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聽蟬 李志定 詩文學 硏究

        윤재환 ( Jaehwan Yoon ) 한국한시학회 2015 韓國漢詩硏究 Vol.23 No.-

        이 글은 聽蟬 李志定의 시문학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聽蟬 李志定은 그의 부친과 가문이 정치적 전성기를 누릴 때 태어나 큰 어려움 없는 유년기를 보냈고 평생을 관직에 몸담았지만, 인조반정 이후 중앙 관직에서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지방 관직을 전전해야 했다. 청선의 관직 생활은 그다지 화려하지 않았고, 이루어 낸 성취도 특별한 것이 없었다. 그러나 관직 생활과 달리 청선은 書藝를 중심으로 한 技藝에 뛰어났고, 가문의 문학적 역량이 집중되었던 詩에 능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그는 草書로 당대 草聖이라는 칭호까지 얻을 정도였다. 청선의 시고인 『청선시고』에는 모두 34제 50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의 생존 기간과 비교해 볼 때 이 시들은 殘缺된 일부라고 추정된다. 또 청선의 시 50수 중 1수의 시를 제외한 49수의 시가 모두 근체시인데, 이로 보아 청선은 고시보다 근체시를, 5언시보다 7언시를 중심으로 시문학 활동을 하였으며, 시 창작에 상당히 능해서 순간적인 흥과 정서를 시로 재구성하는데 익숙했었고, 한시의 형식적 특성과 작법에도 뛰어났었다고 생각된다. 현재 남아 전하는 청선의 시문학 작품들은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공·사적 영역과 관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터져 나오는 흥의 분출과 갈무리된 정감, 우울하고 울적한 심상과 세상에 대한 원망 등 다양하고 폭넓은 영역을 모두 담고 있기 때문에 시고 속에 수록된 시만으로는 그의 시문학적 경향을 하나로 규정하기 어렵다. 그의 시가 보여주는 이와 같은 다양성은 그의 시세계가 그만큼 폭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살펴본 청선의 시 창작 기법은 청선뿐만 아니라 청선의 가문 구성원들이 지니는 대체적인 문학 경향과 일치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청선의 시문학 경향은 그의 가문에서 찾아볼 수 있는 가문의 문학 경향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또 다른 특성을 보여준다. 이 점에 대해서는 앞으로 보다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focussing on Chengsun Lee JiJeng, is to examine his poetic literature. Chengsun Lee JiJeng was born when the family and his father enjoy political heyday. So He spent his childhood without much difficulty and He was a lifelong government office life. But He does not have much of a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after the Injobanjeng(인조반정) and He wandering the local government office. His public life was not very flashy and nothing could be done. However, unlike his public life, he was good in print, good at poetry the family-focused literary competence. In particular, he was about to get up to the title of ChoSeong(草聖). Chengsun Lee JiJeng recorded his 50 poems under 34 titles in Chengsunshigo(청선시고). But compared to the survival time it is considered to be part. Also his 49 poems geunchesi(근체시). His poetry is mainly during geunchesi and seven letters. This tendencies found in Chengsun`s poems show that his poems were containing his feelings as they are. It easily shows that he was familiar with poetic writing. The Chengsun`s currently remaining poetic pieces mostly contains diversity, which includes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relations. and It contains interest, emotion, melancholy, resentment. Because his poetry is diverse and includes many areas, his poems are difficult to define a one tend. Such diversity means showing that his poems are is very wide. It also shows that Chengsun`s literature resembled the literary tendency of his family. Regarding this, more discussions are thought to be necessary.

      • KCI등재

        순와(順窩) 안경의(安景禕)의 의식지향(意識指向)과 시(詩)

