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례보고〉지역사회참여와 파트너쉽에 기반을 둔 지역건강증진사업의 효과

        정백근(Baekgeun Jeong),김장락(Jang-Rak Kim),강윤식(Yune-Sik Kang),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4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9 No.4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rea-based health promotion initiatives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artnerships conducted in Sabong-Myeon, Jinju City for three years.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2008 Sabong-Myeon Health Survey’ and the ‘2011 Health Plus Happiness Plus Community Health Survey’. The study comprised 520 systematically sampled individuals, composed of 300 adults in 2008 and 200 adults in 2011. We compared some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as well as social capital levels between these two surveys. Results: The prevalences of smoking and walking exercise in 201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2008. The prevalences of high risk alcohol consumption in men, stress perception, depressive symptoms experience, and suicide ide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2008. The proportion of people having a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in 201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2008, regardless of sex or marital statu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people with a high educational backgroun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3 years" implementation of area-based health promotion initiatives conducted in Sabong-Myeon might help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and social capital level of this community. The long-term health effects of area-based health promotion initiatives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artnerships need to be studied further, and lessons from these initiatives can be obtained by adapting proper evaluation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망률이 높은 지역사회에서 임파워먼트 및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연관성

        김장락(Jang-Rak Kim),정백근(Baekgeun Jeong),박기수(Ki-Soo Park),강윤식(Yune-Sik Kang)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2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7 No.3

        이 연구는 상대적으로 사망 수준이 높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인지된 통제력으로 측정된 임파워먼트 및 사회적 자본(사회적 참여와 신뢰)의 주관적 건강수준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경상남도에서 표준화사망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29개 읍, 면, 동에서 체계적 표본 추출로 선정된 220 가구의 구성원 중 가장 생월일이 빠른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0년과 2011년의 8-10월이었으며, 최종 자료 분석 대상자는 6,383명이었다. 임파워먼트 수준은 Israel 등이 개발한 인지된 통제력 설문(개인 수준 2개 항목, 지역사회 수준 5개 항목)에 대해 5점 응답(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의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사회적 참여는 공식 집단 또는 비공식 집단에 참여하는 여부로, 신뢰수준은 영국의 국립 사회조사센터의 신뢰 설문 3항목을 번역한 질문에 대한 긍정적 답변의 수로 구하였다. 평소 본인의 건강에 대해 좋거나 매우 좋게 생각하는 경우를 주관적 건강수준(self-rated health)이 좋은 것으로 구분하였다. 임파워먼트, 사회적 참여, 그리고 신뢰 간의 Spearman의 상관계수 값은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참여 간 0.20, 임파워먼트와 신뢰수준 간 0.15, 사회적 참여와 신뢰수준 간 0.11로 약한 연관성이 유의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행태 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임파워먼트 점수가 둘 다 낮은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주관적으로 좋은 건강에 대한 교차비는 개인 및 지역사회 수준 둘 다 높은 경우 1.21(95% 신뢰구간1.03-1.42)로 유의하였다. 사회적으로 공식 및 비공식집단 둘 다 미참여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주관적으로 좋은 건강에 대한 교차비는 비공식집단만 참여하는 경우 1.23(95% 신뢰구간,1.07-1.43)으로 유의하였다. 신뢰수준의 경우에도 0인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주관적으로 좋은 건강에 대한 교차비는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져서, 신뢰수준이 3인 경우 1.29(95% 신뢰구간1.09-1.52)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임파워먼트는 사회적 자본, 인구사회학적 변수, 그리고 건강행태와는 독립적으로 주관적 건강수준과 연관성이 있었으며, 사회적 자본인 사회적 참여와 신뢰 수준과도 약하지만,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건강증진 사업에서 임파워먼트 및 사회적 자본 지표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of empowerment and social capital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with self-rated health in Korean communities with poor health.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community health interviews conducted at 29 administrative sections (dong, eup, or myeon) with high mortality from August to October in both 2010 and 2011 as part of the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6,383 individuals composed of approximately 220 adults randomly sampled from each administrative section. The empowerment was measured with five-point Likert scale responses to seven perceived control questions (two at the individual level, five at the community level). The social participation was measured with "participation in formal and/or informal group" and trust using responses to three questions about trust of others. Results: The high empowerment scores at both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social participation in informal groups, and high trust level had independent an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good self-rated health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sex,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food affordability) and health behavior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xercise) in the logistic regressions. There were weak but significant associations among empowerment,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levels. Conclusions: Empowerment,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were weakly inter-related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More studies are warranted for empowerment and other social capital indices in health promotion.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의 중간 결과평가

        김장락(Jang-Rak Kim),정백근(Baekgeun Jeong),박기수(Ki-Soo Park),강윤식(Yune-Sik Kang)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4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9 No.3

