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반복적인 경부 종물로 발현된 구개편도의 기저양 편평상피세포암 1예

        김문준(Munjun Kim),윤 진(Jin Youn),양윤수(Yunsu Yang),홍기환(Kihwan Ho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2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8 No.1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BSCC) is a high-grade varia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with a pre-diction for multifocal involvement of the base of tongue, pyriform sinus, supraglottic larynx, hypopharynx and palatine tonsil. It primary affects men in the seventh decade of life with frequent cervical lymph-node metasta-sis at presentation. Grossly, these tumors are usually firm to hard, with associated central necrosis, occuring as exophytic to nodular masses. Histologically, the this infiltrating tumor offers a variety of growth patterns, includ-ing solid, lobular, cribriform, cords, trabeculae, nests and glands or cyst. We present a 55-year-old female who was treated with surgical excision and radiotherapy. She was firstly presented as a recurrent inflammatory neck mass and finally diagnosed with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palatine tonsil.

      • 이형손의 생애와 논산 재지사족 가평이씨

        김문준(Kim, Munjun)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0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8 No.1

        세조대부터 성종대까지 무관으로 재직한 이형손(李亨孙, 1418~1496)의 생애와 가문의 논산 입향 과정, 집안의 혼맥을 통하여 15세기 후반 양반가들의 혼맥과 교류의 실정을 엿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15세기 후반기 여러 가문의 혼인 관계와 입향 및 가정 대소사에 처가 관계가 많이 작용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형손이 살았던 시기는 계유정난, 세조의 왕위 찬탈, 단종복위운동, 이시애의 난, 무오사화가 연이어 일어난 시기였다. 세조의 왕위 찬탈과 사림파의 진출로 계유정난 공신과 단종 폐위 비판 세력의 간극, 훈구파와 사림파가 대립하던 시기에도 정난공신 이형손 일가와 신진 사림 김일손 일가, 단종 폐위에 반대한 왕실 이현동 일가의 연계와 혼맥은 후대인에게 잘 드러나지 않는 15세기 조선의 가문간.인물간 연계 고리를 다시 생각해 보는 사례가 된다. 김일손이 지은 이형손의 묘갈명은 계유정난 이후에도 훈구 공신들과 신진 사람간에 연결되어 있던 처가 인맥의 이면을 보여주는 것이고, 이형손의 부친 이다림이 연산에 입향한 과정과 이현동의 연산 입향 과정은 모두 처가와 관련된 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5세기 말 가문간의 혼맥과 인맥은 당시의 치열한 정치적 갈등 속에서도 처가를 매개로 하는 연결고리를 이루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주행상황에 따른 차량용 외부 라이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픽셀 이미지 연구

        김문준(Kim, Munjun),박효신(Park, hyoshin)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V2V(Vehicle to vehicle) 커뮤니케이션에는 차량간 통신의 보안 문제와 인프라 구축에 어려움이 있어 기존 차량간 커뮤니케이션 기술인 라이트 커뮤니케이션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차량간 라이트 커뮤니케이션은 정보전달과 운전자 간 감성적 상호작용 표현에 있어서 제한된 요소를 사용하여 차량용 라이트를 통해 발생하는 오해를 증가시킨다. 한편, 최근 개발 중인 자동차 라이트 기술 중, 픽셀 라이트는 도로교통의 오해를 해결할 가능성이 있다. 픽셀 라이트를 통한 픽셀 이미지의 활용은 픽셀아트와 같이 공감을 이끌어 내기 쉬운 장르이고, 감정전달을 위한 소통 수단으로써 유의미한 결과가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주행상황에서 자동차 외부 라이트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의 범위를 알아보고 이를 픽셀아트를 통해 표현할 때, 어떤 픽셀 라이트 이미지가 효과적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관련 법규와 문헌을 분석하여 라이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주행상황을 정의하고, 픽셀 라이트와 관련된 문헌 조사를 통해 라이트 커뮤니케이션의 범위를 선정한다.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픽셀 라이트 이미지 제작 가이드를 구성하고 가이드에 맞춰 주행상황별 픽셀 라이트 이미지를 제작한다. 이후 사용자 평가를 통해 라이트 이미지별 인식률을 조사하였고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개선점과 한계점을 도출하였다. 개선점을 보완한다면, 주행상황에 맞는 픽셀 라이트 이미지를 통해서 라이트 커뮤니케이션의 오해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 위치기반 취미 모임 큐레이션 앱 클랙(Clack): 1 인 가구 MZ 세대의 인적 교류를 위한 서비스 디자인

        김문준(Kim, Munjun),방은정(Bang, Eunjung),임진수(Im, Jinsu),김지영(Kim, Jiyoung),전수진(Jun, Soojin)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1 인 가구는 다른 가족 구성에 비해서 경제적, 정서적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COVID-19로 인해 1인 가구 중, MZ 세대의 정서적 고충이 더욱 악화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활발한 인적 교류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MZ 세대의 특성이 반영된 인적 교류 서비스가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COVID-19 의 유행 이후, MZ 세대의 실내 소규모 취미활동 참여가 증가했다. 또한 생활 반경이 좁아지면서 취미 모임의 장소가 거주지 중심으로 가까워지는 추세이다. 또한, MZ세대는 느슨한 연대를 원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인 가구 MZ 세대의 정서적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인적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거주지역을 기반으로 느슨한 연대를 가능케 하는 취미 모임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1 인 가구 MZ 세대를 대상으로 취미 활동과 모임에 대한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4 가지 주요 인사이트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디자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프로토타입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개선점을 파악해 서비스를 보완했다. 해당 서비스는 3 가지 의의를 지니며, 향후 어떠한 기능이 인적교류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The Utility of Fibrin Sealant and Safety of Thyroid Surgery without Drainage

        Kihwan Hong(홍기환),Yunsu Yang(양윤수),Munjun Kim(김문준),Jin Youn(윤진),Kyengsuk Lee(이경석)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2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8 No.1

        배경 및 목적 섬유소 응고제(fibrin sealants)는 다양한 두경부수술에서 지혈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액관을 삽입하지 않는 갑상선 수술에서 섬유소 응고제의 효용성과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최근 1년간 108명의 갑상선 수술환자 중에서 수술 후 배액관의 삽입없이 수술을 받은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 과 103명의 대상환자 중에서 남성은 16예, 여성은 87예였다.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46.7±13.0세였고, 연령분포는 17세에서 72세였다. 갑상선 종물의 평균크기는 2.08±1.61cm였고, 종물의 크기는 최소 0.2cm에서 최대 10.0cm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수술에는 갑상선 엽절제술이 5예, 갑상선반절제술이 41예, 아갑상선 절제술이 8예, 갑상선 전절제술이 6예, 갑상선 전절제술과 중심경부림프절 절제술이 37예, 갑상선 전절제술과 선택적경부림프절 절제술 이 6예가 있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11예(10.6%)에서 발생하였고, 발생한 합병증으로는 장액성종창이 3예, 혈종이 1예, 일측성 성대마비가 3예, 저칼슘혈증이 4예 있었다. 성대마비는 수술 후 3개월 이내에 모두 호전되었고, 장액성 종창은 반복적인 세침흡인으로 호전되었다. 1예의 혈종은 지연성으로 발생하였고, 수술 후 5일째에 수술을 통해 제거 하였다. 결 론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갑상선 수술에서 섬유소 응고제의 사용은 다양한 갑상선 수술에서 효과적인 지혈과 함께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배액관의 삽입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