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Limb Lengthening in the Osteoporotic Bone

        Hui Taek Kim(김휘택),Seong Ho Whang(황성호),Jeong Han Kang(강정한),Jong Seo Lee(이종서),Sang Jin Cheon(천상진),Chong Il Yoo(유총일),Hee Kyung Chang(장희경)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8

        목적: 스테로이드로 골 다공증을 유도한 가토에서 신연 골형성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성숙한 가토에서 스테로이드 투여 용량에 따라 1군(스테로이드를 투여하지 않은 군), 2군(0.4 ㎎/㎏/day 2주간 투여한 군), 3군(0.4㎎/㎏/day 4주간 투여한 군), 4군(0.8 ㎎/㎏/day 2주간 투여한 군), 5군(0.8 ㎎/㎏ 4주간 투여 한 군)으로 나누었다. 스테로이드 투여 후 경골 간부에 외고정 기구를 고정한 후 절골술을 시행하였으며 4주간 골신연술을 시행하였다. 1주마다 단순 방사선 사진 촬영과 골밀도 및 퍼센티지 골밀도를 측정하고, 최종 신생골 형성 정도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누어 조직학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양호한 가골을 형성한 가토는 모두 1군이었다. 그들의 요추 골밀도는 평균 5.1% 감소되었으며, 신연 1주 후 신연부 퍼센티지 골밀도는 50 이상이었다. 결론: 성숙한 가토에서 요추 골밀도가 10% 이상 감소되었거나, 신연 1주 후 퍼센티지 골밀도가 50 미만인 경우 사지 연장술 중 문제점의 발생이 예상된다. 인체에 있어서도 유사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ults of distraction osteogenesis in steroid-induced osteoporotic rabbits. Materials and Methods: Mature rabbits were assigned to the following five steroid dosage groups: Ⅰ (none); Ⅱ (0.4 ㎎/㎏/day for 2 weeks); Ⅲ (0.4 ㎎/㎏/day for 4 weeks); Ⅳ (0.8 ㎎/㎏/day for 2 weeks); Ⅴ (0.8 ㎎/㎏/day for 4 weeks). After the steroid injection, the tibias were osteotomized and distracted for 4 weeks. The rabbits were classified radiographically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new bone formed,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percentage BMD for these groups were then compared. The microscopic results supported the radiographic groupings. Results: The rabbits that formed good calluses were all from group Ⅰ, and their average lumbar BMD remained high (mean decrement, 5.1%). These rabbits had a percentage BMD ≥50 after 1 week of the distraction. Conclusion: Problems can be expected during limb lengthening in mature rabbits that shows a lumbar BMD decrease ≥10%, or a percentage BMD <50 after 1 week of the distraction. Similar guidelines may be indicated for humans.

      • KCI등재후보

        Reconstruction of Acetabular Posterior Wall Fractures

        Hui Taek Kim,Jae-Min Ahn,Jun-Oh Hur,Jong-Seo Lee,Sang-Jin Ch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Vol.3 No.2

        Background: The results after acetabular fracture are primarily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articular reduction. We evaluated the results of internal fixation of posterior wall fractures with using three-step reconstruction.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mean age at the time of injury, 47.9 years; 28 males and 5 females) were followed for a minimum of 2 years after surgery. The three-step reconstruction included 1) preservation of soft tissues and reduction of the marginally impacted osteochondral (articular) fragments using screws, 2) filling the impacted cancellous void with a bone graft, and 3) reinforcement with buttress-plating.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D’aubigne and Postel, while the radiological criteria were those of Matta. The associated injuries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The clinical results were excellent in 15 (45.5%) patients and they were good in 5 (15.2%), (i.e., satisfactory in 60.7%), while the radiologic results were excellent in 10 (30.3%) and good in 14 (42.4%) (satisfactory in 72.7%). Heterotopic ossification was common, but this did not require excision, even without prophylactic treatment with indomethacin. Deep infection was the worst complication and this was accompanied by a poor outcome.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three-step reconstruction facilitates accurate and firm reduction of displaced posterior wall fractures of the acetabulum. Therefore, we anticipate less long-term arthrosis in the patients treated this wa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기 거골 박리성 골연골염의 보존적 치료

