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의 법정책적 시사점

        주진열 ( Ju¸ Jinyul ) 한국경제법학회 2010 경제법연구 Vol.9 No.2

        글로벌금융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샤도우뱅킹(shadow banking)의 과도한 레버리지를 동반한 투기적 영업 관행이 2008년 미국발 글로벌금융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미국은 향후 제2의 금융위기를 막기 위해 도드-프랭크법을 제정하였으나, 동 법룔의 실효성은 아직 불확실하다. 우리나라 금융산업 환경이 미국의 그 것과 같지 않으므로 도드-프랭크법이 국내 금융규제법·정책에 주는 시사점은 어느 정도 제한적일 것이다. 다만 1990년대 후반부터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가 일어난 이후 2010년 현재까지도 정부와 금융계는 미국식 샤도우뱅킹과 금융혁신 등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오고 있기 때문에, 국내적으로 구조적 금융위기를 촉발시킬 수 있는 요인이 없는지 점검해볼 필요는 있다. 이에 더하여 금융수학모델의 ‘건전성’ 문제를 금융건전성관리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다룰 필요도 있다. 한편 글로벌금융위기 발생시 외환위기에 취약한 경제구조를 갖고 있는 개도국의 경우 IMF 개혁 및 거시경제정책 공조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크기 때문에, 국제사회에서 이의 제도적 보장을 지속적으로 주장할 필요가 있다. 금융위기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안은 레버리지를 이용한 투기를 금지시키는 것이지만, 이의 정치적 실현 가능성은 대단히 낮아 보인다. 금융 시스템 리스크 실현을 예방하기 위한 적정 금융규제 수준이 무엇인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There is little doubt that excessive leverage in shadow banking is a major cause of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lthough the U.S. government enacted the Dodd-Frank Act to deal with financial systemic risk, it is uncertain whether the Act is able to prevent the next financial crisis. May be there is not much implication of the Act for Korea because two countries has different financial markets and different regulatory systems each other. But,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noted that both Korean government and financial industry as well has strongly pursued the U.S. style shadow banking system and financial innovation since 1990s. In this sense, financial regulatory authority needs to check shadow banking system in Korea. If it is found that shadow banking in Korea is exposed to too much risk, it should be regulated. It seems that the most simple and effective policy to eliminate unstability of financial market is to prohibit speculative finance with excessive leverage. But it would be hard to implement this kind of regulation because of financial industry and market-oriented conservatives’ political opposition.

      • KCI등재

        대기업 및 중소기업 관계에서 독점규제법 및 헌법의 역할

        주진열 ( Ju Jinyul ) 한국경쟁법학회 2018 競爭法硏究 Vol.37 No.-

        This article considers the ongoing debate over the role of competition law and constitutional law as well in protection of medium/small businesses in Korea. Recently the associations of medium/small firms have strongly argued that the Korean competition law should do something to protect medium/small businesses from big firms, and also the government should prohibit big firms from doing their businesses in the markets which are deemed suitable for medium/small firms. These arguments assume that bigness is evil, and smallness itself deserves special protection by the economic democracy clause in the Korean Constitution. Of course medium/small firms may pursue their own interests. However they do not have the right to sacrifice consumers and other firms’ welfare. Considering political influences of the associations of medium/small firms, politicians actually prepared the bills to protect them from the competition with big firm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urpose of the competition law is not to protect medium and small firms. Indeed the Korean competition law do not distinguish between medium/small firms and big firms. There is little doubt that the legislations designed to restraint competition among big firms and medium/small firms would impair big firms’ fundamental right to do business, distort market functions, and also reduce consumer welfare. Politicians must realize that ‘market competition’ itself has constitutional value, and economic democracy is nothing more than free market based on liberty democracy under the Constitution.

      • KCI등재

        카르텔 억지 및 피해자의 효과적 구제를 위한 독점규제법의 사적 집행 방안

        주진열(Ju, Jinyul)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2 행정법연구 Vol.- No.34

