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p. JC-7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88간의 Electrofusion 최적조건 설정

        조영배,최현정,백형석,전홍기 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7 분자생물학 연구보 Vol.13 No.-

        김치 발효 숙성기간을 연장하고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 할 수 있는 김치발효 starter의 개발을 목적으로 최적숙성기에 있는 김치로부터 bacteriocin생성능이 없는 유산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bacteriocin생성능이 우수한 L.acidophilus 88을 융합시키기 위해 electrofusion에 대한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속으로 동정되어 Lactobacillus sp. JC-7이라 명명하였다. Electrofusion에 의해 생성된 융합주를 식별하기 위해 streptomycin(2.5㎎/ml)에 내성을 나타내는 Lactobacillus sp. JC-7변이주와 kanamycin(600㎍/ml)에 내성을 나타내는 L.acidophilus 88변이주를 분리하였다. Electrofusion을 100V/㎝, 120msec(72ohms,1670 capacitance) 에서 수행했을 때 융합효율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전기장의 세기와 시간이 중가할수록 융합 효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2가 양이온은 농도가 중가할수록 대체적으로 융합효율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1mM MGCl_2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융합효율이 약간 증가하였다. PEG매개에 의한 융합법의 융합효율을 비교한 결과, 융합효율은 chemical fusion<electrofusion<electrofusion+20% PEG순을 나타내었다. Evalu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the Electrofusion between Lactobacillus sp. JC-7 Isolated from Kimch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Young-Bae Jo, Hyun-Jung Choi, Hyung-Suk Baik and Hong-Ki Jun*. Department of Microb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609-735,Korea-A lactic acid bacterium was isolated from kimchi.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the genus Lactobacillus thrugh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amed as Lactobacillus sp. JC-7.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electrofusion between streptomycin(2.5㎎/ml)resistant mutan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and kanamycin(600㎍/ml) resistant mutant Lactobacillus sp. JC-7 were evaluated. The highest number of fusants were obtained at a capacitance value of 120msec(1670㎌), a field strength of 100V/㎝,and a pulse controller setting of 72Ω. The potimum pH of elecroporation buffer was 7.5 and the concentration of divalent cation was 1mM MG^2+. Electrofusants were efficiently obtained by addition 20% polyethylene glycol to electroporation buffer. The yield of fusion was better than that of using polyethylene glycol mediated chemical induction.

      • Lactobacillus acidophilus 88과 Lactobacillus bulgaricus IFO 13953간의 세포융합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

        조영배,김혜정,김성구,백형석,전홍기 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6 분자생물학 연구보 Vol.12 No.-

        유산균의 균주개량방법의 일환으로 protoplast fusion 기법과 electrofusion법을 이용하여 protease 활성, lipase 활성, 내열성, 내산성 등이 우수한 L. bulgaricus 와 bacteriocin을 생산하는 L. acidophilus를 융합시켜 얻은 융합주들의 생리학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산 생성능, 내열성, 내산성, protease, lipase 활성 등은 L. bulgaricus가 L. acidophilus 보다 우수하였다. L. bulgaricus는 lactose와 sorbose를 이용하였으나 maltose와 sorbitol을 이용하지 못하는 반면, L. acidophilus는 maltose를 이용하고 lactose와 sorbose를 이용하지 못하였다. 융합주 가운데서는 3, 6, 7, 8, 10번이 모균주의 발효능 특성을 함께 지님으로서 재조합체임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sorbitol의 경우 모균주에서는 발효능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융합주 4, 7번이 발효능을 나타내어 융합과정에서 새로운 형질을 획득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Lactase 활성은 모균주 모두 높은 β-galactosidase 활성을 보였으나, phospho-β-galactosidase 활성은 거의 없었으며 융합주들도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모균주와 유사한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발효에 있어서 key enzyme으로 작용하는 protease, lipase 등의 효소 활성도 모균주의 활성 보다 우수한 융합주도 존재하였다. Aninterspecific fusant was made from the protoplasts of two strains of lactobacillus genus (streptomycin and lincomycin resistant L. bulgaricus and kanamycin resistant L. acidophilus 88).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fusant were examined by determining bacteriocin productivity, acid producing activity, ability of carbohydrates fermentation and three important enzyme activities. The recombinant strain revealed bacteriocin productivity. Acid production and β galactosidase, phospho-β-galactosidase, lipase and protease activity of L. bulgaricus were better than those of L. acidophilus 88. Among fusants, β-galactosidase activity of two strains were better than that of the parent strains but phospho-β-galactosidase activity remarkably lower. One fusant revealed the improved proteolysis compared to that of the parent strains- Lipase activity of L. bulgaricus was better than that of L. acidophilus but another fusant exhibited the highest lipase activity.

