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lganciclovir를 이용한 거대세포바이러스망막염의 치료

        김나래,문연성,진희승,윤준호.Na Rae Kim. M.D.. Yeon Sung Moon. M.D.. Hee Seung Chin. M.D.. Jun Ho Yoon. M.D.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3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 patient with cytomegalovirus (CMV) retinitis who was treated with oral valganciclovir. Case summary: A 34-year-old man who had undergone anti-cancer chemotherapy for Non-Hodgkin lymphoma was referred to the ophthalmologic oncology clinic because of decreased vision in both eyes. Fundus examination showed white, opaque, and granular retinal lesions in both eyes, and a serologic test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CMV antibody IgG and a negative response to CMV antibody IgM. The patient received induction therapy with intravenous ganciclovir and maintenance therapy with oral valganciclovir 900 mg once daily. CMV retinitis reactivated 4 weeks after maintenance therapy was discontinued. At that point, the patient received induction therapy with oral valganciclovir 900 mg twice daily for 3 weeks and maintenance therapy with 900 mg once daily for 5 weeks. The retinal lesion disappeared and did not recur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valganciclovir. The patient discontinued valganciclovir after 5 weeks of maintenance therapy, and CMV retinitis did not reactivate during 6 months of follow-up. Conclusion: Oral valganciclovir was clinically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CMV retinitis in a patient who was treated with anti-cancer chemotherapy for non-Hodgkin lymphoma.`

      • 외이도의 귀지샘종 - 2예 보고 -

        김나래,한규철,황희영,조현이,Kim, Na-Rae,Han, Kyu-Cheol,Hwang, Hee-Young,Cho, Hyun-Yee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09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5 No.2

        외이도의 종양은 드물며, 귀지샘에서 기원한 종양은 더욱 흔하지 않다. 저자들은 이루를 동반한 2예의 귀지샘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현미경적으로, 2예 모두 중층 혹은 단층으로 둘러싸인 세관 혹은 샘으로 이루어진 경계가 좋은 종양이었다. 종양세포는 과립성의 풍부한 호산성 세포질을 가졌고, 세포질의 관내 돌출이 관찰되어 아포크린화생을 보였다. 완전 절제후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귀지샘종은 경계가 좋은 양성종양이며, 광범위 절제 치료하지만, 높은 재발율을 보인다. 여기에서 외이도에서 발생한 귀지샘종의 임상적 소견과 함께 병리 소견에 대해 기술하였다.

      • A Case of Schwannoma of Nasal Cavity

        김나래,차흥억,김동영,하승연,정동해,Kim, Na-Rae,Cha, Heung-Eog,Kim, Dong-Young,Ha, Seung-Yeon,Chung, Dong-Hae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09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5 No.2

        신경초종은 전신의 말이집신경 중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말초신경집 양성종양이다. 이 종양이 비강에서 발생하는 것은 흔하지 않다. 저자들은 뇌경색으로 입원하고 있던 55세 여자환자에서 다량의 비출혈을 동반한 비강 신경집종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부비강 컴퓨터단층촬영사진상 좌측비강과 비인두를 채우는 비균질한 저음영의 거대 종양이 관찰되었고 뼈의 재형성 역시 관찰되었다. 내시경 생검을 시행하였다. 병리검사상, 난원형의 경계가 좋은 병변이 편평상피로 화생된 비강 점막 아래에서 관찰되었고, 종양은 물결모양의 핵을 가진 방추세포로 이루어져 있었고, 방추형의 핵들이 밀집하게 모여있는 Antoni A 부분과 세포의 수가 적으며 허술하게 뭉쳐있는 Antoni B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S-100 단백질 면역염색에 양성이었다. 비강의 신경초종으로 진단하였다. 따라서, 흔하지 않게 접하게 되는 비강 신경초종의 임상양상, 감별진단,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Three Cases of Mucocutaneous Angiomyolipoma in the Head and Neck Region with Reference to the HMB-45 and Melan-A Immunohistochemistry

        김나래,김동영,차흥억,하승연,Kim, Na-Rae,Kim, Dong-Young,Cha, Heung-Eog,Ha, Seung-Yeon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09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5 No.2

        혈관근육지방종은 지방, 평활근, 두꺼운 벽의 혈관이 다양한 비율로 구성된 흔하지 않은 과오종이며, 이는 결정 경화증을 동반하거나 산발적으로 발생한다. 저자들은 혈관근육지방종이 드물게 발생하는 두경부에서 발생한 귓바퀴 1예, 구개점막 2예의 혈관근육지방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병리소견상, 3예 모두에서 성숙지방조직, 불규칙한 혈관, 그리고 HMB-45와 Melan-A에 음성을 보이는 평활근육세포로 이루어진 조직소견을 보였으며, 여러군데에서 림프구 침윤이 3예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으로 진단하였다. 세증례 모두 결절경화증은 동반되지 않았다.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에서는 혈관주변세포가 HMB-45와 Melan-A에서 음성을 보였으며, 이는 간이나 신장의 혈관근육지방종에서의 특징적인 양성반응과는 다른 점이었다. 간이나 신장에서 생긴 혈관근육지방종과 다른 임상병리적 특징을 비교 기술하고자 두경부에서 발생한 점막피부 혈관근육지방종 3예를 보고한다.