        카르텔은 헌법상 자유경제질서의 근간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담합 대상이 된 상품이나 용역을 구매한 다수의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고 희소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저해하는 등 그 폐해가 대단히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강력한 사전 억지가 필요하다. 독점규제법 제정 이후부터 지금까지 카르텔 정책은 주로 행정적 제재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나, 카르텔의 은밀성과 적발자원의 한계로 인하여 공적 집행만으로 카르텔을 적절하게 억지하기란 대단히 어렵다. 이러한 공적집행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사적 집행제도’를 도입하고 이를 활성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공법과 사법의 이분법적 구조에서는, 독점규제법과 같은 공법의 ‘사적 집행’이란 관념 자체가 대단히 낯설 수 있다. 그러나 국가 행정력을 통한 규제만으로 카르텔 억지 목적을 달성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민간에 의한 ‘소송을 통한 카르텔 규제’(cartel regulation through litigation)를 공공정책 차원에서 고려해보지 않을 수 없다. 사적 집행을 통한 카르텔 규제를 위해서는 카르텔 손해배상소송의 기대비용은 낮추고 기대이익은 높임으로써, 결국 카르텔 가담자의 법위반 기대비용을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법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먼저 기대비용을 낮추는 방안으로서 ① 집단소송제, ② 원고측 변호사비용 및 소송비용의 피고 부담, ③ 정부의 소송비용 지원 등을 고려해볼 수 있고, 소송의 기대이익을 높이는 방안으로 ④ 배수배상제, ⑤ 증거개시제, ⑥ 직접구매자 및 간접구매자의 손해배상청구권 인정, ⑦ 손해액 추정과 관련한 불확실성의 위험은 피고의 부담으로 하는 방안들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들 방안들 중에서 집단소송제가 도입되지 못하면, 나머지 방안들이 실제로 입법화되더라도, 여전히 소액 피해자에게 충분한 소송 인센티브가 제공되지 못하거나 또는 충분한 인센티브가 제공되더라도 같은 소송의 반복, 과도한 정부 예산 소요 등과 같은 사회적 비용이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집단소송제가 도입되면, 나머지 방안들이 도입되지 못하더라도, 손해배상소송 인센티브를 제고시킴으로써 카르텔 억지와 피해자의 실효적 구제를 상당 부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집단소송제와 함께 배수배상제, 피고의 소송총비용 부담 등과 같은 방안이 같이 도입되면, 카르텔 억지 및 피해자의 구제 효과는 더욱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little doubt that cartels must be prohibited and deterred by strong public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 Because cartels can hardly be detect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 cartel by the government. Even when big cartels are detected by the government, because of large amounts of litigation cost and attorney’s fee, it is not easy for cartel victims to bring damage suits before courts. Considering these situations, this article argues that it is highly needed to introduced the legal system for private enforcement of Korean competition law for cartel deterrence and compens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aw and economics. Since firms pursue to maximize their profits, when the expected benefits of cartel outweigh the expected costs, they would have a strong incentive to collude to fix price. In order to deter cartels, it is needed to raise the expected costs of cartel by strengthening public enforcement. But just because cartel detection rate is too low, public enforcement can not properly raise the expected costs. This article proved that private enforcemen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raise the expected costs of cartels in Korea. In order to deter widespread cartels in most industries, the expected costs of cartel damage litigation by private plaintiffs should be decreased by introducing class action. In addition,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expected benefits of litigation by recognizing multiple damages compensation.

      • KCI등재

        약탈적 가격인하와 가격(이윤)압착 문제에 대한 고찰 - 기업메시징서비스 사건(대법원 2021. 6. 30. 선고 2018두37700 판결)을 중심으로 -

        주진열 ( Ju Jinyul ) 한국경쟁법학회 2021 競爭法硏究 Vol.44 No.-

        In 2015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FTC) charged that both LGU+ and KT, as a vertically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firm, had separately and unduly set each of theirs prices below the so-called ‘normal trading price (NTP)’ termed in the Korea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Decree (MRFTAD) to exclude rivals in the business text messaging service (BTMS) market. It was clear that the issue was about predatory price cutting rather than a price or margin squeeze. In June 2021, neverthless, the Supreme Court of Korea erroneously framed the two cases as a margin squeeze in both FTC v. LGU+ and FCT v. KT by manipulating ‘pricing below NTP’ as a margin squeeze. The Court should have interpreted NTP as a properly estimated cost in the context of predatory price cutting. The Court’s two decisions are neither understandable nor explainable. Even suppose that the two cases were about a margin squeeze, the Court should have addressed the antitust duty to deal. As neither LGU+ nor KT bear that kind of duty, the Court should have required the KFTC to prove the existence of predatory price cutting by LGU+ and KT.

