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crowav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U-Type Ferrite Powders According to Substitution Elements and Its Compositions

        Kwang‑Pil Jeong,Su‑Won Yang,Jin‑Hyuk Choi,Jeong‑Gon Kim 대한금속·재료학회 2021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27 No.8

        In this study, partially substituted U-type ferrite (Ba4MexCo2-xFe36O60, Me: Mn, Ni, Zn, x=0.5 and 1.0) powders weresynthesized by sol–gel method. The powders were analyzed for phase formation, morphology and magnetic properties byXRD, FE-SEM and VSM respectively. The synthesized ferrite powders were pressed into a series of toroidal shaped samples,in which the weight ratio of parafn to powder was 1:5. The complex scattering parameters were measured by using vectornetwork analyzer in the frequency range of 2–18 GHz and were employed in the calculation of refection loss with variousthicknesses. The minimum refection loss was observed in the substituted nickel sample as−24.4 dB (absorption rate 99.6%)with a thickness of 2.5 mm and the bandwidth was achieved 4.8 GHz (from 7.5 to 12.3 GHz) for refection loss≤ −10 dBin the substituted zinc sample.

      • 당뇨병 백서의 간세포에서 Glucokinase 활성도 및 유전자 발현에 대한 인슐린의 영향

        강성이,팽정령,서광식,안규정,우정택,김성운,양인명,김진우,김영설,김광원,최영길 경희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3 遺傳工學論文集 Vol.5 No.-

        목적 당대사의 조절 상태에 따른 생체 변화를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식이 조건을 달리한 정상 백서와 화학적으로 유도된 당뇨병 백서의 간조직에서 혈당수준과 인슐린치료 정도에 따라 나타나는 글루코키나제 활성도 및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방법 스트렙토조토신 정맥투여 후 당뇨병의 유발을 확인하고, 인슐린을 1일 3회 3일간 복강내로 투여하여 상태를 안정시킨 후, 인슐린 투여군은 인슐린 투여 6시간이내에 그리고 인슐린 비투여군은 24시간 후 단두하여 채혈하고 복강을 열어 간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간조직에서 글루코키나제 활성도는 인산화된 포도당에서 NADH의 형성을 형광분광계로 측정하였으며, 글루코키나제 유전자 mRNA발현은 Northern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성적 정상 백서에서 공복상태와 식이를 섭취한 경우에 간조직의 글루코키나제 효소의 활성은 차이가 없었으나, 글루코키나제 유전자 mRNA 발현은 증가되었다. 당뇨병이 유발된 백서의 간조직에서 글루코키나제 효소의 활성 및 글루코키나제 유전자의 mRNA 발현은 정상 백서에 비하여 낮았다. 인슐린 투쳐 후 글루코키나제 효소의 활성 및 글루코키나제 유전자의 mRNA 발현이 증가되었고, 특히 혈당이 정상화된 경우에서 글루코키나제 유전자의 mRNA 발현이 증가도었다. 결론 인슐린에 의한 간조직에서 글루코키나제 효소의 활성 및 글루코키나제 유전자의 mRNA을 증가를 볼수 있었다. 당뇨병 백서에서 인슐린 투여 후에 혈당조절이 안된 경우 간조직의 글루코키나제 유전자의 mRNA 발현이 증가가 없는 것으로 보아 글루코키나제 mRNA의 발현에는 인슐린 이외의 다른 요소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liver-specific hexokinase isoenzyme, referred to as glucokinase, is thought to play a key reglulatory role in hepatic glucose metabolism. The glucokinase gene is, therefore, of interest both because of its tissue-specific expression and because of the several regulatory processes that can be analyzed. The level of hepatic glucokinase activity appears to be determined essentially by regulation of the rate of enzyme synthesis, with insulin playing a leading role as an inducer. We investigated the role of insulin for the induction of glucokinase in the liver of diabetic rats. Experimental diabetes was induced by injection of streptozotocin 7 days before the experiment. Regular insulin was given by three days intraperitoneal injection at 8-h interval. The glucokinase mRNA in the liver was estimated by Nothern blot assay, as well as by fluorometric enzyme activity assay. Glucokinase activity was not reduced in the liver of normal fasting rats as compared to normal fed rats. And glucokinase activity was reduced in the liver of diabetic rats as compared to normal rats. In diabetic rats treated with insulin, glucokinase enzyme activity were increased. But glucokinase mRNA expression was only increased in normoglycemic diabetic rat with treated with insulin as compared to hyperglycemic rat. These data indicate that insulin stimulates hepatic glucokinase enzyme activity and mRNA expression. But other hormonal or metabolic factors may be contribute to regulation of glucokinase mRNA expression.

