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세라믹 섬유필터를 이용한 디젤 입자상물질 배출저감에 관한 기초연구

        주용남,홍민선,문수호,이동섭,임우택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19 No.3

        Works were focused on back pressure characteristics of ceramic fiber filter on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system an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select appropriate filter which can filter particulates. Filters were installed on metal-support tube which has openings for exhaust as flow. Ceramic fiber filters with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adequate high temperature strength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filtration of diesel particulates and in-situ hot regeneration. Thus, ceramic blanket and ceramic board which are used as insulating media were applied to filter and filteration apparatus was installed on exhaust as line connected to 2.0L diesel engine. Alternating filter structure to adapt DPF system, collection efficiency test of diesel particulates was measured. In case of ceramic blanket, pressure drop was low, caused by the destruction of soft structures. Also, particulate collection efficiency was decreased depending on loading time. In case of ceramic board, structure design was altered to reduce back pressure on DPF system. Structure design was altered to induce Z-flow by making 10mm and 5mm holes on the surface of media. Alteration of 5mm hole showed that media have low back pressure but particulate collection efficiency was 77%, while 10mm hole showed that of 90%.

      • KCI등재후보

        인공지반의 조경적 활용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 옥상녹화를 중심으로

        김동찬,서주환,김옥경,승지현,김홍균,최선주,박선영 경희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원 2007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0 No.1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trend of researches carried out on the subject of rooftop afforestation. The issue of rooftop afforestation is receiving attention as one of the plans to secure green zones in urban area. While the actual execution of rooftop afforestation in Korea in only in the initial state, thus in not activated,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methods of rooftop afforestation. Recently, studies are being actively performed on the creation and effect of rooftop afforestation. However, these studies tend to focus on specific areas. This leads to the necessity to approach the issue of rooftop afforestation with a wider perspective. Therefore, in the study, the previous studies on rooftop afforestation carried out both in and outside the country are categorized as the study on the methods, effect and activation plans of rooftop afforestation, thus a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recent trend in the study of rooftop afforest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domestic studies. which was centered on the methods to promote rooftop afforestation. have been expanding into the study on the methods to establish eco-habit at on rooftop as well as o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effect rooftop afforestation.

      •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관련변인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 학생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riment, and physical disabilities

