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안전성 쟁점은 과학적인 작업을 통해 해결될 것이지만,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과 체계에 대한 요구는 과학 외적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권리 쟁점은 소비자의 자율적인 선택권을 보장하는 문제와 씨앗에 대한 권리 문제로 구분된다. This paper aims to prevent debates on GM crops from being a costly controversy in parallel,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finding solutions to the pract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GM crops. The debate on GM crops has been addressed in many scientific, socio-economic, and ethical perspectives, with philosophical issues added to the controversy. This paper aims to explore philosophical issues related to GM crops and to clarify key concepts to reduce the costly debate surrounding GM crops and to create a platform for further productive debate. As a result of the philosophical analysis, it turns out that the meaningful issues of GM crops are safety issues and rights issues. Safety issues will be solved through scientific work, but they may require measures and systems to ensure safety. The issue of rights is divided into the issue of ensuring autonomous choice of consumers and the right of seeds.

      • KCI등재

        프랜시스 베이컨과 자연의 수사학

        이상헌(Rheey Sang-Hun) 한국수사학회 2010 수사학 Vol.0 No.13

        Francis Bacon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ople In our discussing the natural science and the scientific method in the bridging era between Renaissance and early modern. The influence of his thought and works on the early modern scientists, including Newton, Boyle, Hooke, and countless other continental scientists, was stronger than what we know. Today we approve the authority of science and hold scientists in respect. This was not true in the middle and the early modern ages. The dramatic shift of the common attitude on science and scientist, I argue, was possible through the efforts of Francis Bacon. In this paper I question how he succeeded in public communication, changed the attitude of contemporaries, and acquired the social identity of science and scientist. I argue that the great success of Bacon was depending on the his rhetoric. He made active use of rhetorical strategy to communicate with contemporaries. The 'Instuaratio Magna', compared to restoration of the lost paradise, the 'book of nature', to the 'book of God', the 'scientia potentia', to the pure knowledge of Adam, are the examples.

      • KCI등재

        기술을 통한 도덕적 능력향상(moral enhancement)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상헌(Rheey, Sang-Hu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8 No.2

        이 글은 포스트휴먼에 관한 쟁점 중에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도덕적 능력 향상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기술을 통한 도덕적 능력 향상에 대해 지지하는 입장들과 반대하는 입장들을 정리한다. 기술의 진보에 따라 기술을 활용해 인간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추구하는 트랜스휴머니스트들뿐만 아니라 여러 철학자들이 다양한 근거로 이를 지지한다. 페르손과 사불레스쿠는 결과주의적 관점에서 인류의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대안으로서 도덕적 향상을 주장한다. 마크 워커는 더 나은 삶, 더 나은 세상을 실현하기 위해 도덕적 향상을 시도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허용된다고 본다. 니콜라스 아가와 같은 자유주의 우생학을 지지하는 이들은 타인에게 해가 되지 않는 이상자발적인 선택에 의해 자기 자신에게 인간 향상을 시도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도덕적 향상을 반대하는 논거들도 다양하다. 조터런드는 덕 윤리와 매킨타이어에 호소함으로써 신경공학적인 도덕적 능력 향상이 근본적으로 잘못된 계획이라고 주장한다. 하버마스는 개인의 자율성을 침해하기 때문에 기술적 수단을 통한 인간 향상이 허용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샌델은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 인간 향상이 겸손, 책임, 연대라는 도덕적 지평을 약화시켜 사회의 기초를 훼손하고 건강한 공동체적 삶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오마투나는 인간 존엄성을 내재적 차원과 상황적 차원으로 구분함으로써 트랜스휴머니스트들과 같은 인간 향상의 추구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고 인간들 사이의 차별을 조장하고 타인에 대한 책임감을 약화시킨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the moral enhancement or virtue engineering that is being discussed recently among posthuman issues. First, I will summarize positions of supporting and advocating for the moral enhancement through technology. Various philosophers, as well as transhumanists who seek to improve human natures by utilizing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technological advances, support it on a variety of grounds. Persson and Savulescu argue for moral enhancement as the best alternative to overcome the imminent crisis of mankind in the consequentialist perspective. Mark Walker believes that it is morally permissible to try moral enhancement to make the life better, the world the better place. Those who support liberal eugenics such as Nicolas Aga argue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rying to enhance human nature by voluntary choices unless they harm other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arguments against moral enhancement. F. Jotterand argues that moral neuroenhancement is fundamentally a false plan by appealing to virtue ethics and MacIntyre. Habermas argues that human enhancement through technical means can not be tolerated because it violates individual autonomy. Sandel says that from a communitarian point of view, human enhancement can weaken the moral horizon of humility,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undermining the foundations of society and jeopardizing a healthy community life. O’Mathuna argues that the pursuit of human enhancement, such as transhumanists, undermines human dignity, fosters discrimination among humans and weakens responsibility for others by distinguishing human dignity into the inherent dimension and the circumstantial dimension.

      • 입력 데이터 산포도와 오토인코더 학습 성능 연관성에 관한 연구

        이주홍(Joohong Rheey),정다은(Daeun Jung),박형곤(Hyunggon Park)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오토인코더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입력 데이터에 따라 적절한 구성 요소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오토인코더의 구성 요소를 결정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입력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오토인코더의 학습 성능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알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특성 중 하나인 산포도가 오토인코더의 학습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확인한다. 동일한 조건 하에 입력 데이터의 산포도만 변화시켜가며 실험하여, 입력 데이터의 산포도가 증가할수록 오토인코더의 학습 성능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오토인코더의 은닉층의 노드 개수와 관계없이 입력 데이터 산포도와 오토인코더 학습 성능이 선형 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