      •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 대사 이상 정도에 따른 인슐린 감수성과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

        정인경,김성훈,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유형준,안규정,노정현,김동준,김광원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당 대사에 매우 중요한 호르몬으로 내인성 당질 코르티코이드 과다상태인 쿠싱증후군에서는 말초조직에서 인슐린 저항이 증가하고 이를 보상하고자 인슐린 분비의 증가로 고인슐린혈증이 동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와 달리 시험관내에서는 췌도세포에 당질 코르티코이드를 장시간 처리하면, 인슐린 분비 및 생합성이직접적으로 억제됨이 확인된 바 있어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뇨병의 원인으로는 아마도 말초조직에서 증가된 인슐린 저항성 뿐 아니라 이를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는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저하가 같이 동반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고, 아직까지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당대사 이상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쿠싱증후군을 당대사 정도에 따라 인슐린 감수성과 분비능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기에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쿠싱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는 쿠싱증후군 환자와 같은 성별 그리고 체질량지수를 갖은 15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비교 하였다 쿠싱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당부하 검사를 통해 당대사 정도를 정상군, 내당능장애군, 그리고 당뇨병군으로 나눈 후 정맥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각군의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를 비교하고, 수술 후 쿠싱증후군이 완치된 상태에서 수술 전후의 당대사 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1) 쿠싱증후군 환자 중 정상인은 20%, 내당능 장애는 27%, 그리고 당뇨병은 53%였다. 체질량지수, 나이, 그리고 발병 기간은 세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24시간 소변검사의 코르티솔 농도는 당뇨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2) 정맥당부하 검사 결과,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Sl는쿠싱증추린」서 1.58±0.10[×10^(-4)(min^(-1)(μU/mL)^(-1)]로 정상 대조군의 3.37±0.49[×10^(-4)(min^(-1)(μU/mL)^(-1)]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나(P=0.024), 쿠싱증후군 환자 중 NGT, IGT, DM 군간에 서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SG는 정상 대조군과 쿠싱증후군 환자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쿠싱 증후군에 있어서 당대사가 악화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인슐린 분비능의 지표인 AIRg는 정상인에 비해 전체 쿠싱증후군 환자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쿠싱증후군 환자중에서 당대사 상태에 따라 NGT군은 1299 (1297∼1310)(mu/g/min ×10^(-2))로 정상 대조군(368.9±98.6[mu/g/min ×10^(-2)]) 보다도 의미있게 높았고, DM군{202.2 (91.1~371.4) [mu/g/min ×10^(-2)}은 NGT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031). 5) 15명중 현재 완치 상태에 있는 6명에 대해 수술전과 후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 당대사 상태가 1명은정상, 1명은 내당능 장애, 그리고 4명은 당뇨병이었으나 수술 후 시행한 경구 당부하 검사상 모두 정상 당대사 상태를 보였다. 6) 수술 후 완치된 환자 6명에 있어 인슐린 감수성지표인 Sl는 수술전에 중앙값이 1.22[×10^(-4)(min^(-1)(μU/mL)^(-1)]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감고』어 있었으나(p.0.05), 수술후 10.95 [×10^(-4)(min^(-1)(μU/mL)^(-1)]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고(P=0.0022), 인슐린 분비능을 나타내는 AIRg [mu/g/min ×10^(-2)] 값도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특히 인슐린 분비능의 회복양상은 혈당농도에 따라 판이하게 나타나서, 정상과 내당능장애 상태에 있던 2명은 수술전에 1201 [mu/g/min ×10^(-2)]로 증가되어 있던 AIRg 값이 수술 후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수술 전에 당뇨병 상태에 있던 4명의 경우 245.9 [mu/g/min ×10^(-2)]로 인슐린 분비능이 감고il어 있었는데 이들은 수술 후 모두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P=0.0286). 