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관환경과 사례관리자의 동기가 사례관리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전미애(Chun, Miae),김소영(Kim, So-You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2

        본 연구는 사회복지 기관환경과 사례관리자의 동기가 사례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 기관환경과 사례관리 수행 사이에 작용하는 사례관리자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과 경인지역에 위치한 종합·장애인·노인 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620부의 응답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관환경 중 업무지침 명확성과 사례관리자의 동기이며 사례관리자의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환경은 업무지침 명확성, 긍정적 피드백, 기관의 지지로 나타났다. 또한 사례관리자 동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업무지침 명확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긍정적 피드백과 기관지지는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사례관리 수행 증진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f social work organizations and case managers" work motivation on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nd to examine a mediating effect of case managers" work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social workers who provide case management at community social work centers, senior welf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Seoul, Kyonggi and Incheon area. 620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implemen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clarity of work guidelines and case managers" work motiv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case management, and the factors that affected case manager"s work motivation were the clarity of work guideline, positive feedback, and organizational support. Also, looking into the mediating effects of case managers" motivation, clarity of work guideline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ile positive feedback and organizational support indicated complete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promote case management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Coping strategies as moderators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elderly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Miae Chun(전미애),Joon Hee Ahn(안준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 있어서 대처양식의 조절효과를 연구 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충청도에 거주하는 247명의 노인들을 면접조사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독거노인집단에서 능동적 대처양식의 사용은 낮은 자살생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에서 지원-의존적 대처양식은 자살생각에 양적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독거노인집단의 경우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능동적 대처양식의 조절효과는 자살생 각에 양(+)적 영향을 보였다. 즉 스트레스 생활사건이 낮을 때, 능동적 대처양식은 자살생각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이 되지만 스트레스 생활사건이 일정 수준보다 높을 때는 능동적 대처양식이 자살생각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회피 대처양식의 자살생각에 대한 조절효과 결과를 살펴보면, 회피 대처양식의 많은 사용은 스트레스 생활사건의 자살생각에 대한 양(+)적 효과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독거노인의 대처양식의 조절효과는 자살생 각에 대한 대처양식의 예방적 개입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suicidal idea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different coping strategi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f 247 Korean older adults living in Chungcheong-do. The results show that active cop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mong those living alone. Support-seeking cop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for both group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stressful life effects × active coping and stressful life events × avoidance coping on suicidal ideation only among those living alone. These results may imply that when those living alone experience high levels of stressful life events, avoidance coping should be taken as important preventive measures for suicidal ideation.

      • KCI등재

        사례관리자의 일 가치와 사례관리 효능감이 사례관리 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미애(Chun, Miae),김유경(Kim, Yukyu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7

        본 연구는 사례관리자가 자신의 일에 대해 갖는 일 가치(사회적 가치, 자기실현 가치, 외재적 가치)와 사례관리 효능감이 사례관리에 대한 내재적 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서울, 경기, 인천에 위치한 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서베이하였으며 608명의 응답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가치, 자기실현 가치, 외재적 가치와 사례관리 효능감이 사례관리에 대한 내재적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실현 가치는 내재적 동기에 직접적으로뿐만 아니라 사례관리 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례관리에 대한 내재적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례관리자의 일에 대한 가치관과 효능감이 중요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사례관리자의 일 가치를 명료화하고 사례관리 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work values(social value, self-actualization value, extrinsic value) regarding one"s work and case management efficacy on the case management motivation by social work case managers. For this study, we surveyed social workers who are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he area of Seoul, Kyunggi, Incheon, and analyzed 608 answered questionnair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ree of work values and case management 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case management motivation. The self-actualization value showed not only direct effect, but also indirect effect on case management motivation.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e importance of work values of case managers to improve case management motivation,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needs of educations and programs for social work case managers to clarify one"s own work values and to improve case management efficacy.

      • KCI등재

        "효"가치관이 가족 간병인의 적응양식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전미애(Miae Chun) 한국노년학회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4

        거동이 불편하거나 문제행동을 하는 노인을 보살피는 일은 육체적ㆍ정신적 부담이 따르며 때로는 우울감을 불러오기도 한다. 이러한 정신적 반응은 인종과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한국 간병인들은 환자의 기능장애나 문제행동이 미국 거주 한인 환자에 비해 적음에도 불구하고 간병 부담감과 우울감이 미국의 한인 간병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스트레스와 적응모델을 이용하여 "효"가치관이 간병인의 적응 양식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87명의 미국 거주 한인 가족 간병인들과 83명의 한국 거주 가족 간병인들을 면접 설문조사하였다. 경로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간병인들은 미국의 한인 간병인과 비교하여 높은 간병 부담감과 우울감을 보이는데, 이는 그들이 사용하는 적응양식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능동적 적응 대처 양식은 간병인의 우울감 경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한국의 간병인들은 미국의 한인 간병인에 비해 능동적 적응 대처 양식을 적게 사용하고 수동적ㆍ사회의지 적응양식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수동적ㆍ사회의지 적응양식은 간병 부담감이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간병인 교육에 있어서 능동적 적응 대처 양식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동적ㆍ사회의지 적응 양식이 유용한 적응양식이 아닌 점을 인식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효"가치관은 능동적 적응양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효" 가치관과 능동적 적응양식, 그리고 "효"가치관의 긍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환자의 거동 불편 또는 문제 행동 정도가 커짐에 따라 간병인의 부담감과 우울감이 함께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정책방안들이 마련되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Using the Sociocultural Stress and Coping Model (Aranda & Knight, 1997),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filial piety values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Eighty-seven Korean-American caregivers and 83 Korean caregivers were interviewed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Korean caregivers used less active coping and more passive coping compared to Korean-American caregivers. The use of active coping was found to be related to lower caregiver depression. However, Korean caregivers used more passive coping which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With regards to caregiver training,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active coping, but not passive coping, helped reduce caregiver distress. In addition, filial piety valu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ctive coping. More studies of filial piety and active coping are recommended.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moderners" who view traditional values with less regard, to pay attention the positive effects of filial piety values. Furthermore, we should prepare policies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caregiving. Higher levels of functional difficulties and behavior problems correspond with higher levels of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 KCI등재