      • 소나무로부터 배출되는 모노테르펜 구성비의 수령별 특성 연구

        김조천,홍지형,주명칠,전진,김기준 동신대학교 환경연구소 2002 환경연구 Vol.7 No.1

        소나무로부터 직접 배출되는 주요한 모노테르펜 물질로 α-pinene, camphene, myrcene, β -pinene, α-phellandrene, α-terpinene, d-limonene, p-cymene, β-phellandrene 등이 확인되었다. 7년생 소나무에서 직접 배출되는 모노테르펜 물질의 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β-pinene이 67.0%로 가장 높았고, 22년생 소나무 경우에 β-phellanone이 37.4%로 가장 높았으며, 32년생 소나무는 α-pinene 구성비가 약 42.9%로 가장 높았다. 소나무는 수령에 따라서 구성비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소나무 수령이 높을수록 α-pinene이 구성비가 높았다. 소나무의 수령별 α-pinene과 β-pinene의 비율(α-pinene/β-pinene)을 비교한 결과, 7년생 소나무의 경우 0.16~l.15 범위로 나타났고, 22년생 소나무의 경우 0.64~2.47로 나타났으며, 32년생 소나무의 경우 0.50~18.47 범위로 나타났다. α-pinene과 β-pinene의 비는 수령이 높아질수록 좀 더 높은 값을 보였고, 동일한 수령일지라도 나무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The major monoterpenes emitted from the Pinus densiflora were α-pinene, camphene, myrcene, β-pinene, α-phellandrene, α-terpinene, d-limonene, p-cymene and β-phellandrene.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monoterpene composition by tree age for P. densiflora, it was found that β-pinene was a dominant monoterpene for 7-year-old pine(67%). β-Phellandrene(37.4%) and α-pinene(46.1%) were most abound for 22-year-old pine and 32-year-old pine respectively. The ratio of monoterpene composition varied considerably with tree age for the pine, and the percentage of α-pinene composition increased with tree age. The ratio of α-pinene and β-pinene(α-pinene/β-pinene) increased with tree age, and varied tree to tree.

      • 알칼리형 연료전지에서의 산소극 제조

        문세기,김형진,공성호,조장호,김영채 한양대학교 에너지·환경기술연구소 1997 에너지·環境技術論文集 Vol.3 No.-

        알칼리형 연료전지(Alkaline fuel Cell, 이하 AFC)의 산소극에 사용되는 촉매를 은 염의 화학적 환원법으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최적의 전극 제조 조건을 찾기 위해 촉매의 loading량, 전극 소결 온도, PTFE함량 및 촉매 입자 크기 등이 전극의 분극특성에 미치는 영향들이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최적 조건은 전극 소결 온도 350℃, PTFE 함량 9wt%, 촉매의 입자크기 68㎛ 이하이었다. 한편 촉매 loading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극 성능이 향상되었다. 최적의 제조 조건에서 제작된 전극은 개회로 전위 1.11V(vs. RHE),200㎷ 분극(전극전위 0.91V vs. RHE)시 전류밀도 약 0.4A/㎠,300㎷ 분극 (전극전위 0.81V vs. RHE)시 전류밀도 1.0A/㎠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Doped silver catalyst used for oxygen electrode in alkaline fuel cells was prepared by reduction method of silver salt. And the effects of the silver catalyst loading, electrode sintering temperature, content of PTFE and particle size of the catalyst on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xygen electrodes were investigated to find the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s of the electrod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work, the optimum conditions were sintering temperature of 350℃, PTFE content of 9 wt% and below catalyst particle size of 68 ㎛. On the other hand, with increasing the catalyst loading, the electrode performance was improved. The electrode prepared at the optimum conditions showed open circuit potential of 1.11V(vs.RHE), current density of 0.4A/㎠ at a overpotential of 200㎷ and 1.0A/㎠ at a overpotential of 300㎷.