결론: 쿠싱증후군 환자에서 당대사 이상은 80%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모든 쿠싱증후군환자에서 인슐린 감수성은 정상인에 비해 저하되어 있어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이 선행됨을 시사하며, 인슐린 분비능은 당대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정상 당대사군에서는 인슐린의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정상 대조군보다 더 많은 양의 인슐린 분비를 하다가 고코르티솔혈증이 심할수록 인슐린 분비능의 감소로 당뇨병으로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런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장애는 수술 후 다시 회복되는 가역적인변화를 보였다. Background: Glucocortico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of carbohydrate metabolism.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 increased incidence of carbohydrate intolerance due to peripheral insulin resistance and hyperinsulinemia, although the exact incidence and nature of this disorder have remained unclear. Few results have been published about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secre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or about the reversibility of such defects in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Methods: To assess the effect of glucocorticoid on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in Cushing's syndrom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diabetes: DM)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ucose tolerance based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sulin modified, frequently sample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FSIG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curative surgery on these patients and on 15 healthy control subjects. Data were evaluat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1) Among the 15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3 (20%) were NGT, 4 (27%) IGT, and 8 (53%) DM, based on OGTT. Twenty-four hour urinary free cortisol (UF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M group. 2) Insulin sensitivity index (SI) of Cushing's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24),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of NGT, IGT and DM. 3) Glucose mediated glucose disposal (SG) (Ed- confirm this abbreviation; it does not seem to match the definition) of Cushing's syndr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4) Insulin secretion (AIRg) of Cushing's syndrome tended to be high,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glucose concentr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Rg among the three Cushing's syndrome groups p=0.0031); AIRg of D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GT. 5) After surgical treatment, parameters of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ion were normalized in 6 cured patients; 1 with NGT, 1 with IGT, and 4 with DM, preoperatively. Median SI of all 6 pati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up to the normal range postoperatively p=0.0022). Median AIRg of these 6 patients was balanced around that of normal control postoperatively p=0.0286). Conclusion: Eighty percent of patients with Cushing's syndrome had abnormality of carbohydrate metabolism. Insuli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ushing's syndrome. Insulin secre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only in the NGT and IGT groups of Cushing's syndrome. As the hypercortisolemia is exacerbated, insulin secre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uses DM, suggesting that glucocorticoid has a direct or indirect toxic effect on the pancreatic beta cell (J Kor SOC Endocrinol 18:392-403, 2003).