        도시와 농촌 여성 노인의 독거로의 전환과 우울 :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미애(Chun, Miae),김정현(Kim, Jung-Hyun) 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학 Vol.22 No.1

        본 연구는 비독거에서 독거로 거주형태의 전환이 도시와 농촌 여성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거주형태가 전환된 독거초기 여성노인의 우울을 사회적 관계(자녀관계, 친구관계, 사회활동)가 조절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고령화패널 6차(2016)와 7차(2018) 자료에서 65세 이상 여성 노인 중 비독거 거주형태를 유지한 노인(N=1,566)과 2016년 비독거에서 2018년 독거가구로 거주형태가 전환된 노인(N=133)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PSS 25를 활용하여 평균비교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독거에서 독거로의 전환은 도시 여성노인의 우울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3가지 사회적 관계(자녀관계, 친구이웃관계, 사회활동)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농촌 여성 노인의 우울 수준을 자녀관계가 조절하였다. 즉, 비독거에서 독거로 거주형태가 전환된 농촌 여성 노인은 자녀연락빈도가 높은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우울수준이 낮았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여성 독거노인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1) whether the change of residential status from living-together to living-alone affects the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2) how the three types of social relationships (relationship with children,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neighbors, and social activities) affect the depression of elderly women at their early residential stage of living alone. Data from sixth (2016) and seventh (2018)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wo groups of female elderly aged 65 years or older, those who lived with someone in both 2016 and 2018 (N=1,566) and those who lived with someone in 2016 but alone in 2018 (N=133),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5, mean comparis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of female elderly in urban areas was affected by the change in residental status from living-together to living-alon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hange in residential status (from living-with to living-alone)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ere supported by the femal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meaning that the more frequent the contact with their children, the lower the levels of depression of female elderly in rural area at their early residential stage of living alone.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implementable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재가장기요양기관 여성기관장의 기관운영 경험에 대한 연구

        김정숙(Jung Suk Kim),전미애(Chun, Miae),양혜원(Yang, Hae Won)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여성기관장의 재가장기요양기관 운영 경험의 실제적 양상을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파악하였다. 10명의 재가장기요양기관 여성기관장들을 심층면접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따라 면접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8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10개의 주제와 22개의 의미통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볼 때, 재가장기요양기관의 여성기관장들은 어르신에 대한 애틋한 마음에서 기관을 시작하게 되었고, 기관운영 초기에는 혼자서 막막한 현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운영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이런 저런 이유에서의 서비스 기피, 과도한 영업 경쟁, 보호자들의 부당한 요양보호사 대우에 소극적으로 대처, 심신의 피로, 제도적 문제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기관운영에 있어서 내면적 성과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것은 어르신을 도우면서 갖게 되는 보람과 행복, 그리고 자부심이었고 또한 자신의 일을 통해 가족으로부터 얻게 된 인정이었다. 여성기관장만이 가질 수 있는 강점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성기관장들의 재가장기요양기관 운영경험을 통해 재가장기요양기관 운영매뉴얼과 표준운영지침 수립의 필요성과 장기요양 수급자 가족을 위한 사전교육 의무화 등 제도적 측면에서의 문제 해결방안들과 기관장들을 위한 자조집단 형성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actical aspect of the field experience of female directors of long-term home care service centers apply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For this study, 10 female directors of such service center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developed by Giorgi. Sixty-eight meaningful units resulted, comprised of 10 components and 22 sub components.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directors of long-term home care service centers started their services because of great sympathy for the elderly, and experienced great hardship in the beginnings of the development of the center. Difficulties during the operational process included service avoidance due to various reasons, excessive business competition, rough treatment of care workers by the family members of the elderly, physical and psychological tiredness, systematic problems, and more. The study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self-satisfaction including: sense of worthwhileness, happiness by helping the elderly, self-esteem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centers, and also acknowledgement by family members for their work.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included the various strengths that only female directors can show. Through these field experiences of female directors, this study recommends: systematic measures of improvement, includ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operational manuals and standard operational guidelines, and a requirement for education of the clients and families of clients before their make use of the services, as well as formation of support group interventions for the directors.