        윤재환 ( Yoon Jaehwan ) 한국한시학회 2020 韓國漢詩硏究 Vol.28 No.-

        순와(順窩) 안경의(安景禕)는 하려(下廬) 황덕길(黃德吉)의 제자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성호학파 순암계열의 정립에 상당한 역할을 하여 안정복과 황덕길의 문집 간행에 참여하였고, 이들의 문집에 서문과 발문을 남겼다. 그는 6권 2책의 소략한 문집을 남겼지만, 자신의 문집 곳곳에서 안정복과 황덕길에 대한 존모(尊慕)의 뜻을 드러냈다. 그의 문집 구성과 편차, 내용상의 특징적인 요소들 역시 안정복이나 황덕길의 문집과 상당히 유사하다는 점에서 그가 안정복과 황덕길에게서 받은 영향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안경의의 글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유가적 도덕세계를 추구하는 자신의 정신세계를 드러내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그의 의식이 지향하는 세계는 유가적(儒家的) 사유세계(思惟世界)이고, 그 세계에 나아가는 방법은 유가적(儒家的) 수양(修養)을 위한 보편적인 방법론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안경의의 글은 그의 의식세계와 지향점의 가장 본질적이고 기본적인 부분만 보여준다. 그가 익혔던 학문의 내용이나 수준, 그가 도달한 경지나 과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문집 속의 글만으로 볼 때 안경의는 기본에 충실한, 본질에 주력했던 인물이라고 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학문적 사유의 폭이 철학적으로 깊이 있게 확장되지 못했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이런 모습은 그의 시에서도 볼 수 있다. 그의 시에는 다양한 층위의 의식세계가 담겨있는데, 그 의식세계의 본질적인 지향점은 유가적 도덕세계와 근본으로의 회귀이다. 하지만 그 지향점이 너무나 범박하고 피상적이라는 점에서 의문의 여지가 있다. 물론 이런 모습을 그가 유학(儒學)의 가장 본질적인 모습을 추구했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 본질에 다가서는 방법이나 본질에 대한 사고(思考)와 해명이 관념적인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는 것에는 의문이 적지 않다. 이런 모습을 안경의의 학문적 수준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그가 황덕길의 문하 제자들 사이에서 적지 않은 명망을 지녀 이후 성호학파 순암계열의 정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이렇게 단언하기도 쉽지 않다. 안경의의 시문에서 볼 수 있는 이런 양상들의 이유에 대해 해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보다 더 깊이 있는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이런 양상이 안경의만의 특성인지 아니면 시대나 학파의 경향인지, 또 이런 양상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unwa Angyeongui is one of the pupils of Haryeo Hwangdeokgil.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the Seongho School's Sunam fraction and participated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Anjeongbok and Hwangdeokgil, and left prefaces and epilogue to their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He left a literary collection of six parts two books, and expressed his respect for Anjeongbok and Hwangdeokgil in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deviations, and characteristic factors of contents are also quite similar to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Anjeongbok or Hwangdeokgil, so it can be seen that the influence he received from Anjeongbok and Hwangdeokgil is big. However, if you look at Angyeongui's writings, most of them reveal their mental world that pursues the Confucian moral world. In this regard, it can be seen that the world that his consciousness is aiming for is a Confucian thinking, and the way to go to that world was a universal methodology for Confucian culture. But Angyeongui's writings show only the most essential and basic parts of his conscious world and orientation. He did not mention the contents or levels of the discipline he had learned, or the status or process he had reached.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lone, Angyeongui can be said to be a person who focused on the essence faithful to the basics,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width of academic thought did not expand philosophically deeply. This is also seen in his poems. His poems contain a variety of layers of con-sciousness, and the essential orientation of the consciousness world is the return to the Confucian moral world and the essential. But there is a question in that the orientation is so normal and superficial. Of course, this may be said to be natural because he pursued the most essential aspect of confucianism, but there are some questions about that the way how to approach the essence, how to think about the essence, and how to explain it does not exceed the a fixed idea level.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academic level of Angyeongui, but it is not easy to assert because he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eongho School's Sunam faction and he having a big reputation among the disciples of Hwangdeokgil. In order to explain the reasons for these aspects seen in the poems and writing of Angyeongui, a deeper review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explore whether these aspects are the characteristics of Angyeongui alone or the tendency of the times or schools, and why these aspects have emerged.

      • KCI등재

        17세기 초 대명 해로사행의 해상 사행시

        윤재환(Yoon, JaeHwa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2 No.-

        1621년부터1636년까지 약15년간 33회 이루어졌던 조선의 명나라 사행 여정은 지난 230년간의 육로사행과 달리 바다를 건너가는 험난한 길이었다. 당시 바닷길은 조선사신들에게 낯설고 위태로운 길이었고, 해적의 출몰까지 잇달아 목숨을 걸어야 했다. 이 글은 이 기간 동안 이루어졌던 사행 여정 중 해상에서 창작한 시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당시 조선 사신들의 여정에 대한 기록은 안경의 『가해조천록』부터 이만영의 『숭정병자조천록』까지 모두 27종류의 연행록으로 남아 전하지만, 현재 전하는 기록이 당시의 사행 여정을 기록한 기록물의 전부라고 하기는 어렵다. 이 글은 해로사행 기간 창작된 시를 통해 조선조 해로사행문학과 사행시의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는 단서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자료는 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전식의 『사행록』부터 김육의 『조천록』까지 모두 9종류이다. 그런데 시를중심으로 구성된기록을 살펴보면 해로 사행의기본적인 특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해로 사행록과 육로 사행록에 기록된 여정이 다르고, 해로 사행록에 해상에서 창작한 시가 포함되어 있으며 해로의 경험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육로 사행록과 해로 사행록은 분명 다른 모습이기는 하지만, 해로의 경험을 담고 있는 해상에서 창작한 시가 얼마 되지 않는다. 전체적인 양상에서는 오히려 특별한 변별점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상이 당시 육로와 해로 사행을 대했던 조선 관리들의 인식이 지닌 유사성까지 의미하는 것이라고는 보이지 않는다. 해로 사행록속 사행시의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로 사행원들이 사행기간 창작했던 해상의 사행시와 육상의 사행시를 비교해 보는 작업과 함께 해로 사행록과 육로 사행록의 비교, 다음으로 명나라 해로 사행록과 일본 사행록의 비교까지 폭넓고 심도 깊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The journey of the envoys executed 33 times for 15 years, from 1621 to 1636, was a rough road that passed the sea, rather than the past 230 years of the overland route. The sea road of those days was a unfamiliar, risky, and dangerous road to the envoy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frequent appearing of the pirates caused them to risk their lives. This paper targets the poems written on the sea in the journey of the envoys. The record of the journey of the Joseon dynasty’s envoys is passed on by 27 varieties of yeonhaengroks, such as Ankyeong’s 「Gahajochenrok」, Yimanyoung’s 「SungJengByengjajochenrok」, but it is hard to say that the records remaining nowadays is all of the documentaries which recorded the travel of the envoys’. However, 9 kinds of references, from Jeonsik’s 「Sahaengrok」 to Kimyuk’s 「Jochenrok」, are used as the subject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But, if we look at the remaining records concentrating on the poem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envoys’ journey do not stand out well. Because the journey documented in the records differ, there are poems written in the sea in the records, and the records contain the experiences in the sea route, the envoys’ records differ of that in the sea and overland. However the poems written in the sea are not much. In the overall appearance, no special differences can be seen.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Joseon dynasty’s officials’ thoughts coincide. In this respect, the study on the poems of the envoys to the Ming dynasty should be held more in depth. It seems that the endeavor of more researchers is needed.

