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측 하악과두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보술후 나타난 근약화와 시력장애 : 증례보고

        정기훈,신용길,김태열,신재명,윤규호,전인성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0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2 No.6

        The condylar fracture show high occurrence rate in the following of symphysis and angle, because it is easy to have concentration of outer pressure due to its long and narrow anatomical shape and mouth opened state when trauma is attacked. For the clinical findings, there are trismus, opening deviation, mal-occlusion and open bite The classification of condylar fracture is varied due to the location of condylar bone fragment, fracture site. There are conservative and surgical methods for treatment modalities. Because of many advantages, conservative method is widely used it has no particular limits of treatment adjustment but the cases of absolutely surgical correction indication are easily found in clinical experience. Although many methods are suggested for treatments of condylar fracture, there are no particular surgical methods for precise reduction due to difficult accessibility in high condylar neck fracture. For precise reduction of condyle, we used Nam's method. However, in Nam's method, because condyle is fixed when once it is kept off externally reduced in avascular state, so complication such as condyle resorption i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our clinic, we obtained some knowledge by treating a patient who had muscle weakness and vision disorder after temporary airway obstruction follownig the both condylar fracure operated using Nam's method, so here we reported the case with a study of documents.

      • 재배 콩나물 저장 중 온도처리가 isoflav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정연신,이향미,Krishna Hari Dhakal,김용훈,이정동,신동현,황영현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08 慶北大農學誌 Vol.26 No.-

        콩나물로부터 고 isoflavone 함량의 콩 식품윈료를 얻고자 콩나물 재배 시 빛을 쪼여주고, 재배한 콩나물의 저장온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isoflavone 함량변이 를 조사하였다. 공시 품종들의 7일 재배 후 저장하기 전 isoflavone함량은 아가 3호>아가 1호>아가 2호>아가 4호>장기콩>보석콩>은하콩>풍산나물콩 순이었는데 아가 3호의 isoflavone 함량은 4,619㎍/g이었다. 재배한 콩나물의 isoflavone 함량은 저장온도에 따라 품증별로 상이한 차이를 보였는데, 저장온도 6℃와 20℃에서 isoflavone함량이 높은 반면 저장온도 9℃와 30℃에서는 대부분 콩 품종들의 isoflavone 함량은 낮았다. 저장일수에 따른 isoflavone의 함량은 품종들 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대부분의 품종들은 저장기간 3일 이내에 가장 높은 isoflavone 함량을 보였고, 아가 4호와 장기콩은 저장기간 5일에서도 높은 isoflavone의 함량을 보였다. 저장기간과 온도처리를 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isoflavone 함량을 높이고자 한 결과 아가 3호를 포함하여 공시한 8품종 중 4품종에서 20'C에서 하루 동안 저장했을 때 가장 높은 isoflavone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재배한 콩나물들 중 저장을 통해 가장 높은isoflavone의 함량을 보인 품종은 아가 3호로써 저장후의 isoflavone 함량은 11,705㎍/g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콩나물 저장기간 동안 수분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겼기 때문에 콩나물이 계속 성장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저장기간 동안 온도처리를 달리하여 isoflavone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보다 확실한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To obtain food materials of high isoflavone content from soy-sprouts, 8 soy-sprout varieties, Aga 1, Aga 2, Aga 3, Aga 4, Pungsannamulkong, Eunhakong, Jangkikong and Bosugkong, were grown into soy-sprouts for 7 days under light condition and stored for 5 days at 6 different temperatures; 3, 6, 9, 20, 30, and 40℃ in the dark. The isoflavone content of 7 days grown sprout varieties were highest in the order of Aga3>Aga 1>Aga 2>Aga 4>Jangkikong>Bosugkong>Eunhakong>Pungsannamulkong. The highest isoflavone content of Aga 3 was 4,619 ㎍/g. The isoflavone content of soy-sprouts showed much varieta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torage temperatures. Comparative high isoflavone content was obtained at storage temperatures of 6℃ and 20℃ while most of varieties showed low isoflavone content at 9℃ and 30℃. No constant trend in isoflavone content for the tested varieties along with the days to storage but most of varieties showed the highest isoflavone content in 3 days of storage. On the contrary, Aga 4 and Jangkikong showed high isoflavone content even at 5 days of storage . The comparatively high isoflavone content for 4 varieties including of Aga 3 out of 8 varieties was obtained from the treatment of one day storage at 20℃. Out of all treatments, the highest isoflavone content was obtained from one day storage at 20℃ for Aga 3 and the content was as high as 11,705 f-㎍/g. In this experiment, soy-sprouts were believed to be made continuous growth during the storage because the sprouts were being dipped in water during the temperature treatment to protect soy-sprouts from drying. Thus, it is inferred that additional researche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better method to increase isoflavone content in soy-sprouts during the storage.

