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후복막강내 발생한 Castleman병 1례

        남성진,이동욱,박찬규,정시욱,김추성,조성래,구본천,양사규,이일웅,박정자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Castleman' s disease is a rare, reactive lymphoid proliferation of unknown cause and pathogenesis. Depending on histololgic findings, it has been divided into two distinct histologic subtypes that include hyaline-vascular type(90%) and plasmacell type(10%). This disease occurs most commonly in mediastinal lymph nodes and cervical lymph nodes, inguinal lymph nodes respectively. But occurs rarely in retroperitoneum. We report a case of hyaline-vascular type asymptomatic Castleman' s disease of the retroperitoneum in a 47-year-old man.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SCOPUSKCI등재

        경북 성주지역 장수노인의 계절별 식품섭취 상태

        백지원(Ji-Won Baek),구보경(Bo-Kyung Koo),김규종(Kyu-Jong Kim),이연경(Yeon-Kyung Lee),이성국(Sung-Kook Lee),이혜성(Hye-S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수노인들의 식품섭취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건강한 장수를 위한 식생활 지침의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성주군에 거주하는 85세 이상 고령노인 중에서 일상 생활에 문제가 없는 224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복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1년간 4회의 계절별 식품 섭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절별 식품군별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노인은 감자류의 섭취량이 여름철에 유의적으로 높고, 버섯류의 섭취량이 가을철에 유의하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식품군의 섭취량에 있어 계절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노인의 경우 곡류, 당류, 두류, 채소류, 과일류, 조미료류, 음료 및 주류, 육류, 우유류, 어패류의 섭취량이 겨울철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종실류, 해조류, 난류의 섭취량은 계절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조사 대상자들의 연평균 1일 총 식품 섭취량은 594.4±186.1 g이었으며 이 중에서 513.5±161.2 g(86.4%)는 식물성 식품군으로부터 섭취하였고 79.3±56.7 g(13.3%)는 동물성 식품군으로부터 섭취하였다.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식품군은 곡류였으며그 다음이 채소류, 과일류, 어패류, 음료 및 주류, 조미료류, 두류, 육류, 우유류, 감자류 등의 순이었다. 장수 노인대상자들의 음식별 섭취빈도는 밥류에 있어서는 쌀밥의 섭취비율이 80.1~89.2%로 가장 높았으며 국과 찌개류에서는 쇠고기국, 된장국, 된장찌개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어육류 식품의 경우 조기구이의 섭취비율(9.4~12.7%)이 높았으며, 해조류 식품의 경우 김구이의 섭취비율(7.4~20.5%)이 높았고, 각 계절마다 계절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김치류의 경우 배추김치의 섭취비율이 4계절 모두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품요리류는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라면과 국수의 섭취비율이 높았다.<br/> 본 연구의 결과에서 경북 성주지역 장수 노인들의 계절별 식품 섭취량에 있어 겨울철의 식품 섭취량이 다른계절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노인보다는 여자노인이 식품섭취에 계절에 의한 영향을 더욱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수 노인들은 가공식품보다는 계절마다 제철에 생산되는 자연 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장수노인들은 소식의 경향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소식습관과 신선한 식물성 식품들의 일상 섭취가 건강한 장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food intakes of the long-lived elderly and to obtain the data for establishing dietary guidelines that may be recommended for the general population for the sake of longev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4 elderly people of age over 85 years living in Kyungpook Sung-Ju area who have no problem in daily living. The food consumption survey was carried out seasonally by the repeated 24-hr recall method for one year. The subject group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58 males and 166 females, the average age being 87 years old. Food intakes of the winter were more than any other seasons. The mean daily total food intake per capita was 594.4 g, 513.5 g (86.4%) from plant foods and 79.3 g (13.3%) from animal foods. The sequence of high intakes of food groups were cereals, vegetables, fruits, fishes, legumes and meats. Boiled white rice, beef soup, soybean paste soup, soybean paste stew, broiled yellow croaker, kimchi, ra myon and broiled noodles were consumed most frequently. In conclusion, the subjects consumed much more plants foods than animal foods and consumed more natural and seasonal foods than processed foods and also showed food habits of eating small meals. Dietary habits of eating small meals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fresh plant foods migh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longevity of the subjects.

