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大邱地方 一部 大學生들의 吸煙實態

        姜福秀,芮旻海,李性寬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0 慶北醫大誌 Vol.21 No.2

        1980년 10월 1일부터 1개월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남학생 303명과 대구시내 일반 대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흡연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대상자 558명중 흡연학생은 339명으로 흡연율은 60.7%로 나타났고, 의대생의 경우 62.4%, 일반 대학생의 경우는 58.8%의 흡연율을 나타내었다. 흡연 중단율은 전체 19.9%이며 의대생의 경우 16.5% 일반 대학생의 겅우 23.9%로 나타났다. 2. 흡연시작 연령은 대체로 20세 전후가 65.7%로 나타났으며 18세 이전의 고교시절부터 흡연을 경험한 학생이 23%로 나타났다. 3. 흡연기간은 과반수 이상인 56.2%가 5년미만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 2년 이상 3년 미만이 22.1%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4. 흡연량은 하루 14개피 미만을 피우는 학생이 전체 63.1%로 제일 많았으며 25개피 이상 피우는 학생은 3.3%로 나타났다. 5. 흡연과 음주와의 관계에서 흡연하는 학생중 91.7%가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흡연동기로는 37.7%에 해당하는 학생이 호기심에 의해서 흡연을 시작했으며 17.7%의 학생은 선배 친구의 권유로 담배를 처음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7. 장차 흡연에 대한 태도는 계속 피우겠다는 학생이 45.7%, 감량 하겠다는 학생이 42.8%, 금연하겠다는 학생이 11.8%로 나타났으며, 의대생의 경우에서 60.3%가 금연 및 감량 하겠다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대학생 46.7%보다 높은 율을 보였다. 8. 금연 및 감량의 이유조사에서 80%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학생이 건강상 이유로 나타났고 경제적 이유도 8.5%나 되었다. 9. 흡연과 관계되는 증상조사에서 기침, 객담,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빈도가 비흡연군에 비해 흡연군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에 이환되는 빈도도 흡연군이 비흡연군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 내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moking status on 303 medical students and 255 non-medical students in Taegu, for 1 month from October 1, 1980.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339 students of 558 subjects, 60.7 percent smoked. The percentage of medical students smoking showed 62.4 and the percentage of non-medical students was 58.8. Regarding the age started to smoke, 67.5 percent of total smokers commenced smoking around the age of 20 and 23 percent experienced smoking before the age of 18. In the regard to the average daily number of cigarettes smoking, 63.1 percent of total smokers consumed under 14 cigarettes, 3.3 percent smoked 25 or more cigarettes a day. Alcohol consump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smoking. 91.7 percent of total smokers revealed drinker. The commonest motives for starting the smoking habit were curiosity and the influence of friends who already smoked(55.4%). Considering attitude toward smoking habits in the future, 54.6 percent of students said they would stop or reduce smoking. The commonest reason for stopping and reducing the smoking habit was health hazard(80%). The complaints of cough with sputum and shortness of breath revealed higher rates among smokers than among non-smokers. Smokers we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chronic bronchitis compared to non-smokers.

      • KCI등재
      •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인터넷을 이용한 보건교육 요구도

        강복수,최연화,이경수,황태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4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1 No.1