      • HBx형질전환 생쥐에서 발생한 간세포암종에서 H-ras 및 c-myc의 발현에 관한 연구

        문형배,소병준,김학철,윤기중,한원철,조향정,유대열,정영진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2 圓光醫科學 Vol.17 No.2

        <연구목적> HBx형질전환 생쥐에서 발생한 간세포암종의 발암과정에 종양유전자(H-rgs, c-myc)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정상생쥐 12마리(4-18개월) 및 HBx 형질전환 생쥐 44마리(4-18개월)를 대상으로 포르말린에 고정하고 파라핀에 포매한 간 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염색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정상 부위, 이형성 부위 및 종양 부위로 구분하였으며, 종양 부위는 소결절성병변 부위와 간세 포암종 부위로 구분하였고, 이형성병변 부위는 이형성병변만 발견되는 부위, 소결절성병변과 동반된 이형성병변 부위 및 간세포암종과 동반된 이형성병변 부위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H-rgs의 발현은 정상 간조직에 비하여 이형성병변 부위(P<0.05) 및 종양 부위(P<0.01)에서 증가하였으며, 소결절성병변 부위과 간세포암종 부위 사이에서는 간세포암종 부위에서 증가된 경향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 이형성병변 부위 사이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myc의 발현은 정상 간조직 및 이형성병변 부위에 비해 종양 부위에서 증가하였으며(P<0.001), 소결절성병변 부위와 간세포암종 부위에서는 비슷하였고, 각 이형성병변부위 사이에서도 비슷하였다. <결론> HBx형질전환 생쥐에서 발생하는 간세포암종의 발생에 H-rgs는 이형성 변화를 일으키는 시기에 관여하며, c-myc은 이형성병변에서 암으로 이행하는 시기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for the expression of H-ras and c-myc in hepatocarcinogenesis of the HBx transgenic mice. Methods: Immunohistochemical stains in the paraffin embedded tissue of the liver were used for the detection of H-ras and c-myc in the 12 normal mice and 44 HBx transgenic mice of the 4-18 month old. Results: Expression of the H-ra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ysplastic area (P<0.05) and tumor area (P<0.01) than in the normal liver.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H-ras expression between areas of microscopically identified hepatocellular carcinoma (MI-HCC) and grossly identified hepatocellular carcinoma (GI-HCC) and dysplastic areas among the only dysplastic areas, dysplastic areas with MI-HCC and GI-HCC. Expression of the c-my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umor area (P<0.001) than in the normal liver and dysplastic area.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c-myc expression between areas of MI-HCC and GI-HCC, and dysplastic areas among only dysplastic areas, dysplastic areas with MI-HCC and GI-HCC.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s that H-ras is related to the dysplastic change and c-myc is related to the neoplastic change in the hepatocarcinogenesis of the HBx transgenic mice.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침엽수로부터 발생되는 방향성 테르펜의 배출속도 비교 연구

        김조천,홍지형,강창희,선우영,김기준,임준호 한국대기환경학회 2004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20 No.2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ratio and the emission rate of monoterpenes emitted from coniferous trees during summer, the enclosure chambe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wo tree species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The major monoterpenes from the pine trees were α-pinene, β-pinene, myrcene and β-phellan-drene.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composition ratio between two sites for P. densiflora, but the difference was observed for P.rigida, Clearly, the ratio of β-pinene (26.1%) for P.rigida was higher than that of β-phellandrene (12%) at the Gumsung mountain site, but the ratio of β-phellandrene (22.2%) was higher than that of β-pinene (9.9%) at the Chiri mountain site. Particularly, the composition ratio of β-phellandrene was higher than that of β-pinene for P.densiflora, and the opposite trend was found for P.rigida at the Gumsung mountain si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ratio between two species were similar at the Chiri mountain site. As a result of the emission rate measurements, it was observed that both sit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β value (slope between emission rate and temperature) and ERs (Standard Emission rate at 30℃) difference. However, the β value and ERs at the Chiri mountain site were slightly greater than those of Gumsung mountain site for both pine species. P.densiflora(1.703 and 1.971㎍C/gdw/hr) showed the higher monoterpene ERs than those of P.rigida (0.572 and 0.698 ㎍C/gdw/hr) at both sites.

      • KCI등재

        여름철 참나무속의 이소프렌 배출속도 비교에 관한 연구

        김조천,김기준,홍지형,선우 영,임수길 한국대기환경학회 2004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20 No.1

        In order to compare the NVOC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 rates from oak trees, the emission rates of isoprene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in situ based on tree species and region. As a result, the emission rates from Quercus serrata T. were found to be 1000 times greater than those from Quercus acutissima C. However, the emission rates at the Chiri and Gumsung mountain sit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mmer. Cuvette tests using four different oak species also supported that there was a tremendous difference in emission rates between Quercus serrata T. and Quercus acutissima C. It was found that the emission rates from the trees were highest on the order of Quercus serrata T., Quercus aliena B., Quercus acutissima C. and Quercus variabilis B.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