      • SOA내에서의 XPM,FWM을 이용한 WDM 시스템 파장변환기 구현

        정광원,이정렬,이승우,엄진섭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1 정보통신논문지 Vol.5 No.-

        In this paper, a new type of wavelength converter using XPM within a loop-mirror is proposed and demonstrated. The proposed structure decreases hardware components for implementation of XPM wavelength converter and makes it possible to get non-inverted and inverted output signals simultaneously. Also, we generate wideband pumping mode series for FWM wavelength conversion scheme and propose the effective filtering method for selecting converted wavelength from FWM outputs. The results show that the pumping mode range is over 30nm within 5dB power fluctuation, and that a pumping and a prove wave can be removed successfully by using both of Michelson interferometer and polarization controller.

      • SCOPUSKCI등재

        단계적 온도 하강법을 이용한 췌도세포 냉동보존법

        정인경,오승훈,김병준,양태영,이병완,하창영,노정현,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6 No.1

        연구배경:최근 당뇨병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시도되고 있는 췌도이식은 충분한 췌도수의 확보와 췌도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면역억제제 사용이 제한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식 전 충분한 췌도 수의 확보를 위해 분리한 췌도를 냉동보존하는 방법을 확립하고 냉동보존한 백서 췌도세포의 시험관내 그리고 생체내 기능을 조사하였다. 방법:분리한 백서의 췌장소도를 48시간 배양한 후 한 시험관당 췌도세포 1000개씩 나누었다. 냉동보존은 6개의 시험관에 DMSO를 첨가한 후 초 냉각(supercooling), 핵화(nucleation)단계를 거친 후 99% isopropanol과 액체질소가 들어있는 dewer를 이용하여-0.25℃/분의 냉각속도로 -40℃까지 단계적으로 얼린후-70℃ 액체질소 탱크에 보관했다. 해동은 냉동시킨 vial들을 액체 질소 태으에서 꺼내 37℃ 항온조에 담가 급격히 해동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각 vial에 0.75M sucrose 용액을 가한 후, 10% fetal calf serum이 함유된 RPMI 1640 media에서 배양하였다 각각 6개의 시험관에서 해동한 췌도들을 광학현미경 및 형광현미경하에서 췌도의 모양과 생존율에 대해 조사하고 인슐린 정적반응을 알아보았다. 또한 분리한 췌도를 냉동보존하지 않고 이식한 경우를 대조군(6마리)과 생체내 기능을 비교하였다. 결과:① 냉동보존후 획득한 췌도의 수와 생존율 해동후 획득한 췌도의 수는 해동시킨 당일날이 902±21, 24시간 배양 후에는 857±16, 72시간 후에는 817±18개로 점차 감소되었다. AO/PI 염색상 각 췌도의 생존율은 냉동 전을 100으로 하였을 때 해동당일, 24시간 후, 72시간 후가 각각 60±5, 80±5, 90±5%로 해동후 3일간 배양하였을 때 냉동전의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② 냉동보존후 췌도의 포도당에 대한 정적 인슐린 분비능:냉동직후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나 해동후 3일간 배양한 췌도의 인슐린 분비는 냉동전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이 냉동보존 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③ 냉동보존후 췌도의 포도당에 대한 동적 인슐린 분비능:냉동보존한 췌도를 해동후 3일째의 인슐린 동적 분비능은 냉동 전과 마찬가지로 자극 인슐린의 반응의 제1기와 2기가 잘 관찰되었다. ④ 냉동보존한 췌도세포 이식 후 혈당 변화: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도된 당뇨병 쥐에 췌도이식 후 혈당은 냉동보존한 췌도이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혈당의 조절효과가 더 오래 지속되었다. 결론:소동물에서 단계적 온도 하강법을 이용한 췌도세포 냉동보존법을 확립하였으며 이는 기능, 구조 및 생존율에 큰 이상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장차 사람의 췌도세포 동종이식시 부족한 췌도세포수를 극복하고 면역반응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Although islet transplantation has been attempted to reverse the state of diabetes, achieving a critical number of islets and modulating the immune response limit the success of islet transplantation. Cryo-preservation of islets offers many important benefits for islet transplantation by collecting islets with a wide variety of HLA phenotypes and islet MHC expression.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cryo-preservation by using a controlled cooling method and to evaluate in vitro and in vivo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cryo-preserved islets. Methods : Collagenase-isolated, Ficoll-purified islets were cultured for 48 hours. They were aliquoted into freezing tubes (1000 islets per tube), equilibrated with 2M dimethyl sulfoxide (DMSO) in three steps, supercooled, nucleated, and controll-cooled at rate of 0.25℃/min to - 40℃ prior to storage at - 196℃. Rapid thawing and removal of DMSO with 0.75 M sucrose preceded 48 hour of culture and the morphology, viability, glucose-induced insulin secretion, and in vivo function of rats transplanted with cryopreserved islets was reexamined. Results : ① Recovery was 90.2±0.2%, 85.7±0.1% and 81.7±0.1% immendiately after, 24 hours and 72 hours after thawing respectively. The viability was 60±5%, 80±5%, 90±5% immediately after, 24 hours and 72 hours after thawing respectively. ② The glucose-stimulated-insulin secretion (GSIS) tended to decrease immediately after thawing, but GSIS increase to the level of pre-cryopreservation 72 hours after thawing. ③ The in dynamic GSIS, the first and the second phase of insulin secretion were well preserved in islets cultured for 72 hours after thawing. ④ The cryopreserved islets were cultured for 3 days and transplanted into renal sub-capsular space of streptozotocin (STZ) induced diabetic rats. The duration of normoglycemia in the STZ-induced diabetic rats transplanted with cryopreserved islet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of the fresh islets. Conclusion : The optimal condition of cryopreservation using the controlled cooling method was established in rat pancreatic islets. This cryopreservation method can be a feasible approach for human islet transplantation (J Kor Diabetes Asso 26:64~74, 2002).

      • 슈프락스 캅셀 (세픽심 100 mg)에 대한 세피린 캅셀의 생물학적 동등성

        정은주,강원구,권광일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99 藥學論文集 Vol.15 No.-