        인터넷을 이용한 중·고등학교 학생의 보건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경주시와 성주군에 거주하는 남녀 중·고등학생 624명을 대상으로 2003년 3월 5일부터 3월 2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대상학생들의 90% 이상이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지역별로는 경주시 지역 대상 학생들이 성주군 지역 학생들보다 컴퓨터 보유율이 다소 높았다. 컴퓨터를 보유한 학생들의 약 38%가 건강·의료 관련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경험이 있었다. 이메일을 이용한 보건교육자료에 대하여 중학생과 여학생들이 더 적극적인 의향을 보였다. 인터넷을 이용한 보건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남자 중학생이 건강습관, 성장발달, 질병예방 순으로 요구도 점수가 높았으며, 여자 중학생은 건강습관, 질병예방, 성장발달 순으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고등학생은 남녀 학생 모두에서 건강습관, 질병예방, 성장발달의 순으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건강습관과 관련된 내용 중에서는 남자 중학생은 '규칙적인 운동'을 여자 중학생은 '치아관리'에 대한 교육을 원하였고, 고등학생은 남녀 모두 '수면과 휴식'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성장발달 및 영양교육에 대한 내용 중에서는 중·고등학생 모두 남학생은 '체력의 변화'에 대해서, 여학생은 '비만'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고, 성교육에 대해서는 남자 중·고등학생은 '연령에 맞는 성역할'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으며, 여자 중학생은 '피임과 가족계획'에, 여자고등학생은 '임신과 출산', '피임과 가족계획'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질병예방 교육에 대해서는 남녀 중학생과 남자고등학생은 '암 예방과 관리'에 대해서, 여자고등학생은 '질병예방과 관리'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안전교육에 대해서는 중·고등학생 모두가 '적절한 응급처치'의 요구도 점수가 가장 높았다. 습관성 약물에 관련 교육 내용 중에는 남자 중학생은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남자 고등학생은 '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여자 중·고등학생은 '청소년의 정서 불안'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소비자 보건 관련 교육에 대해서는 남자 중·고등학생은 '보건 의료기관의 이용방법'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가장 높았고, 여자중학생은 '보건의료기관 이용방법'과 '의료보험에 대한 이해'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고, 남자 고등학생은 '의료보험에 대한 이해'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정신보건 교육에 대해서는 중·고등학생 모두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환경보건 관련 교육에 대해서는 중·고등학생 모두 '환경과 건강'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인터넷 보건교육의 교육자료 제공 주기에 대하여 남학생의 50.0%, 여학생의 60.4%가 주1회를 요구하였으며, 교육 자료의 분량은 남학생의 40.0%, 여학생의 53.2%가 1쪽 분량을 원하였다. 이상의 결과, 연구 대상 학생들의 90% 이상이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컴퓨터를 보유한 학생들의 약 38%가 건강·의료 관련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경험이 있었다. 인터넷 보건교육을 받을 의향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높았으며, 기존에 학교보건교육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육의 내용 이외에도 수면과 건강, 피임과 가족계획, 안전교육, 암 예방, 스트레스관리, 대인관계 등의 내용에 대해서 요구도가 높아 이에 대한 보건교육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며, 인터넷을 이용한 보건교육을 위한 기초조사와 더불어 교육방법, 자료의 개발 등과 이메일을 이용할 경우 본인 동의의 절차와 관리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health education to students to ensure a healthy life. Using the internet for health education may be a way to overcome the practical barriers to health education such as time and cont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mands for health education using the internet. Subjects and methods: Six hundreds and twenty-four and male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o lived on Gyeongju-si and Seongju-gun in Gyeongsangbuk-do province, were interviewed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March 5 to March 28, 2003. Results: More than 90% of the subjects had their own computers, and nearly 38% of those possessing their own computers had accessed internet sites related to health and medicine.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were more desirous for health education through e-mail. Regarding content, the three major topics which the respondents wanted to learn about were healthy lifestyles, growth and development, and disease prevention. In terms of the interval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over half of the students wanted information once a week. Most of the students wanted to have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be one page. In addition, there were numerous additional topics requested by the students such as sleep and health, contraception and family planning, safety education, cancer prevention, emotional instability of juveniles, the utiliza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stress management, etc. Conclusion: The students had a desire for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e-mail, and method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using the internet.

      • 母의 特性이 幼兒保健에 미치는 影響

        李性寬,姜福秀,金玉培,宋善祐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0 慶北醫大誌 Vol.21 No.2