      • SCOPUSKCI등재
      • 무기질 담체에 대한 폐수중 미생물의 흡착 메카니즘

        이상훈,정기택,박재구,류경근 漢陽大學校 環境工學硏究所 1997 環境科學論文集 Vol.18 No.-

        무기질 담채에 대한 폐수증 미생물의 흡착 메카니즘에 대하여 두 입자간의 물리화학적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DLVO이론을 도입하여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흡착제는 평균입도가 약40㎛ 정도인 규석, 고령토, 석회석질의 입자 및 다공성의 벌크상 소재를 이용하였다. 시간에 따른 미생물 흡착량(biofilm mass)은 반응전후의 담체(carrier)의 질량차로 구하였으며, 이에따른 폐수중의 COD제거율을 측정·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폐수중의 COD제거율은 석회석, 고령토, 담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담체의 표면전위(ζ-potential) 및 표면구조에따른 미생물 흡착량 변화에 기인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mechanisms of adsorption of microorganisms to inorganic solid surfaces are studied with DLVO theory of describing physico-chemical interaction between two particles. Average size of 40㎛ of silica, kaolin, limestone powders and porous materials are utilized as adsorbent. Biofilm mass is estimated by the weight difference of carrier before and after the interaction with microorganisms. Also, COD removal rates in wastewater based on biofilm mss are discussed. As a result COD removal rate is higher in order of limestone, kaolin, and silica. This fact is considered that 5-potentials and surface structures of carriers cause change in adsorption capacity of microorganisms.

      •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뇌량크기 측정

        성상율,구자섭,조근호,원승희,이종훈,박종한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4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0 No.1

        Objectives : Nowadays many studies with MRI have reported structurai abnormalltles of corpus callosum of schizophrenic patients. However, the results are various and inconstant.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structural change of C O ~ U S cailosurn. Method : We measured the size of corpus callosum of the 24 schizophrenia patients (male 11, female 18) who were diagnosed by DSM-IV (19943, visited at department of psychiatry,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of Daegu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3, by using midline sagittal slice of MRI.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ize of corpus callosum of 25 controls (male 7, female 78). We divided corpus callosurn into 7 areas. We calculated and compared the areas of each subregion, mid-sagittal cerebral area, and entire corpus callosum.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Result :When we compared subregion to corpus callosum adjusted wth mid-sagittal cerebral area, schlzoph-renia patients had significantly smaller genu (1.64k0.32 vs. 1.43k0.26 p<O.O5) and splenium (2.16f0.27 VS. 1.96+0.30 ; ~(0.05). Similarly, the ratio of total corpus callosum to midline sagittal cerebral area (%)(7.50*0.72 vs. 6.90t0.82 ~(0.05)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schizophrenia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pus callosum between schizophre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 group.