        Bioequivalence of two cefixime capsules, test drug (Cepirin^R capsule: Cheiljedang Corp.) and reference drug (Suprax^R capsule: Dong A Pharm. Com.),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Sixteen healthy volunteer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wo groups and administered the drug orally at the dose of 400mg as cefixime in a 2×2 crossover study. There was a 1-week washout period between the administrations.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12 hour and the plasma concentration of cefixime was determined with a HPLC method. AUC_0-12hr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form time zero to 12 hour), C_max(maximum plasma drug concentration) and T_max (time to reach C_max) were estimated from the plasma drug concentration-time data.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vealed no difference in AUC1-12hr, C_max and T_max between the formulations. The apparent differences of these parameters between the formulations were less than 20% (i.e., 8.62, 11.10 and 0.00% for AUC_0-12hr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The powers (1-β) for AUC_0-12hr C_max and T_max. Were over 0.9. Minimal detectable difference (Δ) at α=0.05, 1-β=0.8 were less than 20% (i.e., 12.84, 11.05 and 17.99% for AUC_0-12hr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The 90% confidence intervals(delta) for these parameters were also within ±20% (i.e., -0.53≤δ≤17.76. 3.23≤δ 18.97 and -12.81≤δ≤12.81 for ACU_0-12hr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These results satisfied the criteria of KFDA guideline for bioequivalence, indicating the two formulations of cefixime were bioequivlent.

      • SCOPUSKCI등재

        IL-β의 인슐린 분비 자극효과와 그 과정에 관여하는 인자들

        정인경,오승훈,강동묵,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4

        연구배경: IL­1β는 용량과 노출시간에 따라 인슐린분비에 대해 상반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IL­1β의 인슐린 분비 억제효과는 제1혁명 당뇨병의 자가면역 기전과 관련되어 잘 알려져 있으나 인슐린 자극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명백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저자 등은 IL­1β의 다양한 농도에 따라 백서의 췌도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기전으로 인슐린 생합성, iNOS의 발현, 칼슘통로의 활성도 변화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200∼300g인 수컷 Sprague­Dawley 백서의 췌도를 변형된 Lacy&Kostianovsky's 방법으로 분리한 후 IL­1β의 다양한 농도(0, 0.5, 5, 50, 500pmol/L)에 2, 6, 24시간 노출시켜 췌도세포의 형태, 생존능을 관찰하고 인슐린 분비능 및 췌도세포내 인슐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전전구 인슐린 mRNA발현, iNOS mRNA발현을 RT­PCR을 통해 확인하였고, 세포의 칼슘 통로 활성도 변화 여부를 측정하였다. 결과:1) IL­1β에 노출되 췌도의 생존능:2시간 노출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6시간 고농도군과 24시간 모든 군에서 생존능이 감소되었다. 2)인슐린 분비능은 IL­1β를 2시간 5poml/L이상의 고농도와 6시간 0.5pmol/L 저농도 처리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 6시간과 24시간 5poml/L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의미있게 인슐린의 분비가 억제 되었다. 3)췌도내 인슐린양의 변화는 IL­1β의 시간과 농도에 따라 배지내의 인슐린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전전구인슐린의 mRNA발현은 2시간 50pmol/L이상 고농도의 IL­1β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6시간 처리군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24시간에서 IL­1β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5)iNOS mRNA는 IL­1β 처리 후 2시간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여, 6시간에 최고에 달한 후 24시간에는 점차 감소하였다. IL­1β의 처리시간과 무관하게 5poml/L이상의 고농도에서 용량에 따라 발현이 증가하였다. 6)칼슘통로 활성도는 IL­1β의 농도나 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IL­1β는 단시간 고용량이나 장기간 저용량에서 인슐린 분비와 생합성을 증가시키며, 이런 효과는 iNOS나 칼슘 통로 활성도 변화와는 무관한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inhibitory effort of IL-1β on the insulin secretion has been validated in pathogenesis of type 1 diabetes, but complex results about the stimulatory effect of IL-1β have been reported.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clarify the effects of IL-1βon insulin secretion of pancreatic islets an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in terms of preproinsulin synthesis, inducible NOS expression, and calcium channel activity. Method : Islets were isolated from male Sprague-Dawley (SD) rat by modified Lacy-Kostianovsky's method. After islet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0, 0.5, 5, 50, 500 pmol/L) and exposure time (2, 6, 24 hours) of IL-1β, morphology, viability, static stimulation of insulin to glucose, insulin content, preproinsulin mRNA expression, iNOS mRNA expression and calcium channel activity were measured. Results : 1) Viability o islets was reduced in high concentrations of long term exposure of IL-1β. 2) Insulin secretion was stimulated in islets treated with 5, 50, and 500 pmol/L of IL-1β for 2 hours. 3) Insul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concentration and exposure time of IL-1β. 4) Preproinsulin mRNA expression increased in islets treated with 50, 500 pmol/L of IL-1β for 2 hours. After 24 hours, it decreased in dose dependent manner. 5) iNOS mRNA expression was detectable after 2 hours in the presence of IL-1β, peaks at 6 hour and decreased after 24 hours. It was increased above 5 pmol/L of IL-1β in dose dependent manner. 6) Activities of the voltage-dependent Ca^2+ channels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Conclusion : IL-1β plays a positive role in terms of insulin secretion and insulin synthesis in high concentration of short term or low concentration of long term. These effects of IL-1β might be neither dependent of iNOS pathway nor Ca^2+ channel activity (J Kor Diabetes Asso 431~443, 2000).

