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의 조절효과: 중국 공기업 사무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Li XuNing,박윤희(Park, Yoon-Hee) 한국비서학회 202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0 No.2

        많은 조직에서 치열한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 공기업은 국가 재정의 주요 수입원 역할을 하는 동시에 많은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경제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는 중국 공기업 사무직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조직학습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산동성의 4개 도시의 공기업에 재직하는 사무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50명의 응답결과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학습의 하위요인인 적응적 학습과 생성적 학습은 모두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학습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부분적으로 조절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의 하위요인인 활력은 적응적 학습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성적 학습과 조직몰입,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부적인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헌신은 적응적 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정적 조절효과를 나타냈지만, 생성적 학습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부적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두는 적응적 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나, 생성적 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부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중국 공기업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learning perceived by office workers of state-owned enterprises (SOEs) in China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ample of the study was incumbent office workers of SOEs in four cities in Shandong Province, China. A total of 250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adaptive learning and generative learning,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learning,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job engagement partial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