        김은주,김동일,최종근,노선옥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5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실시된 조사연구로서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 고등부 1학년 학생 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3)에서 실시한 국가수준교육성취도 평가의 참여가 가능한 707명이 그 연구대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연구협의회, 전문가 검토, 검사 방법의 수정 및 조정 작업, 평가 실시를 위한 설명회 개최,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 장애 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 조사 실시로 이루어졌다. 자료는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선택 형 문항의 득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의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한편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과 성취도에서 얻은 평균의 차이를 변량분석, 또는 상관 분석하였다. 또한 장애 학생들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필요한 경우 2002년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총론-(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에서 제시된 일반 학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부 6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성별로 학력차가 나지는 않으며 장애 유형별로도 차이가 크지 않으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각 장애 학생은 집안 일을 많이 거들지만 진학포부 수준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 학생은 취미생활에 대한 대화를 많이 나누지만 집안일은 거의 돕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배경 변인 중 일부는 장애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청각장애 학생의 경우 수학에 대한 설명력을 지닌 변인은 아버지의 학력, 학교숙제 수행방식, 수업 내용 이해 정도. 학습지 활용 정도,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구성 변인 등이었으며, 국어과의 경우 장서보유 정도, 국어 공부에 대한 대화 빈도, 국어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과 성차 인식이었다. 지체부자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에서는 학생의 중요 덕목에 따라 국어와 수학 두 교과에서 설명력을 지녔으며 교과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의 경우 수학과 에서만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시각장애의 경우 TV/비디오 시청 정도는 영어 교과에서 성취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2002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보고된 일반 학생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일반 학생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체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본 연구의 변인이라고 할 수 있는 학생 개인변인으로 설명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학부 3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초등부 6학년과 마찬가지로 성별로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과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을 뿐 다른 장애 유형별 남녀 집단 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부 6학년과 같은 형태를 보였다. 한편 중학부 3학년은 일반 학생과 비교해 볼 때 숙제 도움 대상에서 특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진학에 관한 대화가 적은 점은 특히 일반 학생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일반 학생의 경우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드물고 진학이나 취업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에 비하여 늦은 시기까지 부모의 도움을 받는 한편 진학이나 진로에 관하여 아동과 부모 모두 불투명한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부 6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 고 할 수 있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 학생의 중요 가치와 진학포부수준, 국어 공부를 하는 이유, 국어 수업 내용 이해 정도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서 활용 정도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의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을 뿐이다. 셋째, 고등부 1학년의 교과별 평균과 성차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등부 1학년의 경우에도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마찬가지로 일반 학생에 비하여 낮은 성취 정도를 보이는 한편 성취 정도의 차이는 고등부 1학년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대화의 빈도의 경우 진학이나 직업 선택에 대한 대화가 늘어나지만 다른 대화 내용은 줄어들고 진학포부 수준의 경우 특히 청각장애 학생이 낮고 모호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체부자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 및 다른 장애 유형의 학생에 비해 독서 시간과 TV/비디오시청 시간이 긴 것은 고등부 1학년 학생의 배경 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숙제 도움 대상 면에 있어서도 전 장애 영역에서 여전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점과 학습과 관련한 행동 통제가 어려운 대신 자아 효능 감과 학습전략이 향상되는 점 역시 학생의 배경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고등부 1학년 역시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으로는 학생의 중요 덕목과 수학공부를 하는 이유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 진학포부수준에 따라서는 지체부자유 학생의 국어와 수학, 어머니의 학력, 학교 숙제 수행 방식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에서만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관련 변인이 증가하거나 감소 하는 정도에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일관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특정 항에 있어 증가하는 경우가 많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인이라 할지라도 학생의 지원을 위한 일반화 자료로 쓰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장애 학생은 장애의 강점과 약점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는 배경변인에 있어서 장애 유형별로 빈도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그렇지 않은 배경 변인에 대해서는 장애 유형별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업성취도와 배경변인과의 관계에서 전체 장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은 없으며 한 장애 유형에서 여러 교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역시 초등부 6학년 과정의 학생의 덕목밖에 없어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가져오는 강력한 변인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배경변인에 따른 학력차이가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은 장애 유형과 학년에 따라 달라지며 학생의 개인 변인은 학년이 증가할수록 설명력이 약해진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and related vari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7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first grade of high school and were able to participat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executed by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As for the methodology of study,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search, research council, expert reviews, correction and adjustment work of research method, information forum for the execution of academical achievement test, poll on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etc. Resources were util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alculated only from the right answers for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ne point were granted to each right answer in 6th grade, and two point in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grade in high school. Second, Variation that could exercise influence o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hir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var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so, the outcome from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ompared to the outcome from non-disabled students presented by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2002 introduction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03).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der gap was not significant in scholastic ability of the disabled students except for Korean class of 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The gap was not so big for types of disabilities but it was safe to say that more proportion of disabled students showed slow progress in basic educ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variation related to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disabled studen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 worse situ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are, especially in their parents' scholastic ability and jobs. 2)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ly did homework as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study and they showed high level of dependency on their parents with their homework.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poor scholastic strategies in terms of self-control in learning attitude composed of scholastic strategies, attitude control, and self-efficacy. They suffered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ir attitudes. Also, their self-efficacy was low. 4)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tained good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and teachers, but they were poor in understanding lessons, preparing for classes, and utilizing materials in their study of school subjects, and they felt a lot of difficulties toward class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it was hard to find same relationships as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in all grades and subjects, so it was safe to say that variations that affected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different from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 SCOPUSSCIEKCI등재

