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Some regularity criteria for the 3D incompressible magnetohydrodynamics
Ji, E.,Lee, J. Academic Press 2010 Journal of mathematical analysis and applications Vol.369 No.1
In this paper, we consider regularity criterion for the three-dimensional incompressible magnetohydrodynamic equations. We present some sufficient integrability conditions on some components of the velocity and magnetic fields for the regularity of the weak solutions.
작은 이득의 적분오차 궤환시스템에 관한 Riccati식을 풀기위한 섭동법
李志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1985 工大硏究誌 Vol.14 No.-
출력측의 offset를 없애기 위하여 적분오차 궤환시스템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런 궤환시스템을 설계할 때 나타나는 Riccati식을 효율적이면서 수치적으로 안전하게 풀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섭동법의 기술을 이용하였다. 간단한 예제를 통하여 본 방법의 유용성을 보였다.
李智양 大田大學校 1988 論文集 Vol.7 No.1
‘업’ 또는 ‘겁’에 의한 파생형용사들은 오늘날 화석화된 것들이 많아 쉽게 파생어임을 깨닫기 어려우나, 대부분의 어근이 국어의 역사 속에서 확인될 수 있으므로 분석대상이 된다. 그 어근은 대체로 동사, 형용사, 명사 내지 의성의태어들이나 특이한 어근도 발견되는 등 광범위하다. 중세국어에서 이미 존재했던 ‘업’ 파생형용사들은 동사어간을 어근으로 한다는 통사적 제약과 어간 말음이 /i/나/j/로 끝나야 한다는 음운론적 제약을 가지는데, 이때의 /i/나/j/는 ‘업’과 통합되는 과정에서 truncation 되거나 glide 형성규칙의 적용을 받는다. 근대국어 이후에는 이러한 제약이 약화되어 명사, 의성의태어 등을 어근으로 하는 파생도 가능하고 동사의 경우도 어간 말음이 /i/나/j/로 국한되지 않아 다른 모음이나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에도 ‘업’이 연결될 수 있었다. 이렇듯 ‘업’이 취하는 어근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업’이 ‘브’나 ‘ㅂ’을 대치하는 새로운 파생어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어근 자체가 /i/말음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재구조화되기도 한다. 어근의 의미와 파생어의 의미 사이에는 다양한 종류의 변화가 엿보이나 기본적으로는 “주관적인 감정”이 그 주된 변화이며, 그 이외의 변화는 대체로 품사 전성에 따르는 불가피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형용사에만 연결되는 형태라고 여겨졌던 ‘겁’에도 해당된다.
심지영 새한영어영문학회 2008 새한영어영문학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differences of the verbs see and watch by comparing their noun and adverb collocations. This study analyzes 114 noun and 37 adverb collocations which are chosen from BYU/COCA(the Corpus of Comtemporary American English)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Lee(2006)'s definition, the meanings of see are defined as 'To be aware of sth/sb' and 'To meet sb' while those of watch are defined as 'To look at and pay attention to sth/sb' and 'To take care of sth/sb'. The noun and adverb collocations of see and watch are strongly related with the meanings of each verb. See and watch collocate the same nouns(54(47.4%)) such as aunt, conductor etc. The preferred nouns of see(42(36.8%)) are some groups such as criminals, medical personnel, religious personnel etc. and those of watch(18(l5.8%)) are other groups like sportsmen, celebrities, passersby etc. The same adverbs which collocate two verbs are the adverbs of tense(6(l6.2)) like later, today etc. The preferred adverbs of see(11(29.7%)) are some adverbs such as esp, ibid, socially etc. and those of watch(20(54.1%)) are other adverbs like helplessly, intently, constantly, apprehensively etc.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eanings of the synonyms and their collocations are strongly related with each other; therefore, acquiring collocation knowledge of each word can help one understand and distinguish these synonyms more easily.
李志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1984 工大硏究誌 Vol.13 No.-
A series expansion method for the optimal regulation of nonlinear chemical processes is derived by apply???? perturbation technique to the Bellman's recurrence equation. The approximate solution by this method is accurate can be easily calculated and implemented, which is illustrated by simulating two examples for well-known chemical processes.
컴퓨터 언어 보조 학습의 제반 이론 : an Interdisciplinary Field of Study
김지영 중앙대학교 외국어문학연구소 2000 외국학연구 Vol.- No.4
<Abstract> CALL(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is interdisciplinary in nature and it has eveolved out of using the computer for instructional purposes across a wide variety of subject areas. This paper reviews theories and research fr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 psychology; 3) artificial intelligence; 4) natural language processing; 5)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6) instructional design. By reviewing theories and research from other disciplines,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ory and practice of CALL would emerge. It would also provide solutions for the problems in the CALL area, such as a lack of standards for current generation of CALL material developments and no reliable conceptual framework by which to measure the CALL programs.
강지형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이 초등학교 교직수학으로서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교양수학의 교수요목선정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먼저 전국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의 지도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의 교재내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교양수학 교재의 내용분석 결과를 2007년에 개정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수학교육 내용과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초등학교 교직수학 교수요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inquire into the direction for choosing the syllabus of mathematics as a gene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materials of the curriculums in the al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And we analyzed the roles of mathematics as a general education in relation to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Finally we compared them with the suggestions offered by other researches and the national curriculum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