      • 성인여성에서 발생한 유방의 분비성 암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

        김나래,고영혜,오영륜,Kim, Na-Rae,Ko, Young-Hyeh,Oh, Young-Lyun The Korean Society for Cytopathology 2000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1 No.1

        유방의 분비성 암종은 관 기원으로 통상의 침윤성 관암종보다 예후가 좋은 드문 종양이다. 현재까지 분비성 암종에 대한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세포학적 소견에 대해 보고한 영문보고는 소수이며 국내에는 단 1예의 보고가 있다. 최근 저자들은 세침흡인 세포검사로 진단한 유방의 분비성 암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세포학적 소견은 약호산성의 분비성 물질로 이루어진 배경에 종양세포들이 판상구조를 보이며 개개로 떨어지는 세포는 거의 없었다. 레이스양 세포질의 다공성 변화는 간혹 반지 양 모양을 이루기도 하여 분비성 암종에 합당하였다. 본 증례에서 알 수 있듯이 분비성 도말 배경과 점액으로 채워진 소낭성 공간 및 간혹 관찰할 수 있는 관상피세포의 이형성은 유방의 드문 종양인 분비성 암종의 정확한 세포학적 진단에 매우 유용한 소견이다. Secretory carcinoma of the breast is a rare tumor of the ductal origin with a more favorable prognosis than the conventional ductal carcinom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are a few reports on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of secretory carcinoma in the English literature and one in the Korean literature.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secretory carcinoma of the breast performed by FNAC. The cytologic smears revealed several clusters and sheets of cohesive neoplastic cells in eosinophilic secretory background. Individually scattered cells were rarely found. Intracytoplasmic vacuolization and occasional signet rung cells with lacy cytoplasm were detected. To make the diagnosis and differentiation of this rare, tumor, an identification of the secretory background and microcystic spaces filled with bluish mucin and occasional nuclear atypism of tumor cells is crucial.

      • KCI등재

        개정 집합건물법의 주요 내용과 입법과제에 관한 소고

        김나래(Kim, Na-Rae)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東亞法學 Vol.- No.88

        집합건물법은 1984년에 제정된 후, 집합건물법의 규범적 효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차례 개정되었다. 그러나 구분소유자간, 구분소유자와 점유자간, 관리단과 관리인간, 구분소유자와 관리인과 관리위원회간에 분쟁이 생길 때마다 집합건물법이 이를 해결할 수 없어 실효성이 없다는 비판을 지속적으로 받아왔다. 2021년 2월 5일부터 시행되는 개정 집합건물법은 집합건물을 소유하거나 점유하고 있는 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그들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결실이다. 개정의 내용을 크게 분류하면, 첫째, 집합건물 관리의 투명화, 둘째, 집합건물 관리의 효율화, 셋째, 집합건물 관리의 공백 방지이다. 위의 세 가지 항목의 보완을 통하여 집합건물법의 실효성을 높이고, 증가하는 집합건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집합건물법 운영에 있어서 발생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존재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소관청에게 집합건물의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명령을 하거나 조사 등을 할 수 있는 규정을 보완하고, 관리비에 관한 규정을 집합건물법에 신설하며, 집합건물분쟁조정위원회가 실효성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분쟁조정 신청을 받은 상대방은 반드시 응하도록 하며, 권리변동 있는 공용부분의 변경의 경우에도 민법상 일반적인 공유물의 처분·변경을 할 때와 같이 구분소유자 전원의 동의를 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has been amended several times to enhance the normative effect, since its enactment in 1984, However, whenever disputes arose between the owners, the occupiers and the management team, the management committee, etc,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has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for not being effective because it cannot be resolved. The revised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effective from February 5, 2021, is the fruit of efforts to protect the rights of those who own or occupy Condominium buildings and settle disputes between them. The major contents of the amendments are as follows. First, transparency in the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Second, efficiency in the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Third, prevention of gaps in the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By supplementing the above three items, the Act was design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t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plan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increasing number of condominium buildings. However, there are still areas to be improved to address all problems arising from the operation of the 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s.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regulations of the relevant office for the management and investigation of a condominium buildings, to newly establish a regulation on the administrative expenses, to ensure that the other party who has received an application for dispute mediation must comply with the request so that the Dispute Mediation Committee can operate effectively, and to obtain consent from all owners of changing of common sector as in case of civil law.