        교정치료후 부정위치된 제2대구치의 양상에 관한 연구

        윤용선,이동주 대한치과교정학회 199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시 제2대구치의 위치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제1대구치까지 banding하여 교정치료를 완료한 성인환자 54명을 Class Ⅰ 발치군 15명, Class Ⅰ 비발치군 12명, Class Ⅱ 13명, Class Ⅲ 14명으로 4개의 군으로 분류하고 치료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lass Ⅰ 발치군에서 하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보다 적은 정출과 더 많은 원심경사를 보였고, 상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와 유사한 정출과 근심경사를 보였다. 2. Class Ⅰ 발치군에서 하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에 비해 함입되고 유사한 원심경사를 보였으며, 상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와 비슷하게 정출되었다. 3. Class Ⅱ군에서 하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에 비해 적은 정출을 보였고, 상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보다 많은 정출을 보였다. 4. Class Ⅲ군에서 하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와 유사한 정출과 더 많은 원심경사를 보였으며, 상악 제2대구치는 제1대구치에 비해 적은 정출을 보였다. 5. 제2대구치 위치변화에 대한 각 군간의 비교시 FH plane에서 상악 제2대구치 치근 분기점까지 거리 변화는 Class Ⅰ 발치군과 Class Ⅱ, Class Ⅰ 발치군과 Class Ⅲ군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구개평면과 교합평면에 대한 상악 제2대구치의 각도 변화는 Class Ⅰ 발치군과 Class Ⅲ군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평면에 하악 제2대구치 치근 분기점까지 거리변화는 Class Ⅰ 발치군과 비발치군, Class Ⅰ 비발치군과 Class Ⅱ군, Class Ⅰ 비발치군과 Class Ⅲ군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 평면과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 제2대구치의 각도 변화는 각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go know about the positional change of second molar when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To know about it, we andlysed cephalogram pre. and post treatment for 54 adult patients who were finished orthodontic treatment by banding to the first molar and classify them into 4 groups : Class Ⅰ extraction group 15, Class Ⅰ nonextraction group 12, Class Ⅱ group 13, class Class Ⅲ group 14.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 1. In the extraction group of Class Ⅰ, mandibular second molar showed less extrusion and more distal inclination than first moarl. But maxillary second molar showed more or less extrusive and mesial inclination to much the same degree of first molar. 2. Inthe non-extractio group of Class Ⅰ, mandibular second molar in intrusive to first molar, it showed smilar distal inclination to first molar. But maxillary secont molar is extrusive similarly to first molar. 3. In the group of Class Ⅱ, mandibular second molar is less extrusive than first molar and maxillary second molar is more extrusive than first molar. 4. In the group of Class Ⅲ, mandibular second molar showed similar extrusion to first molar and more distal inclination than first molar. But maxillary second molar showed less extrusion than firs molar. 5. A comparision of the positional change of second molar among groups : The change of distance from FH plane to funcation point of maxillary second molar is the difference between Class Ⅰ extraction group and Class Ⅱ group, Class Ⅰ extraction group and Class Ⅲ group. The change of maxillary second molar to palatal plane and occlusal plane is the difference between Class Ⅰ extraction group and Class Ⅲ group. And the change of distance from mandibular plane to furcation point of mandibular second molar is difference between Class Ⅰ extraction group and non-extraction group, Class Ⅰ non-extraction group and Class Ⅱ group, Class Ⅰ non-extraction group and Class Ⅲ group. But the change of angle of mandibular second molar to mandibular plane and occlusal plane is make no difference in among groups.

      • 소양호에서 세균군집구조의 계절적·수직적 변화

        김동주,홍선희,안태석 江原大學校 附設 環境硏究所 1999 環境硏究 Vol.16 No.-

        소양호에서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FISH) 방법을 이용하여 세균군집의 계절과 수심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방법에 사용된 oligonucleotide probe는 FUB338, ALF1B, BET42a, GAM42a와 CF probe였다. 조사 기간중 Proteobacteria α -group은 0.7~32.9% 이었으며 β -group은 1.0~25.8%, γ -group은 2.4~37.1%,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은 4.7~23.6%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계절별로 살펴보면 규조류가 우점하는 봄철에는 γ -group이, 유기물의 농도가 낮고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α -group이 우점하였으며, 남조류가 우점하는 가을철에 총세균수에 대한 Eubacterial group의 비율이 크게 감소하여 특정 group의 우점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소양호는 계절과 수심에 따라 군집구조가 변화하였으며, 특히 세균의 군집구조는 식물플랑크톤의 천이와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acterial communities with season and depth in Lake Soyang, Korea, using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The oligonucleotide probes used in this study were EUB338, ALF1b, GAM42a, and CF. The percentage of the Proteobacteria α -group ramged from 0.70 to 33%, the β -group from 1.0 to 26%, the γ -group from 2.4 to 37%, and Cytophaga and Flavobacteria groups from 4.7 to 24% during the study period (April to November, 1998). The γ -group was dominant in spring when Asterionella was dominant, and α -group was dominant in summer when the organic content was low and Dinobryon was dominant. However, a specific group was not dominant in fall when cyanobacteria group was dominant and the ratio of eubacteria to total bacteria was very low. Therefore, the bacterial communities in Lake Soyang changed with season and depth, which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he tempor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터류킨-2 생산능