      • KCI등재후보

        국내수집 밀 유전자원의 생육특성 및 분류

        이동진,박상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6 No.2

        1. 출수기는 4원 25일~4월 30일이 206점으로 공시자원의 72%를 차지했으며, 5월 1일~5월 15일이 78점으로 27%이었음. 2. 간장은 60㎝ 이하의 극단간종이 7점, 61~80㎝의 단간 종이 58점, 장간종이 91점이었음. 3. 수형, 종피색 등 12형질에 의해 4개의 품종군으로 분류 되었음. 4. 그룹별 생육특성을 보면 Ⅰ그룹은 출수 소요일수 181일, 간장 99㎝ 및 수장 9㎝이었으며, Ⅱ그룹은 출수소요일수가 185일 이었고, 간장 114㎝ 및 수장 10.3㎝로서 다른 그룹보 다 다소 길었음. Ⅲ, Ⅳ 그룹은 출수 소요일수(180일)가 짧았으며, 간장(91, 92㎝)도 짧은 경향이었으나, 수장(8.9㎝, 9.0㎝)은 Ⅰ그룹과 비슷하였음. 5. 그룹별 지역분포를 보면 Ⅰ그룹은 충남, 전남·북 및 경남·북 지역에 4~10% 정도 분포하였으며 Ⅱ그룹은 경기, 충청지역에 분포하고 있었고, Ⅲ,Ⅳ그룹은 도별로 32~67%로서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였음. 6. 국내 수집유전자원 285점 중 질적형질에 의해 세분한 결과 104개의 하위그룹(핵심수집종)으로 구분되었음.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growth characteristic among 285 Korean wheat germplasms collected in Korea. Heading date of tested accessions were shown 206 accessions (72%) in April 25~30 and 78 accessions (27%) in May 1~15, respectively. In culm length, 58 accessions were 61~80cm and 91 accessions were more than 100 ㎝. Especially, 7 accessions had short cuhn length less than 60 ㎝. Based on morphological relationship, the Korean wheat collection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growth relationship, on morphological traits, Group Ⅰ was day to heading (181 day)with culm length (99 ㎝) and spike length (9 ㎝). Group Ⅱ was day to heading (185 day), culm length (114㎝) and spike length (10.3㎝) longer than other groups. Group Ⅲ and Ⅳ were day to heading (185 day), culm length (91, 92 ㎝) shorter than the Groups Ⅰ and Ⅱ. However, their spike lengths (8.9, 9.0㎝) were similar to that of Group Ⅰ. According to 285 accessions by morphological traits divided by 104 core collections. According to the geographic distribution relationship, the Group Ⅰ was 4~10% distributed in Chungnam, Chonnam, Chonbuk, and Kyungnam province. The Group Ⅱ was almost distributed in Chungchong, and Kyunggi province, while Group Ⅲ and Ⅳ were distributed in all of the country.

      • SCOPUSKCI등재

        동종골수이식 후 혈당 및 혈중 지질농도의 변화양상 및 관련인자

        이원영,강무일,오은숙,오기원,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신완식,민우성,김춘주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골수이식은 비교적 젊은 연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면역억제제의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으므로, 주로 고령의 만성 질환 환자에서 시행되는 고형장기이식에서와는 달리 당대사 및 지단백 대사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저자들은 전향적 연구를 통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로 혈당 및 혈중지단백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임상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8년 10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43명을 대상으로 이식 전 및 이식 후 1, 2, 3, 4주와 3개월, 6개월에 공복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을 측정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 변화를 관찰하고 여러 임상인자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1. 공복혈당은 골수이식 수 첫4주 동안 상승하였고 이후 감소하였으나 이식 6개월 시점의 평균 공복혈당은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이식 후 1주에 최고치를 형성하였고 이후 기저수준으로 회복되었다가 이식 수 3,6개월에 다시 증가하여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중성지방은 이식 후 1개월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후 감소하여, 3,6개월에는 기저치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고밀도지단백은 이식 후 2,3주에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후 이식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혈중 저밀도지단백은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와 매우 유사하였다. 2. 골수이식 후 6개월 시점에서 공복 혈당이 126㎎/dL이상인 환자는 7명(16%)이었다. 이들 환자들과 공복혈당 126㎎/dL 미만의 환자 36명을 비교한 결과, 공복혈당이 126㎎/dL 이상인 환자군에서 스테로이드 평균 투여량이 많았고 고밀도지단백이 유의하게 낮았다. 3.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이 더 낮았고, 3개월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다. 혈연골수이식 환자군은 비혈연골수이식 환자에 비해 투여된 스테로이드 용량이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 높았다.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군(하루 평균 7.5㎎기준)은 저용량군보다 이식 후 3개월 시점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으나 나머지 시점의 혈당, 혈중 지질농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골수이식 후 초기시기에 주로 당 대사 및 지질대사이상이 관찰되며 이는 면역억제제 투여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억제제가 고용량 투여되는 합병증 발생 시 이들 대사이상에 관심을 기울여 대처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recipients are usually younger and immunosuppressants are open used in shorter period than in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herefore,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between BMT and solid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the serial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following BMT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rial changes of blood glucose, lipids and the putative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these changes after BMT. Methods: We have prospectively investigated 43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Fasting plasma glucose(FPG),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HDL) were measured before BMT, and at 1, 2, 3, 4, 12 weeks and 6 months after BMT. The serial changes of these metabolic parameters according to clinical factors including type of BMT, mean daily steroid dosage, and occurrence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were examined. Results: 1. Mean FPG level increased during 4 weeks after BMT and remained above basal value at post-transplant 6 months. Total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and was above basal value at post-BMT of 3 and 6 months. Triglyceride level was progressively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2. Patients with FPG above 126 mg/dL and the other patients, the former received larger amounts of daily steroid and had lower HDL-cholesterol level. 3. The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BMT, steroid dose, and occurrence of GVHD.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increase of FPG, TC, TG and decrease of HDL-C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these metabolic changes recovered slowly thereafter. Immunosuppressants ar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these changes. Further observation will be needed for the long-term effect of BMT on metabolic changes(J Kor Diabetes Asso 24:689~698, 2000).