        이 연구는 주민이 주도하는 건강증진사업으로서 지역사회 조직화 전략인 경상남도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4년차 지역에서 건강행태를 중심으로 사업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은 건강불평등 완화를 목적으로 표준화사망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17개 읍(면, 동)에서 2010년부터 추진되고 있으며, 15-20명으로 구성된 건강위원회가 보건소와 자문 교수의 도움을 받아 우선순위 건강문제를 선정하고, 구체적인 세부 사업 실행을 주도하는 사업이다. 사업 대상 17개 읍(면, 동) 지역에서는 사업 시작 연도인 2010년에, 이 중 6개 지역에서는 사업 4년차인 2013년에도 계통적 표본추출 가구의 19세 이상 성인(가구당 생월일이 가장 빠른 한 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 건강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제 조사율은 2010년 73.9%(범위 45.9-93.2%), 2013년 75.9%(64.5-89.5%)였다. 최종 조사대상자는 2010년 1,320명(지역별 220명), 2013년 1,200명(지역별 200명)이었다. 조사는 2010년과 2013년의 8-10월 사이에 면, 동 지역별로 이루어졌다. 전체 대상자 및 6개 지역 각각에서 주요 건강행태 결과 변수인 남자의 흡연율, 일주일에 5일 이상 걷기 실천율, 2년 내 건강검진율, 40세 이상의 2년 내 위암검진율, 지역사회 행사 참여율, 그리고 인지된 통제력 설문으로 측정된 개인 및 지역사회 수준의 임파워먼트 점수[14]에 대해 2010년과 2013년을 비교하였다. 남자 흡연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7.7%, 2013년 47.4%로 비슷하였다. 일주일에 5일 이상 걷기 실천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6.2%, 2013년 35.6%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최근 2년 내 건강검진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57.7%, 2013년 63.6%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0세 이상에서 최근 2년 내 위암 검진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9.3%, 2013년 55.0%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개인수준의 임파워먼트 평균점수는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7.3, 2013년 7.0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역사회수준의 임파워먼트 평균점수는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12.6, 2013년 14.0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3년간의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은 지역주민의 흡연율 감소나 걷기 실천율의 증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암검진을 포함한 건강검진율의 향상에는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신뢰성 있는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organization as a strategy for health promotion. Methods: We used data from community health interviews from 6 administrative sections (eup, myeon, or dong) with high mortality from August to October, conducted once in both 2010 and 2013 as part of the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based on the concept of community empowerment in Gyeongsangnam-do Province. For 2010,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a systematic sampling of 220 adults from each of the six sections for a total of 1320 subjects, and for 2013, 200 from each section for a total of 1200 subjects. We compared main health behavior indicators and empowerment score between these two years. Results: Smoking prevalence in men was 47.4% in 2013, and 47.7% in 2010, respectively. Prevalence of walking 5 days or more per week was 35.6% in 2013, significantly lower than 46.2% in 2010. Also, during that period, both biennial health examination rate and biennial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among those 40 years of age and over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7.7% to 63.6% and from 49.3% to 55.0%, respectively. Mean empowerment score at the community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2.6 to 14.0.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hree-year implementation of community organization might have helpe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biennial health examinations including cancer screenings in the community.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for smoking cessation and walking.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evidence-based health promo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례보고〉 건강증진을 위한 참여 학습의 적용 사례

        김장락(Jang-Rak Kim),정백근(Baekgeun Jeong),박기수(Ki-Soo Park),강윤식(Yune-Sik Kang)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1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6 No.2

