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cremental Model Learning and Building of Unknown Objects

        Kiho Kwak,Jihong Min,Seongyong Ahn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7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10

        Models are very important for many computer vision applications, such as object recognition, detection, and tracking. One can manage to perform the tasks without models, but with models, one can perform the tasks better. These tasks must also handle situation where previously unseen objects appear. In such cases the system must learn the new object or simply derive the descriptions for the object never seen b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reation and use of an online approximate object model using a lidar and vision. The approximate model is represented with the approximate geometry and appearance of 3D objects. We build the model online by tracking the object consistently and estimating the connectivity of cliques representing different views of the same object. To create an model online by the sensor fusion, we investigate two stepwise modeling approaches: 1) motion-based modeling and 2) approximate 3D modeling.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e viability of the proposed time-accumulated 2D and 3D model representation.

      • Complementary multiplatforms in the growing innovation ecosystem: Evidence from 3D printing technology

        Kwak, Kiho,Kim, Wonjoon,Park, Kyungbae Elsevier 2018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136 No.-

        <P><B>Abstract</B></P> <P>Despite a growing consensus that 3D printing technology has emerged as a revolutionary driver of innovation in society and has grown exponentially as an innovation ecosystem, our understanding of how the 3D printing ecosystem emerged and has grown is still limited. Based on the case study an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e found that four relevant platforms—open-source hardware platforms, online service platforms, free and low-cost 3D design software platforms, and crowdsourcing platforms—nurtured the innovation ecosystem. We also found that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mong the four platforms accelerated the growth of the eco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crease in the user base, 3D printer sales, 3D design contents, and the emergence of entrepreneurial firms that are developing the platforms. Consequently, we newly suggest “complementary multiplatforms,” a platform strategy that develops multiple platforms with complementary relationships for nurturing an innovation ecosystem. Our findings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grounds for the multiplatform strategy with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imed at facilitating the growth of an innovation ecosystem.</P> <P><B>Highlights</B></P> <P> <UL> <LI> We investigate the role of platforms in the growth of 3D printing innovation ecosystem. </LI> <LI> We find complementarity among platforms in the ecosystem. </LI> <LI> We newly introduce the concept of ‘complementary multiplatforms’. </LI> <LI> The new concept extends our understanding of the innovation ecosystem. </LI> </UL> </P>

      • Latecomer firms' combination of strategies in a specialized suppliers sector: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e Korean plastic injection molding machine industry

        Kwak, Kiho,Kim, Wonjoon,Kim, Karpsoo Elsevier 2018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133 No.-

        <P><B>Abstract</B></P> <P>How do latecomer firms combine strategies to successfully grow in a specialized suppliers sector? We examine how latecomer firms combine technology and market development strategies to grow in the sector. Through an in-depth comparative case study, we found that, depending on the modularity of the technology that latecomer firms select, firms show distinctive combinations of technology and market development strategies that led to the successful growth in the sector. More specifically, the combinations spring from the selection of product architecture, followed by product development procedure, and knowledge acquisition that constitute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and customer base management as a key activity of market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the results, we introduce an analytical framework to explain two optimal combinations of technology and market development strategi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product architecture. This article provides new empirical evidence and an analyt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an importance of optimal combinations of strategies in a latecomer firm's success.</P> <P><B>Highlights</B></P> <P> <UL> <LI> We explain how latecomer firms combine strategies for successful growth. </LI> <LI> Latecomer firms' strategy is a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market development strategies. </LI> <LI> Latecomer firms' combinations of strategies for growth differ by technology selection. </LI> <LI> Technology selection is to choose design technology for product architecture. </LI> <LI> We implement the comparative case study of a specialized suppliers sector. </LI> </UL> </P>