        김휘택(Hui Taek Kim),박건보(Kunbo Park),서창효(Chang Hyo Seo),안태영(Tae Young Ahn),김인희(In He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4

        목적: 소아청소년기에 발생한 거골 박리성 골연골염 환자들의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18세 이하 24명(3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군은 14예(평균 13.0세)로 모두 보존적 치료를 받았다. 2군은 17 예(평균 15.1세)로 모두 수술적 치료를 받았다. Berndt와 Harty 분류에 의하면 1군에서 I단계 6예, II단계 4예, III단계 3예, IV단계 1예가 있었고, 2군에서는 I단계 1예, II단계 9예, III단계 7예였다. 병변은 1군은 1예를 제외한 13예에서 내측에 발생하였고, 2군은 3예에서 외측, 14예에서 내측에 발생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군은 31.9개월, 2군은 28.9개월이었다.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는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와 Higuera 등의 분류를 이용하였다. 결과: AOFAS 임상적 평균 점수는 1군에서 91.4점, 2군에서는 87.5점이었다. Higuera 등의 임상적 평가는 1군에서 매우 우수 6예, 우수 7예, 보통 1예가 있었고, 2군에서 매우 우수 5예, 우수 2예, 보통이 10예였으며, 방사선적 평가는 1군에서 우수 13예, 보통 1예였고, 2군에서 우수 10예, 보통 7예였다. 양 군 간 치료 결과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소아 및 청소년기에 발생한 거골의 박리성 골연골염의 경우 일차 보존적 치료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conservative and surgical treatment methods in a group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4 patients (31 ankles), who were younger than 18 years ol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Group 1 consisted of 14 ankles (mean age at the time of treatment was 13.0 years) treated conservatively. Group 2 consisted 17 ankles (mean age at the time of treatment was 15.1 years) treated surgically. According to the Berndt and Harty classification, there were 6 ankles in class I, 4 in class II, 3 in class III, and 1 in class IV in group 1; 1 ankle in class I, 9 in class II, and 7 in class III in group 2. In group 1, there were 13 medial lesions and 1 lateral lesion; and in group 2, there were 14 medial lesions and 3 lateral lesion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1.9 months for group 1 and 28.9 months for group 2.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the classification by Higuera et al. Results: The mean AOFAS clinical score was 91.4 in group 1 and 87.5 in group 2.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Higuera et al., regarding clinical results, there were 6 excellent, 7 good, and 1 fair in group 1, and 5 excellent, 2 good, and 10 fair in group 2. As for radiological results, there were 13 good and 1 fair in group 1, and 10 good and 7 fair in group 2.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Conservative treatment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for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Legg-Calve-Perthes병에 있어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대퇴골두와 비구와의 형태학적 연구