      • KCI등재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교정환자의 분포양상에 대한 연구

        구용한,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4

        과거에 비해 소아 및 청소년기에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소아치과에서 교정치료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환자 중 교정 진단 받은 79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 진단을 받은 환자의 연령 분포는 8세가 22%로 가장 많았고 7세(19%), 9세(16%) 순서로 나타났다. 2. 골격 분포는 골격성 1급 부정교합이 52%로 가장 많았고 3급(29%), 2급(19%)순서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은 경우 3급 부정교합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총 792명의 환자 중 28%인 218명에서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였으며 연령이 낮은 경우 그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Distribution of orthodontic patients in pediatric dental clinics has increased recently. So it is worth to study about the present status of orthodontic patients in pediatric dental clin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and orthodontic patterns of orthodontic patients in pediatric dental clinics. The material consisted of distribution and orthodontic analysis records of 792 new patient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06 to 2008.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ge distribution, 8-year-olds group comprised 22%, 7-year-olds 19%, 9-year-olds 16%, 10-year olds 15%, 11-year-olds 11%, and other age groups comprised 18%. 2. In skeletal patterns, skeletal class Ⅰ patients comprised 52%, class Ⅱ 29%, and class Ⅲ 19%. 3. In vertical facial types mesofacial comprised 41%, brachyfacial 35%, and dolichofacial 24%. 4. Out of 792 patients 218 patients(28%) showed anterior cross-bite, and the occurrence ratio of anterior cross-bite increased as the age decreased.

      • 결합제를 이용한 국산 플라이애쉬이 고형화와 그 강도에 관한 연구

        구상만,이재준 한양대학교 에너지·환경기술연구소 1997 에너지·環境技術論文集 Vol.3 No.-

        결합제로서 물유리를 이용하여 영동, 서천, 그리고 삼천포의 플라이애쉬를 경화시켜 그 강도와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첨가제로써 CaO, NaOH, 물, 및 물유리의 양을 변화하면서 실험하였다. 영동 플라이애쉬를 이용한 시편 (영3d)에서 양생 28일후의 최고 강도가 218㎏f/㎠였다. 다음에 이들 시편들을 용출시켜 용출수의 pH 와 Ca 함량 등을 조사하여 안정성을 조사하여본 결과, 높은강도를 보인 시편들이 상대적으로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Solidifications of Youngdong, Seocheon, and Samcheonpo fly ashes were carried out using liquid sodium silicate as a binder. The compressive strengths with different times and stabilities of solidified products were investigated. Liquid sodium silicate, CaO, NaOH, and water content were varied as experimental parameters. The highest strength of samples after 28days-curing was 218㎏f/㎠. After these samples were leached, the stability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tests of pH, Ca content, and so on. Samples with the higher strength exhibited better st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