      • KCI등재

        현대모비스의 전속대리점 관련 배타조건부거래 사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주진열(JU Jinyul)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19 No.4

        2014년 4월 대법원은 원고 현대모비스가 2008년 당시 자신의 전속대리점에게 원고의 부품 외에 다른 사업자의 부품(이른바 ‘비순정품’)을 취급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를 위반하면 부품 공급단가 할인 폐지, 전속대리점 계약 갱신 거절 또는 계약 해지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행위는 경쟁제한성이 인정되므로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시지남용’) 뿐 아니라 불공정거래행위로서 부당한 배타조건부거래에 해당된다는 원심판단을 수긍하였는데(대법원 2014. 4. 10. 선고 2012두6308 판결, ‘대상판결’), 여기에는 특히 부당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원고는 전속대리점 계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리점에서 원고가 공급하는 부품(이른바 순정품)만 취급하도록 요구하였는데, 공정위가 원고의 행위로 인한 구체적인 경쟁제한효과를 객관적으로 증명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사정을 공정위의결서 어디에서도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 사건의 경우 공정위의 경쟁제한성 증명 부족으로 원고의 행위를 시지남용으로 볼 수 없다고 생각된다. 한편 전속대리점이 원고 외에 다른 사업자의 부품도 취급하기 원한다면, 원고로서는 부품 공급단가 할인을 제공하거나 전속대리점 계약을 유지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그렇다면 전속대리점이 원고 외에 다른 사업자의 부품을 취급할 경우 원고가 할인제공 폐지나 전속대리점 계약 갱신 거절 또는 계약 해지를 하겠다고 한 행위를 어떤 의미에서든 불공정거래에 해당된다고 보기도 어렵다. In April 2014, the Korean Supreme Court affirmed the Seoul High Court decision which declared that some conducts of the plaintiff Hyudai MOBIS (plaintiff) conducts constituted both abuse of dominant position and unfair concerted practice under the Korean Monopoly Regulation Act (MRA) by asking its dealers not to deal with other firms’ products(Supreme Court 2012Du6308). The Supreme Court opined: the plaintiff, by requiring its dears to distribute its product only, excluded its rivals, and restrained competition in the all auto maintenance parts market; therefore the conducts in question constituted ‘undue exclusive dealing’ under articles 3-2 (1) and 23 (1) of the MRA. However, there is a doubt that how the relevant market can be defined as the ‘all’ market. Because the plaintiff produced auto parts only for cars made by Hyundai Motor and KIA Motor. So some auto parts for other cars made by other car markers hardly seems have reasonable substitution with the plaintiff’s products. In addition, exclusive dealership should be distinguished form exclusive dealing in the context of competition law for the reason that the purpose of the former is to promote sales efficiency rather than exclude rivals. Of course, the result of exclusive dealership can be an exclusion of rivals. However, in the context of competition law, exclusive dealership for the purpose of efficiency can not be equaled to exclusive dealing for the purpose of excluding rivals. The Court should have considered this respect in dealing with the case.

      • KCI등재

        독점규제법상 시장지배적 사업자 개념과 관련 문제

        주진열 ( Jinyul Ju ) 한국경쟁법학회 2016 競爭法硏究 Vol.33 No.-

        The Korean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MRA”) prohibits the abusive acts of dominant undertaking (“DU”). Therefore, in a case in which the firm in question has not a dominant position, it is not possible to decide that the firm abused its dominant position or market power. For this reason, before deciding whether the conduct in question amounts to abusive practice, the courts must decide first whether the firm in question has market power or not. On the other hand, article 2(7) of the MRA define DU as a undertaking that is able to unilaterally, or with other undertakings, decide, maintain, or change its own price, output, or other trading condition. However it is almost not possible to find out exactly which firm satisfy the definition of DU under article 2(7). For this reason,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FTC”) and courts as well have heavily depended on article 4(2) of the MRA that strongly assumes ‘any firm when the total market share of two or three firms is over 75%, except a firm that has below 10% market share’ as DU. According to the article 4(2), even a firm with 10% market share can be identified as DU. Indeed,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a firm with 25% market share is DU in the KIA Motor Car v. FTC (2010. 4. 8 declared 2008Du17707 decision). However, it does not make a sense that any firm when the total market share of two or three firms is over 75% is DU. Because article 4(2) is not confirm with sound competition law and policy, it should be better to delete the article by amending MRA. Or because article 4(2) can only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collective dominance, the article should not be applied to a case in which only one firm’s unilateral conduct matters.