        김휘택(Hui Taek Kim),손교민(Kyo Min Son),이동호(Dong Ho Lee),유총일(Chong Il Y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목적: LCP병에 있어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고관절의 위치변화에 따른 대퇴골두와 비구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35명의 LCP 환아(평균나이 7.8세; pillar B군 17예, C군 18예)를 대상으로 이환 된 고관절의 중립, 외전, 외전­내회전, 외전-내회전-굴곡, 내전위에서 촬영한 관상면상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골두의 골단 돌출도, 비구의 골두 포함정도, 골두내측 관절 간격의 변화를 분석하고 대퇴골두와 비구의 일치도 및 주위 연부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외전 및 외전-내회전위에서 골두 골단 돌출도의 감소와 비구의 골두 포함정도의 증가는 중립위에 비해 pillar B, C양군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으나, 골두내측 관절 간격의 감소는 pillar B군에만 유의성을 보였다(p<0.05). Pillar C군에 있어 내전위에 따른 골두내측 관절 간격의 증가는 고관절 외측의 연부조직 긴장으로 중립위에 비해 현저하지 않았다. (p<0.05). 결론: LCP병에 있어 유치 개념의 치료는 주로 pillar B군에서 적절하며, 경첩외전이 동반된 pillar C군에 있어 외반 절골술은 심한 아탈구를 유발하지 않고 관절의 일치도를 증가시키므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다. Purpose: We used MRI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relationship of the femoral head and acetabulum with changes of hip position in LCP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he MRIs of 35 patients (17 pillar B, 18 pillar C; mean age: 7.8 years old) were reviewed in neutral, abduction, abduction-internal rotation, abduction-internal rotation-flexion, and adduction positions. The measurements included epiphyseal extrusion index (EEI), head coverage (HC), and medial gap ratio (MGR). The congruence of the hip joint and adjacent soft tissue changes were also studied. Results: Decreased EEI and increased HC in both pillar Band C from neutral to the abduction and abduction-internal rotation posi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However, in decreased MG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en only in pillar B. The increase of MGR in pillar C, from neutral to addu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due to the tension of the soft tissues lying lateral to the hip joint.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he basic concept of containment treatment in pillar B and suggests a rationale for valgus femoral osteotomy in cases of pillar C with hinge abduction.

      • KCI등재

        성장판 부분 폐쇄의 수술적 치료

        김휘택(Hui Taek Kim),윤명수(Myung Soo Youn),구자경(Ja Gyung Ku),강정한(Jeong Han K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성장판 부분 폐쇄에 대해 시행한 골가교 제거술 및 유리 지방 이식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3예(원위 대퇴골 4예, 원위 경골 8예, 원위 요골 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단판 손상의 원인은 모두 외상성이었다. 골가교의 위치는 중심형 3예, 주변형 9예, 혼합형 1예였다. 수술 당시 환아의 평균 나이는 10.7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47개월이었다. 최종 결과 판정은 변형된 Williamson-Staheli 분류를 이용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만족 6예(우수 3예, 양호 3예), 불만족 7예(보통 5예, 불량 2예)의 결과를 얻었다. 부위별로는 원위 경골의 경우 전체 8예 중 5예에서, 원위 대퇴골의 경우 전체 4예 중 1예에서 만족의 결과를 보였다. 골가교의 위치에 따라서는 중심형 3예 중 1예, 주변형 9예 중 4예, 혼합형 1예 중 1예에서 만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골가교의 범위가 30% 미만인 7예 중 5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으며 30% 이상인 6예 중 5예에서 보통 이하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골가교의 크기와 유형에 대한 술전의 정확한 평가와 정교한 수술 방법이 만족스러운 골가교 제거술의 결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다. 골가교의 범위가 30% 이상인 경우 대체로 불량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physeal bar resection and free fat graft as a treatment method for partial epiphyseal closure. Materials and Methods: Thirteen cases of partial epiphyseal closure (4 of the distal femur, 8 of the distal tibia and one of the distal radius) were subjected to physeal bar resection. All of the cases were caused by trauma. The physeal bar was central in 3 cases, peripheral in 9, and mixed (central-peripheral) in 1. Mean patient age at surgery was 10.7 years and mean follow-up period was 47 months. Final results were evaluated by a modified Williamson-Staheli classification. Results: Results at final follow-up were as follows: 6 satisfactory (3 excellent and 3 good) and 7 unsatisfactory (5 fair and 2 poor). Satisfactory results according to location and region of the physeal bar were as follows: distal tibia, 5 of 8 cases; distal femur, 1 of 4; central, 1 of 3; peripheral, 4 of 9; and mixed, 1 of 1. When considered by areal extent, physeal bars occupying 30% or less of the bone's cross-sectional area showed satisfactory results in 5 of 7 cases, while in 6 cases with the physeal bar over 30%, 5 were unsatisfactory. Conclusion: Accurate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size and type of the physeal bar, and meticulous surgical technique, are important predictors of satisfactory outcome of physeal bar resection. Cases where the physeal bar extent exceeded 30% had mostly unsatisfactory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