      • KCI등재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에 대비한 품목별 관세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곽기호(Kiho Kwak),박성우(Seongwoo Park),이운규(Oonkyu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최근 통상정책의 주요 현안인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TPP) 참여와 관련해, 제조업의 관세 전략 수립을 위한 이론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품목별 수입액과 수출용 수입 비중, 국내 생산 규모, 세계 수출 점유율 등의 변수를 통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관세 인하 및 철폐로 수입원가 절감을 꾀하거나 수출 확대를 추진해야 할 품목, 무역 경쟁력 열위로 인해 국내 생산 기반 보호가 필요한 품목, 히든 챔피언으로 육성하기 위한 지원 정책이 필요한 품목을 발굴하기 위한 이론적 프레임 워크를 제시했다. 특히 본 연구는 이러한 프레임워크를 TPP 및 무역 협정 체결 관련 논의에서 공통적으로 제조업 중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분야로 인식되는 일반기계산업에 적용하고, 개방 확대 품목21개, 보호 품목 3개, 히든 챔피언 유망 품목 9개 등 33개 일반기계 품목에 대한 맞춤형 관세 전략 및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제조업 별 관세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일반기계산업에 적용, 품목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관세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s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 considered participation in TPP (Trans-Pacific Partnership) more positively, we suggested theoretical framework for Korean tariff strategies of TPP from the perspective of import, weight of import for export, domestic production, and export market share. In particular, we applied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Korean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y, which many scholars has concerned about serious economic impact when TPP goes into effect. We found that among 66 product items in the industry, it is necessary for 21 product items to open the market(reduce the tariff rate) for export competitiveness (cost competitiveness for export) and export market development. We also identified that 3 product items that achieved significant amount of domestic production but faced serious trade imbalance, such as semiconductor and flat panel production equipment, and proposed that government policies including delaying tariff elimination schedule and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y are necessary for their competitiveness. Lastly, we classified 9 product items as potential hidden champion based on their relatively high level of market share and export competitiveness, as well as suggested relevant policy agendas, such as overcoming a non-tariff barrier, overseas market development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Our Study provides important initial theoretical ground for developing Korean manufacturing tariff strategies for joining TPP.

      • 기계산업 서비스화 국내외 동향 분석

        곽기호(Kwak, Kiho),오승훈(Oh, Seunghoon),박주형(Park, Joohyung),정성균(Chung Seongkyoon) 대한기계학회 201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1 No.10

        Servitization in manufacturing sector is becoming strategic and essential issue in these days in terms of value-added creation, differentiation and so on.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a trend of servitization in machinery industry by some case studies and Input-Output tabl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Korean machinery industries has low level of servitization and stays at the beginning of servitization compared to those of overseas. Finally, The authors suggest some proposals to make Korean machinery industries enhance servitization and competitiveness.

      • KCI등재

        플랜트 해외 수주의 국내 경제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곽기호(Kiho Kwak),오승훈(Seunghun Oh)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4

        플랜트 산업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주력 수출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표 기본부문 기준 플랜트 산업의 엔지니어링과 기자재 부문을 정의하고, 외생화 기법을 적용하여 두 부문의 2000년~2010년 사이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2010년 기준 엔지니어링 부문의 타산업 생산 및 고용유발계수는 0.9994원, 8.4536명/10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기자재 부문의 유발계수는 각각 0.9929원, 2.9441명/10억 원으로 산출되었다. 이에 따라 2010년 플랜트 총 해외 수주액(644.7억 달러)은 국내 경제에 44.7조 원의 생산유발효과, 14.8만 명의 고용유발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세부적으로 엔지니어링 부문은 9.6조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6.2만 명의 고용유발효과를 창출하였으며, 기자재 부문은 35.1조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8.6만 명의 고용유발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산출되었다. 특히 엔지니어링 부문의 기자재 부문에 대한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는 각각 1.1조 원과 2,000명으로 두 부문 사이에 순차적인 파급효과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플랜트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치사슬 단계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주력수출 산업으로 부상한 플랜트 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lant industry has emerged as the growth engine industry of the Korean economy after the mid 2000s. However, the discussion on the role of the industry on the economy has still been limited. In this respect, we examined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s of the industry by decomposing two sub-sectors, i.e. plant engineering and equipment, on the economy by using 2000-2010 input-output analysis with exogenous specific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two exogenous sub-sectors are 0.9994 and 0.9929 in 2010, respectively. We also found that the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s of two sub-sectors are 8.4536 persons per 1 billion Korean won (KRW) and 2.9441 persons per 1 billion KRW in 2010, respectively. In addition, by considering the overseas plant orders in 2010, we measured the production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s of the plant engineering sub-sector as 9.6 trillion KRW and 62 thousand persons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equipment sub-sectors as 35.1 trillion KRW and 86 thousand person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s, we examined that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s from the engineering sub-sector to the equipment sub-sector are quite relevant. Our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itial theoretical ground for analyzing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the industry that consists of various sub-sectors and owns spillover effects along the value chain, like the plant industry. Our findings also contribute to the policy development of the industry.