      • KCI등재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염지혜(Jihye Yeom),전미애(Miae Chun)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러한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Baltes와 Baltes(1990)의 선택, 적정화, 보상 이론(SOC)과 Prandini(2014)의 가족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이 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노년기에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서 1인가구를 추출해 연구대상자(남 n=370, 여 n=1770)로 삼았으며, 친구·이웃만남과 경로당·복지관 참여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의 경우 가족관계가 친구·이웃 또는 경로당·복지관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는 가족과의 연락빈도가 친구·이웃만남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경로당 복지관 참여에는 가족연락빈도와 자녀관계 만족도가 정적(+) 영향이 나타난 반면 가족만남빈도는 경로당 복지관 참여에 부적(-) 영향이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가족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이 된다는 Prandini(2014)의 주장이 지지되는 것으로 보이나, 어떠한 종류의 지역사회참여인가에 따라서 그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에 대한 실천적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family relationships of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affect community participation and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y gender. Based on Baltes and Baltes (1990) s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theory (SOC) and the argument that family members are a social capital by Prandini (2014), we test whether family relationships can affect community participation in old age. In order to verify this,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extracted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ale sample=370, Female sample=177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of friends·neighbors and the participation at Kyungrodang·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men, family relation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articipation in friends·neighbors, or Kyungrodang·welfare centers. However, in the case of women,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ami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requency of meeting friends·neighbors. Family contact frequency and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Kyungrodang·welfare center participation, while family meeting frequency had a nega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 Kyungrodang·welfare centers. For women, although Prandini s (2014) claim that family members are a social capital seems to be supporte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could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addition, practic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기초연금 도입 전후 노인 가구 소득액과 소득구성의 변화 -성별 및 가구유형별 비교-

        김정현 ( Kim Jung-hyun ),전미애 ( Chun Mia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0 사회복지정책 Vol.47 No.1

        노인에게 최소한의 소득을 보장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도입된 기초연금제도는 노인의 소득수준과 소득구성에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N=9,790) 및 2017년(N=10,299) 노인실태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기초연금 도입 후 노인 가구의 소득액과 소득구성이 10 년간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화가 성별과 가구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남성독거가구, 여성독거가구, 부부가구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초연금은 남녀 독거노인에게 중요한 소득원으로 자리매김하였으나 여성독거노인은 사적이전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았고, 부부노인가구는 남녀독거노인에 비하여 근로사업소득 및 공적이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성별, 가구유형별로 기초연금 도입 후 소득구성의 차이를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basic pension system, introduced since 2014 to secure the minimum income for the elderly, has changed the income level and income composition of the elderly. This study examined how income and income composition of elderly households chan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basic pension, analyzing two waves of the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in 2008(N=9,790) and 2017 (N=10,299). To find out whether these changes differ among the elderly by gender and household type males living alone, females living alone, and married couples were compar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basic pensions have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regardless of gender, however women living alone were still highly dependent on private transfer. Married couples had higher dependence on labor income and public transfer than those living alone. The differences in income composi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basic pensions by gender and household type is describ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노년기 연령집단에 따라 사회활동 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현(Kim, Jung-Hyun),전미애(Chun, Miae)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연령집단별로 사회활동 참여유형이 다른지와 연령집단별로 행복감에 미치는 사회 활동 유형은 무엇인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고령화패널연구(KLoSA), 5차(2014)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5차 시점에서 65세 이상이면서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 3,273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경제활동 참여 비율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여가활동은 연소노인이 중고령노인이나 초고령노인집단에 비해 참여수준이 높았다. 가족활동은 연소노인에 비해 중고령노인이나 초고령노인 집단에서 참여수준이 높았고, 그 외의 친목활동과 종교활동은 연령 집단 간 참여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집단별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사회활동 유형을 회귀분석 한 결과, 연소노인 집단에서는 경제활동을 제외한 여가활동, 친목활동, 종교활동, 가족활동이 노인의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중고령노인 집단에서는 친목활동과 가족활동이, 초고령집단에서는 가족활동만이 노인의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연령집단에 따라서 참여하는 사회활동 유형과 그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화되어가는 노인 인구의 욕구를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types on the levels of happiness of the Korean older adults by age groups. The 5th wave(2014)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as used and a total of 3,273 elderly were selected from the 5th wave, who were 65 years old and older and who were not living with their offsprings. Chi-square 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declined with age and the levels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was higher in the young-old group in comparison to the middle- and the oldest- old groups. The levels of participation in family activities was higher in the middle- and the oldest-old groups in comparison to the young-old group. Socializing activities and religious activities measured by the frequencies of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of social activity types and their effects on happiness by age groups are the followings: 1) Leisure, socializing, religious, and family activities all (with the exception of economic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level of happiness of older persons in the young-old group. 2) However, only socializing and family activities in the middle-old age group, and only family activities in oldest-old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s of happiness.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rates of participation in the five types of social activities and their effects on the levels of happiness were different by age group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at needs and the interests of older individuals are different by age groups based on empirical evid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