      • 평면 구성 및 공간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정상규,박우장,이요희,이훈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a program for the composition of plan and the analysis of space. This program is able to draw plans more easily and quickly, and to seek a proper design solution by analyzing the topology of space based on Space Syntax(Hillier & Hanson, 1984). The program includes the Algorithms united some theories such as Shape Grammar(Stiny & Mitchell, 1980). Dimensionless Representation, Space Syntax and so on. Therefore we exhibit developing tools for modifying, editing and analyzing architectural plans.

      • KCI등재후보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Voglibose와 Acarbose의 비교임상연구

        정인경,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정윤이,박중열,홍성관,이기업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6 No.2

        연구배경:아카보스와 보글리보스는 ­glucosidase inhibitors로써 비록 약리학적 작용이나 부작용에 있어서 두 약물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아직 이에 대한 두 약물간에 직접적인 비교에 대해 연구된 바는 없었다. 이에 저자등은 국내 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해 유효성과 부작용 발현에 대해 두 약제를 비교하고자 무작위법에 의한 위약 대조군의 이중 맹검법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시험 약제 투여 4주간의 관찰기를 설정하여 공복혈당의 변화가 30㎎/dL 이하이고, 식후 혈당이 200㎎/dL 이상인 환자로 기타 제외 기준에 해당하지 않은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여 보글리보스 군(24명)과 아카보스 군(29명)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치료기간은 총 8주로 하였으며, 4주간 간격으로 혈청학적 검사와 부작용을 분석하여 치료 효과가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결과:1)혈당 변화:보글리보스군은 식후 1시간 혈당이 치료 후 4주, 8주째 의미 있게 감소하였도, 아카보스군은 식후 1시간과 2시간 혈당이 치료 후 4주, 8주째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관찰기 혈당에 대한 치료 4주째 감소량은 아카보스군에서 더 큰 경향을 보였으나, 치료 8주째에는 두 군 간의 강하정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p=0.569). 2)인슐린 치의 변화:보글리스 군은 식후 1시간 인슐린 치가 치료 전에 비해 치료 4주, 8주째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공복 인슐린이나 식후 2시간 인슐린치는 치료전 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아카보스군에서는 치료 전후로 공복 인슐린, 식후 1시간과 2시간 인슐린치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약제 간에 치료 전과 치료 8주사이의 식후 2시간 인슐린의 감소량이 보글리보스 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40). 3)당화혈색소:보글리보스 군은 치료 전에 비해 치료후 당화혈색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아카보스군은 치료 전에 비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당화혈색소 변화량은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412). 4)지질대사의 변화:중성지방, 콜레스테롤, 고밀도 진단백 콜레스테롤에 대해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5)부작용:소화기계 부작용의 빈도는 치료 4주째 보글리보스 군에서 의미 있게 낮았으나(p=0.028), 치료 8주째 부작용의 빈도는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215). 결론:2형 당뇨병 환자에서 보글리보스와 아카보스의 두 약제의 임상적 유효성과 부작용발현에 대해 비교한 결과 치료 후 8 주 후 혈당강화효과는 두 약제간에 유사한 효과를 보였으나 보글리보스군에서 4주째의 초기 위장관 부작용이 적었다. Background : Acarbose and voglibose are alpha-glucosidase inhibitors. Although different pharmacological effects and adverse abdominal events associated with the two drugs have been reported, no study directly compared acarbose and voglibose in diabetes has been undertaken. To compar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and gastrointestinal adverse events between two drug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ind study was performed in type 2 diabetes patients. Methods : The period of study was 12 weeks(observation period: 4 weeks; treatment period: 8 weeks). Fifty-three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the acarbose group: 24 patients; the voglibose group: 29 patients). The serum glucose, insulin, fructosamine, HbA_1c,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were measured. Results : 1) The reduction of glucose from before treatment to 4 weeks after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arbose group, but the change before treatment and 8 weeks after treatment in the two groups was similar(p=0.569). 2) The insulin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voglibose treatment(p=0.040). 3) HbAa_1c level tended to decrease in voglibose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acarbose treatment. However, the change in HbA_1c level before and after treatment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p=0.412). 4) The two drugs did not cause any other changes in the tota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5) The number of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adverse events was significantly low 4 weeks after voglibose treatment (p=0.049), but the incidence in the two groups was similar after 8 weeks(p=0.215). Conclusions : Acarbose and voglibose significantly improved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es. The incidence of gastrointestinal adverse events was low 4 weeks after voglibose treatment(J Kor Diabetes 26:134~145, 2002).