      • KCI등재

        파라메트릭 프로덕션 패턴 제작을 위한 상의 누드 패턴 개발

        김나래 ( Na Rae Kim ),남윤자 ( Yun Ja Nam ),박진희 ( Jinhee Park ) 한국의류학회 2019 한국의류학회지 Vol.43 No.5

        The automatic drafting of clothing patterns can be realized through an Apparel Cad System when the clothing pattern has a pattern expression in human dimensio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automatic system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ready-to-wear of various complex designs with one system. This study develops ready-to-wear patterns in an automatic drafting style and also develops nude patterns with human dimension- based drafting styles that can be applied to enable the setting of margins by design. For this purpose, radial body length measurement items and measurement methods were newly defined for female standard dummy and nude pattern systems. The institutional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principle of a nude pattern syste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attern system of the existing system. The nude pattern developed in this study represents a basis and framework for the gradual transformation of the production pattern into the automatic system of the future and as a pattern having an institutional formula based on human dimensions.

      • KCI등재
      • KCI등재

        불효자방지법에 관한 소고

        김나래 ( Kim¸ Na Rae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一鑑法學 Vol.- No.49

        최근에 우리나라는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노인부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가정 내에서 노인, 즉 노부모에 대한 부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노인학대 범죄 및 노인의 고독사가 증가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들이 겪고 있는 학대, 경제적 빈곤, 질병, 고독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 일환으로 발의된 부모 재산을 증여받은 자녀가 부모를 부양하지 않고, 학대 등과 같은 배은행위를 한 경우에 증여한 재산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민법 개정(이른바 불효자방지법)의 시도는 과거에도 있었지만, 최종적으로 개정되지 못하였다. 그런데 21대 국회에서 다시 이와 관련된 개정안이 발의되고 있다. 실제로 자식에게 재산 증여를 마친 부모는 자식이 패륜행위를 하더라도 재산을 되찾을 길이 없고, 그로 인하여 생활고를 겪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부양료지급청구소송 정도만 제기할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한 입법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입법단계에서 증여만 받고 부양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심지어 증여를 받자마자 학대를 일삼는 자녀를 제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한 방안으로는 증여자 또는 그 배우자나 직계혈족에 대한 범죄행위, 증여자에 대한 부양의무 불이행과 같은 해제의 기존 사유에 학대와 그 밖에 현저하게 부당한 대우를 추가하고, 부양의무 불이행의 객체로 배우자를 추가한다. 그리고 증여자가 증여 해제를 함으로써 수증자가 증여재산의 전부를 반환하도록 한다. 해제권의 제척기간은 해제 원인이 있음을 안 날, 즉 자녀가 망은행위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때로부터 1년으로 확대한다. 또한 증여자가 수증자의 망은행위로 인하여 사망한 경우에는 증여자의 상속인이 증여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속인이 수인인 경우에 상속인 전원의 합의에 따라 증여의 해제권을 행사하도록 하고, 전원의 합의로 해제권 행사를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상속인의 과반수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차적 타당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Recently,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has soared, raising interest in supporting the elderly. In particular, it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as support for the elderly is not done properly in the home, and the number of elderly abuse crimes and the number of elderly people’s solitude increases. As a result, it is time to make efforts to solve problems such as abuse, economic poverty, disease, and solitude that older people are suffering. As part of this, there was an attempt to amend the civil law to allow children who received parental property to receive the donated property back if they did not support their parents and committed a crime such as abuse, but it was not revised. However, amendments related to this are being proposed again at the 21st National Assembly. In fact, parents who have given property to their children after donating their property to their children have no way to recover their property even if their children commit abuse, and even if they suffer from hardships, they have no choice but to file a lawsuit against them. To resolve this, it is necessary to crack down on children who receive only gifts and do not fulfill their support obligations or even abuse as soon as they receive gifts. Such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abuse and other significantly unjust treatment of a donor, his or her spouse, lineal blood relative should be added to the reasons for the removal. Second, the donee should restitute all of the gift property when the donor removes the donation contract. Third, the period of the right to release will be extended to one year from the day when it is known that there is a cause for release. Fourth, if a donor dies due to the ingratitude of the donee, the heir of the donor should revoke the donation. When there are multiple heirs, heirs should exercise under the consent of all heirs, and if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release with the consent of all heirs, it should be able to decide as a majority of the heirs.

      • 도시재생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친 효과 분석 :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 사업 완료 지역을 중심으로

        김나래(Kim, Na Rae),남진(Nam, Jin) 한국지역개발학회 2021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Since the 1960s, Korea has achieved rapid urban growth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industrialization. This increase in population due to urban growth caused urban development centered on new urban development. However, as the population growth rate decreases, the need for new urban development decreases, and pre-developed cities are declining over time. Accordingly, it has shifted away from the urban development paradigm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in the past, and now to an urban regeneration paradigm that revitalizes the old city center and considers the quality of life of urban resident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troduced in this paradigm is a project that helps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region by comprehensively establishing a plan for the designated region (Article 2 of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In this study, amo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designated in 2014 and 2016, research is conducted on central urban and economic-based project areas. This type is a type that focuses on regional economic growth. The region was selected to study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economic capacity of the reg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region has grown or decreased compared to the entire country by utilizing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city and the regional allocation coefficient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Using this, we intend to understand w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need to strengthen regional capabilities and improve and supplement in terms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