      • SCOPUSSCIEKCI등재

        과개교합자의 저작근 활성도 및 교합력에 관한 연구

        정동기,김광원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T-Scan system과 근전도를 이용하여 정상교합자와 과개교합자의 최대교합력과 근활성도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두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한 집단은 20명의 정상교합자이고 다른 집단은 30명의 과개교합자이다. 과개교합자는 Class I deepbite(9명의 남자와 7명의 여자)와 Class Ⅱ div. 1 deepbite(8명의 남자와 6명의 여자)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대교합력은 정상교합군에서 155.93 N, I급 과개교합군에서 165.11 N, Ⅱ급 1류 과개교합군에서 111.55 N이었으며, Ⅱ급 1류 과개교합군의 최대교합력은 정상교합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1). 2. 정상교합군과 과개교합군 모두에서 치아접촉점이 증가할수록 교합력은 증가하였다(표 3) 3. 최대교합시 Ⅱ급 1류 과개교합군의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활성도는 정상교합군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P<0.01), 모든 군에서 교근의 활성도가 전측두근보다 높았다(P<p.p5). 4. 모든 군에서 교합력과 근활성도, 치아접촉점의 수와 근활성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표 5).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ite force and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masticatory muscle in deepbite, using the T-Scan system and electromyograph.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two groups ; one of 20 individuals with normal occlusion, the other group of 30 with deepbite. The deepbite was composed of Class I deepbite(male 9, female 7) and Clas Ⅱ div. 1 deepbite(male 8, female 6). The obtain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aximum bite force was 155.93 N in normal occlusion, 165.11 N in Class Ⅱ div. 1 deepbite group. 2. The greater the number of tooth contacts, the more the bite force increased in all groups. 3. During maximum clenching, masseter and ant, temporalis muscle activity of normal and Class I deepbit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lass Ⅱ div. 1 deepbite group, and the activity of masseter muscle was higher than that of ant, temporails muscle in all groups. 4. The greater the maximum bite force, the more the muscle activities increased in all groups.

      •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필릿용접용 용접변수 선정에 관한 연구

        정재원,김일수,김학형,손성우,김인주,전광석 한국공작기계학회 2008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

        Arc welding proc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to join metal plates. Robotic welding offers the reduced manufacturing cost sought, but its widespread use demands a means of sensing and correcting for inaccuracies in the part, the fixturing, and the robot. A number of problem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robotic arc welding processes include sensing, joint tracking, and lack of adequate mathematical models for parameter prediction and quality control, Problems with parameter settings and quality control occur frequently in the GMA(Gas Metal Arc) welding process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interactive parameters that must be set and accurately controlled.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realize the mapping characteristics of bead width using a sensitivity analysis and develop the neural network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 and finally select the most accurate model in order to control the weld qua1ity(bead width) for fillet weld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neural network estimator can predict bead width with reasonable accuracy, and guarantee the uniform weld quality.

      • KCI등재

        불량 단감을 이용한 속성 감식초의 제조와 품질 평가

        정용진,신승렬,강미정,서지형,원충연,김광수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6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6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general components such as, organic acids, alcohols and minerals in persimmon vinegar made with quick fermented using deteriorated sweet persimmon and four commercial vinegars(rice vinegar, apple vinegar, brewed vinegar, traditional persimmon vinegar) purchased in local markets for quality evaluation. The pH and total acidity of all vinegars were in the range of 2.02~3.02 and 4.62~9.78%, respectively. The pH of quick fermented persimmon vinegar(A)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s. Acidity was the highest in brewed vinegar. Total sugar content was in the range of 0.45~6.43%. These contents were high in were high in traditional persimmon vinegar wherase low in brewed vinegar. Total nitrogen and amino-nitrogen were in the range of 0.025~0.046% and 0.015~0.029%. Organic acids were identified as acet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ormic acid and oxalic acid. While major minerals of all vinegars were Mg, Ca, and Na, minor minerals were Zn, Cu, Mn and 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