      • SCOPUSKCI등재

        IL-β의 인슐린 분비 자극효과와 그 과정에 관여하는 인자들

        정인경,오승훈,강동묵,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4

        연구배경: IL­1β는 용량과 노출시간에 따라 인슐린분비에 대해 상반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IL­1β의 인슐린 분비 억제효과는 제1혁명 당뇨병의 자가면역 기전과 관련되어 잘 알려져 있으나 인슐린 자극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명백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저자 등은 IL­1β의 다양한 농도에 따라 백서의 췌도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기전으로 인슐린 생합성, iNOS의 발현, 칼슘통로의 활성도 변화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200∼300g인 수컷 Sprague­Dawley 백서의 췌도를 변형된 Lacy&Kostianovsky's 방법으로 분리한 후 IL­1β의 다양한 농도(0, 0.5, 5, 50, 500pmol/L)에 2, 6, 24시간 노출시켜 췌도세포의 형태, 생존능을 관찰하고 인슐린 분비능 및 췌도세포내 인슐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전전구 인슐린 mRNA발현, iNOS mRNA발현을 RT­PCR을 통해 확인하였고, 세포의 칼슘 통로 활성도 변화 여부를 측정하였다. 결과:1) IL­1β에 노출되 췌도의 생존능:2시간 노출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6시간 고농도군과 24시간 모든 군에서 생존능이 감소되었다. 2)인슐린 분비능은 IL­1β를 2시간 5poml/L이상의 고농도와 6시간 0.5pmol/L 저농도 처리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 6시간과 24시간 5poml/L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의미있게 인슐린의 분비가 억제 되었다. 3)췌도내 인슐린양의 변화는 IL­1β의 시간과 농도에 따라 배지내의 인슐린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전전구인슐린의 mRNA발현은 2시간 50pmol/L이상 고농도의 IL­1β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6시간 처리군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24시간에서 IL­1β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5)iNOS mRNA는 IL­1β 처리 후 2시간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여, 6시간에 최고에 달한 후 24시간에는 점차 감소하였다. IL­1β의 처리시간과 무관하게 5poml/L이상의 고농도에서 용량에 따라 발현이 증가하였다. 6)칼슘통로 활성도는 IL­1β의 농도나 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IL­1β는 단시간 고용량이나 장기간 저용량에서 인슐린 분비와 생합성을 증가시키며, 이런 효과는 iNOS나 칼슘 통로 활성도 변화와는 무관한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inhibitory effort of IL-1β on the insulin secretion has been validated in pathogenesis of type 1 diabetes, but complex results about the stimulatory effect of IL-1β have been reported.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clarify the effects of IL-1βon insulin secretion of pancreatic islets an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in terms of preproinsulin synthesis, inducible NOS expression, and calcium channel activity. Method : Islets were isolated from male Sprague-Dawley (SD) rat by modified Lacy-Kostianovsky's method. After islet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 0.5, 5, 50, 500 pmol/L) and exposure time (2, 6, 24 hours) of IL-1β, morphology, viability, static stimulation of insulin to glucose, insulin content, preproinsulin mRNA expression, iNOS mRNA expression and calcium channel activity were measured. Results : 1) Viability o islets was reduced in high concentrations of long term exposure of IL-1β. 2) Insulin secretion was stimulated in islets treated with 5, 50, and 500 pmol/L of IL-1β for 2 hours. 3) Insul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concentration and exposure time of IL-1β. 4) Preproinsulin mRNA expression increased in islets treated with 50, 500 pmol/L of IL-1β for 2 hours. After 24 hours, it decreased in dose dependent manner. 5) iNOS mRNA expression was detectable after 2 hours in the presence of IL-1β, peaks at 6 hour and decreased after 24 hours. It was increased above 5 pmol/L of IL-1β in dose dependent manner. 6) Activities of the voltage-dependent Ca^2+ channels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Conclusion : IL-1β plays a positive role in terms of insulin secretion and insulin synthesis in high concentration of short term or low concentration of long term. These effects of IL-1β might be neither dependent of iNOS pathway nor Ca^2+ channel activity (J Kor Diabetes Asso 431~443, 2000).