        이선미,박주홍,김동인,은헌정,김임,김경용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급성기 및 관해상태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 대조군의 IL-2 생산능을 비교함으로써, 정신분열병의 여러 발병원인 중 자가면역 병인론의 증거인 세포성 면역방응의 저하 및 질병상태와 관련한 세포성 면역기능의 변화를 일부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조사에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DSM-IV의 정신분열병 진단기준에 적합한 급성기 환자 19명(남 : 10, 여 : 9)과 관해상태의 환자 21명(남 :12, 여: 9) 및 정상대조군 40명(남 : 20, 여 : 20)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로부터 채혈한 혈액에서 임파구를 분리하여 phytohemagglutinin으로 T임파구를 자극하고 세포배양하여 증식시킨후 IL-2immunoassay kit을 이용하여 T임파구의 IL-2 생산능을 측정하였다. 결 과 : IL-2 생산능은 성별에 관계없이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t=5. 97, p<0.001). 질병상태에 따라 급성기 정신분열병 환자군 및 관해상태 정신분열병 환자군으로 구분하여 정상대조군의 IL-2 생산능과 비교한 결과, IL-2 생산능이 정상 대조군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관해상태 환자군이었으며 급성기 환자군에서 가장 낮았다. 세 군 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35.35, p<0.001). 결 론: 일부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질병상태와 유의하게 관련된 세포성 면역기능의 저하가 관찰되며, 이는 정신분열병의 다양한 원인중 자가면역 기전에 의한 발병을 시사한다. Object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ecreased cellular immune response and the change in cellular immunity related to to clinical status in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19 acute schizophrenics and 21 remitted schizophrenics who met the DSM-IV criteria of schizophrenia and 40 healthy volunteers as the normal control. After the lymphocyte was separated from blood which had been drawn from the subjects and then T lymphocyte was stimulated by PHA and proliferated by cell culture, the examiner measured IL-2 productivity by IL-2 immunoassay kit. Results : IL-2 productivity of the schizophrenic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wo groups. In the comparison by clinical status, acute schizophrenic group was the lowest, remitted schizophrenic group was next, and normal control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IL-2 productivit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p<0.001). Conclusion : We suggest that there is a decrease in the cellular immune response which is significantly related to clinical status in some Korean schizophrenics. This finding supports that onset of schizophrenia may be the result of autoimmune mechanism, which is one of the various etiologic factors in schizophrenia.

      • 시중 판매중인 Fresh-Cut 채소 제품의 품질평가

        조순덕,박주연,김은정,김동만,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Vol.9 No.-

        Fresh-cut 채소 제품이 소비자에 의해 선택되어 소비되려면 이의 친환경적 원료생산과 가공, 포장, 서빙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체계적인 품질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갈변제어, 연화제어 및 미생물적 제어 등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중 유통 · 판매되고 있는 fresh-cut 채소제품의 품질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9개사 제품을 선정하였으며, 관능검사를 포함하여 vitamin C, 무기질, 중금속 함량, 잔류농약 및 미생물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갈변 등 품질변화로 인해 전반적인 기호도가 그다지 높지 않았다. 채소류에서 중요 영양성분인 vitamin C 함량은 9개사 모든 제품의 주재료인 양상추에서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다른 채소류의 vatimin C 함량 역시 식품성분표보다 소량이었다. 무기질 함량 역시 극히 소량이었는데, 이는 박피, 절단 등의 최소 가공 공정을 거치면서 파괴되기 쉬운 vitamin C와 무기질이 대부분 손실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안전성측면에서 평가한 잔류 중금속 함량의 경우 몇 개의 제품에서 구리와 납이 소량 검출되었으며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않았다. Most fresh-cut agri-food products are less stable than the unprocessed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a quality control system for fresh-cut agri-food products. In this study, the vitamin C, mineral, residual heavy metal contents and pesticides of various fresh-cut agri-food products were analysed. Through the sensory evaluation, the reason for the lower than expected overall acceptability in most products is that cut products are likely to cause browning and easily lose their freshness. Therefore, the postharvest technology that can maintain the quality, freshness and appearance must be supplied. Vitamin C contents did not exist in all salad products of the selected 9 companies, although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that are main nutrients that can be supplied mainly in salads. The results showed that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were very small and extremely small in other vegetables compared with the standard of a food ingredient, It is possible that vitamin C and most minerals are easily destroyed were lost through the minimal process like peeling and cutting. In safety side, the remaining heavy metal contents of fresh-cut agri-food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copper and lead existed in some products because cadmium in agricultural produce is only controlled by the minimum standard of heavy metal contents in Korea. No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all products.

      • KCI등재

        ATO 복합사를 이용한 열차단 직물의 태양방사투과율 변화 연구

        최주환,김대근,김선남,최동혁,이승걸,Choi, Joo Hwan,Kim, Dae Geun,Kim, Sun Nam,Choi, Dong Hyuk,Lee, Seung Geol 한국섬유공학회 2016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3 No.6

        In this study, we manufactured ATO (antimony tin oxide) combined fibers to improve solar energy transmittance of sunscreen fabric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olar energy transmittance is improved with increasing sheath ratios and ATO content. We observed that the MS2-7W sample with 50:50 sheath/core ratio and 3 wt% of ATO content show the best performance. We also manufactured the sunscreen fabrics using the developed ATO combined fibers to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thermal barrier. The results of the solar energy transmittance analysis show that an approximate 58% improvement was achieved for the thermal barrier over the commercial sunscreen fabric without any ATO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