      • KCI등재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제도가 중소기업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 분석: 음식료품 제조업을 중심으로

        곽기호 ( Kiho Kwak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9 中小企業硏究 Vol.41 No.2

        대기업의 무분별한 사업 확장을 막고, 중소기업의 사업활동을 보호·육성하기 위한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제도가 2011년 말부터 시행되었으나, 그간 본 제도가 중소기업의 재무성과 및 자생적 혁신 활동에 미친 효과에 대한 논의는 극히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적합업종 수가 가장 많은 음식료품 제조업을 대상으로 본 제도가 중소기업의 매출, 수익성, 그리고 R&D 집약도에 미친 영향을 세부업종별로 고찰하였다. 이중차분법을 활용한 분석 결과, 본 제도의 효과는 세부업종별로 매우 이질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제도의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세부업종 중에서는 매출의 경우, 부정적 효과가 다소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익성 개선이 확인된 세부업종은 2개에 불과하였다. 더불어 혁신 활동이 확대된 업종은 1개에 불과해 본 제도가 중소기업의 자구노력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에 대한 설득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도 운영과 관련하여 찬반 대립이 가장 첨예한 업종인 음식료품 제조업에 미친 영향을 방대한 기업 자료를 활용하여 고찰함으로써 그간 제기 되었던 다양한 우려와 사회·경제적 갈등을 해소하고, 세부업종별 분석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정부는 본 제도의 효과 및 발생 원인이 세부업종 간에 다름을 이해하고, 정책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할 것이다. 더불어 적합업종 지정기간 동안 중소기업의 자체혁신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지원책과 모니터링 수단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Although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size-dependent policy, so called “the designation of SMEs-suitable industry”, promoting SMEs growth, our understanding i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is limited.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olicy on SMEs performance in food product and beverages industry, which accounts for the majority in the SMEs-suitable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sales, profitability, and R&D intensity, which is regarded as indigenous effort for growth, we find the heterogeneity i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across the sub-sectors in the industry. However, overall the policy does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growth of sales, profitability, and facilitation of R&D activity for indigenous innovative efforts of SMEs. Our study advances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effect of the policy with the disaggregated level of analysis, i.e, sub-sector level. Our findings also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social and political conflicts between pros and cons of the policy. Our study suggests that policy makers should develop more sophisticated policy that incorporat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ub-sectors. They also need to invest more resources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and accelerating SMEs innovative efforts.

      • KCI등재

        복합제품시스템 혁신의 관점에서 바라본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산업의 난관

        곽기호(Kiho Kwak) 한국경영학회 2017 Korea Business Review Vol.21 No.4

        2000년대 중후반 이후 중국 조선 산업의 추격 및 세계 경제 위기에 따른 조선 수요 급감, 그리고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해양플랜트 발주 증가에 대한 전략적 대응을 위해 우리나라는 해양플랜트 산업에 적극 진출하였다. 그 결과 2010년대 초 우리나라는 세계 해양플랜트 발주 시장을 석권하였다. 그러나 2014년 이후 유가 하락으로 인한 프로젝트 발주 급감과 함께 과거 수주 프로젝트에서 대규모 적자 발생에 따라 해양플랜트 산업은 2014년~2015년 누적영업적자 11.2조원을 기록하는 등 큰 위기에 직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산업의 난관을 복합제품시스템(Complex Product System, CoPS)의 혁신 특성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해양플랜트는 건조에 있어 발주자 관여가 매우 높은 제품으로, 발주자가 해양 자원의 시추와 생산에 필요한 기자재 사양과 제작사 선정과 같은 제품 설계에 직접 관여한다. 또한 해양플랜트는 프로젝트 기반으로 건조되며, 가치사슬 단계별로 전문기업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어 다수의 혁신 주체의 참여와 이들 간의 긴밀한 제휴를 요구한다. 더불어 이질적인 시추․생산환경에 따라 고도의 맞춤형 설계와 생산을 요구하고, 건조 과정에서 잦은 설계 변경 요구가 발생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기술적․재무적 리스크도 매우 크다. 이와 함께 해양플랜트는 에너지․환경 및 제조업 정책 관점에서 자원 보유국 정부가 깊이 개입하는 분야로 정부에 의해 발주 시기가 변경되고, 건조에서의 환경 규제, 자국 생산품 의무 사용 등의 정책적 개입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은 해양플랜트 고유의 혁신 특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복합제품시스템 개발 및 생산에 필요한 혁신주체와의 긴밀한 네트워킹․파트너링 역량, 넓고, 깊으며 통합된 지식과 스킬, 그리고 가치사슬 전주기 통합 역량 확보를 위한 정책 지원 활용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대규모 적자 발생과 같은 위기에 봉착하였다. 본 고는 복합제품시스템 혁신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산업 위기의 원인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복합제품시스템 혁신 특성의 분석적 일반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연구가 향후 우리나라 해양플랜트산업의 부흥을 위한 기술 및 산업 혁신 전략 수립에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Why Korean offshore platform industry has recently faced a serious financial crisis in spite of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 shipbuilding industry? To investigate the question, we apply ‘complex product system (CoPS)’ theory to the Korean offshore plat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PS compared with those of mass produced goods and capabilities for developing the CoPS. We found that offshore platform industry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PS, such as ‘high involvement of contractors’, ‘project based construction by a strategic alliance’, ‘high customization of the platform with substantial risk’, and ‘high level of government-side inclusion in market development’. Nonetheless, the Korean industry had failed to develop the capabilities sufficiently that consist of networking and partnering capabilities among innovation actors, broad, deep, and integrated knowledge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platform, and leveraging capabilities of supportive policies for integration of whole activities in value chain. Our findings contribute to the extension of ‘CoPS’ theory by achieving analytical generalization of case study. We also provide strategies and policies settings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industry as well as other CoPS industry.