      • KCI등재후보

        장외파생금융상품 거래에 있어서 적합성 문제에 대한 비교법경제학적 고찰

        주진열(Ju Jinyul) 한국법학원 2010 저스티스 Vol.- No.115

        동일한 금융현상을 다양한 이론적 가설에 근거하여 서로 다르게 설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금융경제 모텔이 병존하는 한, 금융경제학으로부터 키코(KIKO)와 같은 개별 사건들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법적 판단기준을 얻어내기란 힘들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의 경우 1970년대부터 몇몇 법학자들이 적합성 독트린 위반 여부의 판단에 있어서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 효율적자본시장 이론, 행태주의 금융경제학 등이 주는 일정한 시사점을 제시한 바 있다. 물론 이러한 시사점도 개별 사건에서 적합성 독트린 위반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고려해볼 수 있는 판단요소의 하나가 될 수 일 뿐이지 어떤 절대적 판단기준은 아니다. 금융규제의 역사 및 제도가 미국의 그것 과 다른 한국에서 적합성 독트린 문제에 대한 미국의 법경제학적 논의가 주는 시사점은 어느 정도 제약적일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점을 고려하더라도, 행태주의 이론으로부터 적어도 아래와 같은 시사점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장외파생금융상품거래와 관련한 자본시장법 소정의 적합성 및 설명의무는 당해 상품 리스크와 관련하여 딜러는 일반투자자보다 정보우위에 있음을 전제로 한다. 물론 일반적으로 은행이나 증권회사와 같은 딜러는 중소기업이나 개인과 같은 일반투자자보다 정보우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딜러가 일반투자자에 비해 정보우위에 있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을 수도 있고, 이러한 예외적인 경우에는 딜러가 자본시장법의 적합성 의무뿐만 아니라 판례법상의 보호의무를 다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가 극히 힘들 수 있다. 예컨대 투자자ㆍ딜러 모두 ‘過信과 리스크 저평가 오류’라는 인지 편향에 빠진 상태로 장외파생금융상품을 거래하였다고 하자 리스크의 실현 방향에 따라 딜러가 대규모 손해를 입을 수도 있고, 반대로 투자자가 대규모 손해를 입을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 딜러의 손해가 딜러의 인지 편향에 기인한 것이라고 평가한다면,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투자자의 손해는 바로 투자자 자신의 인지 편향으로 인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 투자자는 자신의 인지 편향을 인식하지 못한 채 손해의 책임을 딜러에게 돌리기 위해 자본시장법 소정의 손해배상규정이나 또는 판례법상의 보호의무를 원용하면서 濫訴의 유인을 가질 수 있다. 금융규제당국과 달리 법원은 불필요한 금융시장 간섭을 통하여 법원의 권한을 확장시키려는 유인이 없으므로, 판례를 통하여 투자자가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보호되는 일은 드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키코사건처럼 은행과 같은 딜러에 비해 약자로 인식되기 쉬운 중소기업 투자자가 막대한 손실을 입고 이에 더하여 규제당국이 보다 강력한 투자자 보호 입법을 마련할 경우, 법원은 자칫 무의식적으로 투자자 보호 편향에 빠질 수도 있다. 이러한 편향이 발생할 경우 손해배상책임이 잘못 인정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법원으로서는 인지 편향에 따른 오류를 피하기 위한 상당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As financial derivatives markets are not perfectly efficient, both investors and dealers can not avoid financial uncertainty in the future. It implies that modern financial derivatives techniques, which seek to avoid financial risks, contains some kind of risks.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strengthened the regulation on the OTC derivatives since 1998 KIKO incidents. However, because of new arbitrage opportunities for new regulations, it is still doubt whether the strengthened regulation can properly guarantee the protection of investors. In regard to risks of the OTC financial derivatives, the duty of suitability and/or to explain under the 2009 Korean Capital Market Act assumes that dealers has much more information on the OTC financial derivatives than unsophisticated investors. However, behavioral law and economics indicate that all participants in the OTC financial derivatives markets may make unconscious bias and error which are not intented. It implies that dealers do not have much more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Under this situation, it may be extremely difficult to assume that dealers bear the duty of suitability under the Act and/or the duty of investor protection under case law. In particular, when investors suffered huge losses on the OTC derivativ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urts may fall into cognitive bias for investor protection. With these in mind, the courts need to pay high attention to avoiding cognitive bias for investor protection in dealing with any civil damages case of alleged breach of the duty of suitability.

      • KCI등재

        일본 관음사(観音寺)에서 도난된 불상(佛像) 반환 문제에 대한 고찰 - 대전지방법원 2017. 1. 26. 선고 2016가합102119 판결 평석을 겸하여 -