      • Sn-xAg-0.5Cu 무연 솔더 볼의 파단특성 연구

        정종설,이용성,신기훈,정성균,장동영 한국공작기계학회 2008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failure characteristics of SnAgCu lead-free solder balls. To estimate the effect of Ag, three types of SnAgCu balls are first prepared by varying the weight percent of Ag (1.0, 3.0, 4.0 wt%) and then analyzed by reliability tests such as thermal shock, high speed ball shear, and drop tests. Thermal shock test reveals that the higher the weight percent of Ag is, the longer the fatigue life becomes. To the contrary, high speed ball-shear test and drop test show that the shear strength and the fracture toughness of solder balls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weight percent of Ag, respectively. Reasons for these observations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in the future work.

      •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 대사 이상 정도에 따른 인슐린 감수성과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정인경,김성훈,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유형준,안규정,노정현,김동준,김광원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당 대사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으로 내인성 당질 코르티코이드 과다상태인 쿠싱증후군에서는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이 증가하고 이를 보상하고자 인슐린 분비의 증가로 고인슐린혈증이 동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와 달리 시험관내에서는 췌도세포에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장시간 처리하면, 인슐린 분비 및 생합성이직접적으로 억제됨이 확인된 바 있어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아마도 말초조직에서 증가된 인슐린 저항성 뿐 아니라 이를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는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저하가 같이 동반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고, 아직까지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쿠싱증후군을 당대사 정도에 따라 인슐린 감수성과 분비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기에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쿠싱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쿠싱증후군 환자와 같은 성별 그리고 체질량지수를 갖은 15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비교 하였다 쿠싱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당부하 검사를 통해 당대사 정도를 정상군, 내당능장애군, 그리고 당뇨병군으로 나눈 후 정맥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각군의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를 비교하고, 수술 후 쿠싱증후군이 완치된 상태에서 수술 전후의 당대사 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1) 쿠싱증후군 환자 중 정상인은 20%, 내당능 장애는 27%, 그리고 당뇨병은 53%였다. 체질량지수, 나이, 그리고 발병 기간은 세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소변검사의 코르티솔 농도는 당뇨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2) 정맥당부하 검사 결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Sl는쿠싱증추린」서 1.58±0.10[×10^(-4)(min^(-1)(μU/mL)^(-1)]로 정상 대조군의 3.37±0.49[×10^(-4)(min^(-1)(μU/mL)^(-1)]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나(P=0.024), 쿠싱증후군 환자 중 NGT, IGT, DM 군간에 서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SG는 정상 대조군과 쿠싱증후군 환자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쿠싱 증후군에 있어서 당대사가 악화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인 AIRg는 정상인에 비해 전체 쿠싱증후군 환자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쿠싱증후군 환자중에서 당대사 상태에 따라 NGT군은 1299 (1297∼1310)(mu/g/min ×10^(-2))로 정상 대조군(368.9±98.6[mu/g/min ×10^(-2)]) 보다도 의미있게 높았고, DM군{202.2 (91.1~371.4) [mu/g/min ×10^(-2)}은 NGT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031). 5) 15명중 현재 완치 상태에 있는 6명에 대해 수술전과 후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 당대사 상태가 1명은정상, 1명은 내당능 장애, 그리고 4명은 당뇨병이었으나 수술 후 시행한 경구 당부하 검사상 모두 정상 당대사 상태를 보였다. 6) 수술 후 완치된 환자 6명에 있어 인슐린 감수성지표인 Sl는 수술전에 중앙값이 1.22[×10^(-4)(min^(-1)(μU/mL)^(-1)]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감고』어 있었으나(p.0.05), 수술후 10.95 [×10^(-4)(min^(-1)(μU/mL)^(-1)]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고(P=0.0022), 인슐린 분비능을 나타내는 AIRg [mu/g/min ×10^(-2)] 값도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특히 인슐린 분비능의 회복양상은 혈당농도에 따라 판이하게 나타나서, 정상과 내당능장애 상태에 있던 2명은 수술전에 1201 [mu/g/min ×10^(-2)]로 증가되어 있던 AIRg 값이 수술 후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수술 전에 당뇨병 상태에 있던 4명의 경우 245.9 [mu/g/min ×10^(-2)]로 인슐린 분비능이 감고il어 있었는데 이들은 수술 후 모두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P=0.0286). 결론: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대사 이상은 80%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모든 쿠싱증후군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은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어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이 선행됨을 시사하며, 인슐린 분비능은 당대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정상 당대사군에서는 인슐린의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정상 대조군보다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분비를 하다가 고코르티솔혈증이 심할수록 인슐린 분비능의 감소로 당뇨병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런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장애는 수술 후 다시 회복되는 가역적인변화를 보였다. Background: Glucocortico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carbohydrate metabolism.