        幼兒保健에 영향을 미치는 母의 특성중 年齡과 敎育程度를 中心으로 이에 따른 幼兒登錄時期, 豫防接種, 健康相談回數 및 健康相談期間 등의 실태를 알기 위해 1980年 5月 15日부터 同年 10月 20日까지 1970年度 大邱 母子保健센타에 登錄된 幼兒 2,635名을 對象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성적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幼兒保健管理를 위한 登錄時期는 2個月以內 早期登錄率은 1,690名中 73.1%이며, 母의 年齡이 젊은 群이 40才以上 高齡群에 比하여 早期에 登錄한 것으로 나타났고, 高等學校以上 高學歷群이 中卒以下 低學歷群보다 出生後 早期에 登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 피·티」와 「폴리오」의 완전 3回 接種者는 各各 53.8%와 61.5%로 完全한 接種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兩者 모두 母의 年鈴이 젊을수록 敎育程度가 높을수륵 3回 完全 接種率이 높게 나타났으나 統計的으로는 有意한 差異를 인정할 수 없었다. 「디·피·티」와 「폴리오」의 豫防接種時期에 있어 適期豫防接種者는 各各 40.6%와 39.8%로 나타나 과반수 이상이 適期接種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피·티」의 適期 接種率은 母의 年齡이 젊을수록 그리고 學歷이 높을수록 그 接種率이 높게 나타났으며, 「폴리오」의 경우도 年齡이 젊을수록 適期 接種率이 有意하게 높고 高學歷群이 低學歷群보다 適期 接種率이 有意하게 높았다. 「비시지」 適期接種은 生後 1個月以內로 되어 있으나 全體約으로 불과 22% 程度가 適期接種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시지」接種時期에 있어서도 母의 年齡이 젊을수록 그리고 敎育水準이 높을수록 1個月以內 適期 接種率이 높게 나타났다. 幼兒 保健營理를 위하여 健康相談을 실시한 회수에 있어서는 전대상에서는 平均相談回數가 3.9回로 나타났고 70% 以上이 4回以內로 中斷하였으며, 6回以上 실시한 경우는 母의 年齡이 젊을수록 相談回數의 빈도가 높았고 敎育程度가 높을수록 相談回數가 增加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영·幼兒健康相談期間과 豫防接種과의 比較 調査에서 대체로 50%정도는 「디·피·티」을 3回 最終 接種과 동시에 相談을 中斷한 것으로 나타났고, 母의 年齡이 젊을수록 그리고 敎育水準이 높을수록 최후접종과 동시에 中斷한 率이 낮았으며, 相談期間도 연장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成續을 종합하면 母의 年齡이 젊을수록 그리고 敎育水準이 높을수록 幼兒保健에 더 有利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지만 본 硏究에서 젊은 年齡群이 대체로 學歷이 높은 것을 勘案할 때 敎育程度가 幼兒保健에 더 有關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hild health ca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health and mother'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educational level on 2,635 children registered at Daegu MCH Center in 1978, during the period of 5 months from May to October 1980. Analysis of the study was infant registration time, vaccination times, begining time of vaccination, consultation times for child health, and health consultation period since complete vaccination of D.P.T. Of the 1,690 infants in the study, 73.1 percent were registered within 2 months after birth for child health care at MCH Center. The rate of early registration increased with younger groups and higher educational levels of mothers (p<0.005). The rates of complete vaccination of D.P.T. and Polio revealed 53.8 percent and 61.5 percent, respectively. The rates of two kinds of vaccination showed increasing tendency with younger and higher educational groups of mothers. The rates of D.P.T. and Polio vaccination given properly within 2 months after birth revealed 40.6 percent and 39.8 percent, respectively. The percent of polio vaccination given properly increased with younger groups and higher educational levels of mothers (p<0.05). Only ene-fifth of infants(22%) were given BCG vaccination properly within the first month after birth. Overall, average number of visits for health consultation was 3.9. More than 70 percent of the infants had 1-4 visits of health consultation. Frequency of visits for health consultation increased with younger group of mothers (p<0.05). More than half of the Infants had no visit for health consultation after vaccination of 3 complete doses of D.P.T. The period of health consultation showed prolonging tendency with frequent visits among yonger groups and higher educational groups of mothers.

      • KCI등재

        수술실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 분석

        홍복화,강복수,김석범 韓國保健敎育學會 1996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13 No.1

        To measure the degree of work stres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stress among OR nurses, a study was implemented for 131 OR nurses working at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Taegu city through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Mean score of total work stress of nurses was 3.71, when maximum score was 5. Relatively high degrees of work stress was evident among OR nurses. When the related factors of the stress specified in the questionnaire were grouped into 11 categories, the repondents turned out to feel the highest stress when they were faced with the categories of non-peculiar duty and personal conflict with doctors. The most stressful events were nursing malpractice during surgical operations and damage to OR equipments. The nurses more susceptible to workstress were married with one child, less educated and worked at OR for 3 to 6 years.

      • KCI등재

        고혈압 환자들의 건강행태

        김석범,강복수,윤성호,황정희,이경수 韓國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 2000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1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ealth behaviors in hypertensive patients and the factors that would affect these healthy life-styl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and continuous hypertension control in private medical facilities. Among those patients diagnosed as hypertension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two month period from August 2 to September 30, 1999, the present study included 222 patients who were in more than one month after the initial diagnosis of hypertension and those who had hypertension for less than 10 year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by a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 an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χ2-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scores on knowledge related to hypertension were higher as the education level of a patient was higher(p〈0.05). As for occupation, those who performed office or management job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were into manufacturing jobs, and as for economic status, although those patients who were in middle class showed highest scores,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The scores of knowledge on hypertension was higher when the family history hypertension was present(p〈0.05). The scores of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higher with higher education level and higher economic status, higher in those with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and higher in those with office or management jobs than those who had manufacturing jobs(p〈0.05). Blood pressure measurement on regular basis was performed most frequently in those who were between 50∼59 years old with 83.3% and was least frequent in those who were older than 70 years old with 50%(p〈0.05). The frequency of regular blood pressure measurement was higher with higher education level, higher economic status, higher in those with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and the highest in those with management position with 93.5%, however, 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Changes in health-relaxed behaviors after hypertension diagnosis were higher with higher education level, higher economic status, and in those patients performed office or management work. In particular, diet change was observed in female and higher economic status and smoking cessation was observed in 60∼69 years old. Housewives and office workers or managers have taken exercise more regularly and those who had management jobs and had high scores on knowledge related to hypertension would participate health education program more actively. Thus, for improving health-related behaviors for continuous management of hypertension, changes in health-related behaviors can be followed through conduction health education to improve understanding of knowledge related to hypertension as the method of helping to improve changes in health life-styles in those with little education and those in low economic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