        주진열(Ju Jinyul) 대한국제법학회 2020 國際法學會論叢 Vol.65 No.2

        2017년 대전지방법원은 2012년 일본 관음사에서 도난된 불상을 보관 중인 한국 정부에게 부석사가 소유자라고 하면서 부석사에게 인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는데(2016가합 102119), 이에 대해서는 찬반 논의가 있다. 이 사건 불상과 관련하여 2013년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협약 제7조(b)(ii)에 따라 한국 정부에게 반환 요청을 하였기 때문에, 제7조(b)(ii)의 반환 요건이 충족되면,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에게 반환해야 할 국제법상 의무를 진다. 국제법상 행정부의 의무 이행을 저지하는 사법부 판결은 3권 분립이라는 헌법 원칙과 국제법에 위배되고, 유네스코협약의 해석 · 적용 · 이행 권한과 책임은 원칙적으로 행정부에게 있으므로, 정부가 반환 의무를 인정하면, 사법부도 이러한 판단을 존중해야 할 것이다. 한국 정부가 이 사건 불상을 일본 측에 반환하더라도, 소유권을 주장하는 부석사는 관음사를 피고로 하여 소유물반환청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 한국 정부가 이 사건 불상은 제7조(b)(ii)에 따른 반환 대상이 아니라고 결정하면, 한일 양국 사이에 유네스코협약 해석 및 이행에 관한 국제법 분쟁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양국이 합의하여 구속력 있는 국제재판으로 분쟁을 종국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대상판결의 경우 국제법 뿐 아니라 민사법 차원에서도 문제가 있지만, 여기에는 제7조(b)(ii)에 따른 반환 여부를 공식적으로 결정하지 않은 정부에게도 일정한 책임이 있어 보인다. 민사법상 이 사건 불상의 소유권 확정은 제7조(b)(ii)에 따른 반환과는 별개의 문제이므로, 유네스코협약을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이행할 책임이 있는 정부로서는 제7조(b)(ii)에 따른 반환 의무를 인정하든 부정하든 이에 관한 공식적인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ddress international law issues how the problem concerning the return a stolen Buddhist statue possessed by a Japanese temple, Kannonji, to the Japanese government under the 1970 UNESCO 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should be solved. In 2012, the statue was stolen from Kannonji and illegally imported to Korea. In 2013, the Japanese Government asked the Korean government to return the statue under article 7(b)(ii) of the Convention. If the conditions of article 7(b)(ii) are satisfied, the Korean government is obliged to return the statue to the Japanese government. 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not decided whether the statue must be returned to the Japanese government under article 7(b)(ii), the Daejeon District Court ruled that the government must return it to a Korean temple - Buseoksa - that had argued the ownership of the statue. The government, arguing that Buesoksa has not the ownership, appealed the decision before Dajeon High Court. However, the ownership of the statue is not an issue of the return under article 7(b)(ii). Even if the statue is returned to Japan under the Convention, Buseoksa may bring a civil law action against Kannonji because article 7(b)(ii) itself does not affect an ownership dispute between individuals. If the Korean government decides to return the statue to Japan under the Convention, the Korean court is required to respect it. Otherwise, the dispute concerning the Convention between Korea and Japan will take place. Then the dispute should be solved in international tribunal based on two countries’ agreement. I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returning the statue, above all, the Korean government is required to decide the issue of article 7(b)(ii) first, regardless of the ownership dispute between Buseoksa and Kannoji.

      • KCI등재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관련 SKT 멜론 온라인 음악 서비스 사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주진열 ( Jinyul Ju ) 한국경쟁법학회 2015 競爭法硏究 Vol.32 No.-

        In October 2011, the Supreme Court affirmed the Seoul High Court’s 2007Nu8623 decision which recognized that the plaintiff SK Telecommunication (SKT) which provides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s well as online music service Melon, neither abused its market dominant posi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to restrain competition, nor undermined consumers’ benefit in online music service market, by its closed Digital Right Management (DRM) policy. First of all, although SKT asked mobile phone makers to provide SKT MP3 phones with can play DRM MP3 music files provided by Melon (Melon files), it did never force its telecommunication serve customers who uses SKT MP3 phones to buy Melon files. There was no tying arrangement. However, the lower court erroneously accepted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KFTC)’s argument that SKT did force its users to buy Melon files by de facto tying. In addition, KFTC never proved that SKT occurred any anti-competitive effect or adverse effect of consumers in the Online music market through SKT MP3 phones. Instead, KFTC just argued that the rapid growth of Melon in the Online music market was the result of abuse of dominant position of SKT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market through SKT MP3 phones. Again, the lower court erroneously decided that the rapid growth of Melon was the result of leveraging dominant position of SKT through SKT MP3 phones. But the lower court rightly denied ‘abuse’ of dominant position of SKT. The Melon Court just affirmed the main part of the lower court’s decision: denying abuse of dominant position of SKT. Therefore, contrary to some commentaries on the Melon case, it cannot be said that the Court affirmed theories of de facto tying as well as monopoly leveraging acknowledged by the lower. To avoid any misunderstanding with the meaning of the Melon case, of course, the Court should have appointed that the lower court’s theories of de facto tying and monopoly leveraging was absurd and unacceptable under Korean competition law.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