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 increased incidence of carbohydrate intolerance due to peripheral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although the exact incidence and nature of this disorder have remained unclear. Few results have been published about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secre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or about the reversibility of such defects in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Methods: To assess the effect of glucocorticoid on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in Cushing's syndrom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diabetes: DM)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ucose tolerance based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sulin modified, frequently sample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FSIG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urative surgery on these patients and on 15 healthy control subjects. Data were evalua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Among th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3 (20%) were NGT, 4 (27%) IGT, and 8 (53%) DM, based on OGTT. Twenty-four hour urinary free cortisol (UF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2) Insulin sensitivity index (SI) of Cushing's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24),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of NGT, IGT and DM. 3) Glucose mediated glucose disposal (SG) (Ed- confirm this abbreviation; it does not seem to match the definition) of Cushing's syndr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4) Insulin secretion (AIRg) of Cushing's syndrome tended to be high,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Rg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p=0.0031); AIRg of D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GT. 5) After surgical treatment, parameters of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were normalized in 6 cured patients; 1 with NGT, 1 with IGT, and 4 with DM, preoperatively. Median SI of all 6 pati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up to the normal range postoperatively p=0.0022). Median AIRg of these 6 patients was balanced around that of normal control postoperatively p=0.0286). Conclusion: Eighty percent of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d abnormality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suli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ushing's syndrome. Insulin secre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the NGT and IGT groups of Cushing's syndrome. As the hypercortisolemia is exacerbated, insulin secre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uses DM, suggesting that glucocorticoid has a direct or indirect toxic effect on the pancreatic beta cell (J Kor SOC Endocrinol 18:392-403, 2003).

      • KCI등재

        인공 치아우식 발생 모델에서 디지털 방사선 공제술을 이용한 인접면 치아우식증의 진단

        박정훈,최용석,황의환,이기자,최삼진,박영호,김경숙,진현석,홍경원,오범석,박헌국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 2009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9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evaluating the diagnostic ability of dental caries detection using digital subtraction in the artificial caries activity model. Materials and Methods : Digital radiographies of five teeth with 8 proximal surfaces were obtained by CCD sensor (Kodak RVG 6100 using a size #2). The digital radiographic images and subtraction images from artificial proximal caries were examined and interpreted. In this study, we proposed novel caries detection method which could diagnose the dental proximal caries from single digital radiographic image. Results : In artificial caries activity model, the range of lesional depth was 572-1,374 μm and the range of lesional area was 36.95-138.52mm². The lesional depth and the are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demineralization time (p<0.001). Furthermore, the proximal caries detection using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showed high detection rate compared to the proximal caries examination using simple digital radiograph. Conclusion :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from single radiographic image of artificial caries was highly efficient in the detection of dental caries compared to the data from simple digital radiograp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