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sociation between Behavioral Risk Factors and Self-Rated Health: Data from National Health Surveys in South Korea and Thailand

        Pholpark Aungsumalee,Shin Hye Ri,Aekplakorn Wichai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한국과 태국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위험행동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은 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의 2009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태국은 전국 건강검진조사(Thai National Health Examination Survey, NHES)의 2009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과 태국의 18세에서 60세 미만의 성인으로 각 각 5,649명 및 7,753명이다. 분석은 다중로지스틱 분석방법(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 한국과 태국 모두 건강위험행동요인 중 운동과 흡연은 주관적 건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운동이 한국(OR: 1.46; 95% CI 1.23-1.74)과 태국(OR: 1.21; 95% CI 1.04-1.41)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강하게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과 태국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사회심리적인 차이를 고려한 건강위험행동에 관한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 활동의 강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behavioral risk factors and self-rated health (SRH) among Korean and Thai adult populations. The data came from the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and the 2009 Thai National Health Examination Survey. These surveys were based on representative samples of the Korean and Thai populations aged between 18 and 59 years, a total of 5,649 and 7,753 respondents, respectivel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ehavioral risk factors, including lack of physical activity and smoking, were homogenously associated with SRH in both countries. However, physical activity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SRH in Korea (odds ratio [OR]: 1.46; 95% confident interval [CI]: 1.23-1.74) and Thailand (OR: 1.21; 95% CI: 1.04-1.41).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disease prevention and promotion interventions regarding behavioral risk factors should be strengthened in both countries by taking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psychosocial differences into considerations.

      • KCI등재

        Asian Financial Crisis and Health Policy Reform in Korea and Thailand

        Pholpark, Aungsumalee(폴팍 앙수말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6 No.-

        After long debates together with several movements to pursue the equity of health system for over decades, Korea and Thailand achieved health care policy reforms in the early 2000s. These reforms brought the significant policy changes to their social welfare systems, particularly transforming their health care to be more inclusive and equitable. Although most past literature on health reforms prefers explaining the process with either institutional analysis or policy process model, both approaches capture mainly the roles and interactions among involved actors, ignoring the contextual factors propelling such reforms, not to mention the inclination to focus on similarities in existing comparative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to explain how the policy changes happening in these two countries in the wake of financial crisis, aiming at highlighting some differences in the process that resulted in different outputs and outcomes. The findings showed that although the ACF is applicable to explain the process of health policy reforms in cases of Korea and Thailand, it is not sufficient to elucidate the policy process under the policy subsystems: different combinations of advocacy coalitions and reform opponents that truly determined the intensity of policy reform in both countries. 수십 년 동안 의료 시스템의 형평성을 추구하기 위한 오랜 논쟁 끝에, 2000년 초반에 한국과 태국은 건강정책 개혁을 달성하였다. 의료개혁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제도 분석이나 정책 과정 모델을 통해 과정을 설명하는 것을 선호한다. 두 접근 방식은 모두 행위자의 역할과 상호 작용에 대해 살펴보는 방식이지만, 개혁을 추진하는 맥락적 요인을 무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옹호연합모형을 도입하여 금융 위기로 인해 두 나라의 정책변화가 어떻게 발생하였고 그 결과가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옹호연합모형이 한국과 태국의 의료정책개혁 과정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책 하위시스템의 정책과정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 국가에서 옹호연합의 다른 조합과 개혁 반대자들이 정책 개혁의 강도를 결정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