        저자들은 건강증진 사업에서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위한 참여 학습을 적용하고 과정을 평가하였다. 먼저 참여 학습의 적용 가능성(feasibility)을 시험하기 위한 파일럿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지역사회역량강화 시범사업의 건강위원, 지역사회 역량강화 사업을 위한 코디네이터 양성 교육 참가자, 그리고 건강교육진행자에 의한 건강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3-4주에 걸친 참여 학습을 진행하고 교육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참여 학습 프로그램이 유익했는지’, ‘재미있었는지’, ‘진행방식이 적절했는지’, ‘행자의 진행이 적절했는지’, ‘다른 사람에게 참여를 권하겠는지’의 질문에 대하여 80% 이상이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의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통한 건강증진사업인 경상남도의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의 건강위원 역량강화교육에 본격적으로 참여학습 방법을 적용하였다. 첫 단계인 주제의 선정(듣기)은 지역건강토론회로 대신하였다. 두 번째 단계인 문제 제기(대화)에서는 우선순위 선정과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전략과 세부사업을 의논하였다. 그 결과 자신들이 선정한 우선순위 영역에서 지역사회에서 건강생활이 실천되지 않는 이유를 고려하여 향후 건강위원회가 무슨 일을 해야할지 다양한 전략을 잘 도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인 행동-성찰-행동은 현재 진행 중이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통한 건강증진 사업의 여러 대상에 참여 학습을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articipatory learning process and apply it to community empowerment for health promotion. Methods: The participatory learning sessions were composed of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modified Freirean model of empowerment education. Stage 1 of generating themes (listening stage) was replaced with a community health forum. Stage 2 of problem-posing was executed via a two-session small group brainstorming discussion for selecting priority community health problems and strategies to solve them. Stage 3 of act-reflect-act, the implementation of the chosen strategies, is ongoing. We tested the feasibility of the participatory learning processes in the pilot programs for health education. Then, 14 Myeon (or Dong) Health Committee members used them in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for community empowerment to achieve health equity in Gyeongsangnam-Do, Korea. Results: In the pilot program for feasibility, more than 80% of the 95 participants gave positive responses to evaluation questionnaires after three or four participatory learning sessions. Health Committee members successfully selected various strategies relevant to their communities with facilitation, but without any teaching from outside professionals. Conclusions: We successfully applied the participatory learning process to health promotion. However, more studies are warranted to evaluate its long-term applicabi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망률이 높은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참여와 신뢰의 자살 생각 및 시도와 연관성

        하미옥(Mi-Oak Ha),김장락(Jang-Rak Kim),정백근(Baekgeun Jeong),강윤식(Yune-Sik Kang),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3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8 No.2

        이 연구는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의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지역사회에서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과 사회적 참여와 신뢰의 사회적 자본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경상남도에서 표준화사망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40개 읍, 면, 동에서 체계적 표본 추출로 선정된 220 가구의 구성원 중 가장 생월일이 빠른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0년, 2011년, 그리고 2012년의 8-10월이었으며, 최종 자료 분석 대상자는 8,800명이었다. 사회적 참여는 공식 집단 또는 비공식 집단에 참여하는 여부로, 신뢰수준은 영국의 국립 사회조사센터의 신뢰 설문 3 항목을 번역한 질문에 대한 긍정적 답변의 수로 구하였다. 자살생각은 ‘최근 1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까?’ 자살시도는 ‘최근 1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 적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예’, ‘아니오’의 대답으로 구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성, 연령, 결혼상태, 직업, 식생활안정성), 주관적 건강수준, 그리고 건강행태변수(흡연, 음주, 운동)를 모두 통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사회적 참여와 신뢰수준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사회적 참여와 신뢰 변수는 모형의 적합도를 유의하게 개선하였다. 신뢰수준은 0인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신뢰수준이 1인 경우 자살생각에 대한 교차비는 0.77(95%신뢰구간,0.63-0.94), 신뢰수준 3인 경우 자살생각에 대한 교차비는 0.69(95% 신뢰구간, 0.56-0.85)로 유의하였다. 사회적 참여는 둘 다 미참여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비공식집단만 참여하는 경우 자살시도에 대한 교차비는 0.41(95% 신뢰구간, 0.21-0.80)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다른 변수와는 독립적으로 사회적 참여와 신뢰의 사회적 자본은 자살생각 또는 자살시도와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사회적 자본이 자살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of social capital with suicidal thoughts and attempts in Korean communities with poor health. Methods: We used the data from community health interviews conducted at 40 administrative sections (dong, eup, or myeon) with high mortality from August to October in 2010, 2011, and 2012 as part of the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8,800 study subjects composed of 220 adults systematically sampled from each administrative section were asked if they had thought about suicide or had attempted suicide within 1 year. The social participation was measured with "participation in formal and/or informal group" and trust using responses to three questions about trust of others. Results: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 within 1 year were 10.4% and 0.8%, respectivel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only informal groups, or had highest trust level reported less suicidal ideation, or attempt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sex,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food affordability), self-rated health, and health behavior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xercis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capital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was associated with less suicide ideation and attempt. More studies are warranted for the association of social capital with suicidal behavior.

      • SCOPUSKCI등재

        Self-esteem as a Moderator of the Effects of Happiness, Depression, and Hostility on Suicidality Among Early Adolescents in Korea

        Choi, Yeun-Soon,Shin, Hee Kyoung,Hong, Dae-Yong,Kim, Jang-Rak,Kang, Yune-Sik,Jeong, Baekgeun,Park, Ki Soo,Lee, Key Hyo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2019 예방의학회지 Vol.52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elf-esteem as a moderator of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ity among middle-schoolers. Methods: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happiness, depression, and hostility on suicidality and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self-esteem served as a moderator of tho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Busan, Korea, using a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Happiness, depression, and hostility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suicidality. Self-esteem showed no direct effect, but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tility and suicidal behavior.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interventions, such as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alleviate hostility and depression and to enhance happiness and self-esteem among early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