      • 기회의 창으로서의 국가 간 엔지니어 이동과 산업 주도권 이전: 동아시아 디스플레이 산업을 중심으로

        곽기호(Kiho Kwak),권정인(Jeongin Kwon),김영진(Young Jin Kim) 한국경영학회 2023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8

        엔지니어 이동은 지식의 지리적 확산과 기업 간 경쟁, 그리고 영입 기업의 성과 창출의 관점에서 폭넓게 논의되었다. 그러나 추격 관점에서 선발주자 엔지니어의 후발주자로의 이동이 기술 학습과 지식 확산에 따른 산업주도권 이전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특히 산업의 불황기에 재무적 어려움에 봉착한 선발주자의 엔지니어가 후발주자로 단기간에 갑작스레 이동한다면 이는 지식 획득의 관점에서 후발주자 산업 주도권 확보의 기회의 창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USPTO 특허 자료를 활용하여 동아시아 국가간 산업주도권 이전 현상이 일어난 디스플레이(TFT-LCD) 산업에서의 선발주자에서 후발주자로의 엔지니어 이동을 국가와 기업 수준에서 종단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크리스탈 사이클이라 불리는 TFT-LCD 산업의 경기 순환 중 불황기 이후에 선발주자에서 후발주자로의 엔지니어 이동이 단기간에 급진적·집중적으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는 일본에서 대만, 대만·한국에서 중국으로의 이동에서 두드러졌으 , 이에 따른 엔지니어 영입 주요 후발기업은 대만의 AUO와 CMO, 중국의 BOE와 CSOT임을 발견하였다. 추가적으로 현재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중국 BOE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엔지니어 이동을 활용한 추격 전략과 과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 획득 관점에서 선발주자 엔지니어의 후발주자로의 급진적 이동이 산업주도권 이전에 중요한 기회의 창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히는 이론적 기반이 될 것이다. 더불어 엔지니어 이동은 후발주자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창출한 내생적 기회의 창임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내생적 기회의 창에 대한 논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의 추격과 엔지니어 유출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국내 산업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기술인재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role of the mobility of engineers across countries, regions, and firms in the geographic diffusion of knowledge, inter-firm competition, and performance of recipient firms.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cross-border mobility of engineers from forerunners to latecomers in industrial leadership changes is still limited. Specifically, if the cross-border mobility of engineers occurs abruptly corresponding to the business downturn, it can serve as a window of opportunity for latecomers catch-up in terms of technological learning. Based on the USPTO patent data, we longitudinally measure the cross-border mobility of engineers in the TFT-LCD industry, where leadership changes successively occurred among 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mid-1990s. We found that the cross-border mobility of engineers occurred radically (1) from Japan to Taiwan (2) from Korea to China, and (3) from Taiwan to China, especially after the business downturn, the so-called crystal cycle. In particular, we explored the takeover of the industrial leadership by BOE leveraging the mobility of engineers with aggressive employment. Our findings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mobility of engineers as the windows of opportunity in industrial leadership change. We also propose a more fine-grained view of catch-up cycle theory by emphasizing the endogenization of windows of opportunity for technological learning from the evidence of latecomers’ aggressive employment of forerunners’ engin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