      • KCI등재

        星湖全集 속 ‘ 實 ’ 을 바라보는 두 가지 視線 - ‘事實’과 ‘眞實’의 엇갈림과 어울림 -

        尹載煥(Yoon, JaeHwan)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9 No.-

        성호는 시가 世敎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시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성호는 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眞實이라고 생각했다. 성호의 시를 보면 성호가 事實과 眞 實의 두 범주에서 事實보다 眞實에 더 주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성호는 眞實이 객관적이지도 보편적이지도 절대적이지도 않다는 문제점에 주목했다. 따라서 그는 事實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옮겨 이 事實을 통해 각자 스스로 眞實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옳다고 여겼다. 그래서 事實 그 자체만을 眞으로 간주한 것이다. 그렇지만 眞實이 지니는 가치가 事實보다 크다고 생각했기에 眞實을 무시할 수 없었다. 그래서 眞實을 逼眞, 眞과 함께 할 수 있는 假로 규정한 것이다. 또 虛僞를 眞實로 위장할 수 있다는 걱정에 따라 眞實의 다양한 전제 조건을 만들어 眞實이란 결코 쉬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眞實의 眞實性에 대한 판단이 함부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밝히기 위해 다른 어떤 것 보다 眞實을 접하는 사람의 수준과 능력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성호의 시에 보이는 寫實的 표현은 성호가 추구했던 眞實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그의 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寫實的 표현은 우선적으로 事 實을 있는 그대로 재현한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지만, 그 이면에는 寫實은 事實보다 眞實의 구현이어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이 자리 잡고 있었다. 그의 시에서 寫實的 표현의 寫實性이 보이지 않는다는 생각이 드는 시도 있지 만, 그 시의 이면에는 강한 眞實性이 내재되어 있다. 성호 시의 寫實性은 事實보다는 眞實을 위한 것이었다. It seems that Seongho had the thought poems should be meant for edification. Seongho who thought poems should be the tools to make people more humane, thought truth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oems. We can tell that Seongho took more notice on truth than fact by looking at his poems. However it seems that Seongho paid attention on the problem truth is not objective, universial, nor absolute. Thus it looks like he transcribed the fact itself and regarded it right to judge the truth oneself. This is why he considered only the fact itself as real. However, because Seongho thought the value of truth bigger than the value of fact it is thought that he could not neglect the truth. So he regulated truth as closest to the truth, the untruth that could go with the real. Moreover, because of the concern that people could disguise false into truth it seems that he made diverse preconditions to emphasize that truth is not easy. It also seems that to disclose that the judgment about the veracity of truth could not be carelessly made by anyone, he mentioned that the capability and the standard of the people who encounter the truth should be overrode. The 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that are seen in Seongho’s poems were the methods to materialize the truth he chased. The 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that could be confirmed in his poems could be seems as the meaning of reenacting the fact itself, but on it’s hidden side, a firm belief that objective description should be the realization of truth than fact. There are some poems that do make people think the realism of 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can not bee seen, but fierce veracity is inherent on the hidden side. The realism of Seongho’s poems is not about fact, but is about truth.

      • KCI등재

        芸窩 洪重聖 記文 硏究

        윤재환 ( Yoon Jaehwan ) 한국한문고전학회 2024 漢文古典硏究 Vol.48 No.0

        Hong Joong-sung is a member of a family that has power in Seoul as a Soron fac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he studied with Samyeon Kim Chang-hup and achieved outstanding achievements in poetry. However, if you look at Hong Joong-sung's writings, you can see that his prose also achieved considerable literary achievement. Hong Joong-sung pursued an elegant and rule-based pure and correct writing based on six scriptures and the old writings of the Tang Dynasty Song Dynasty, represented by Han Yu and Gu Yang-su. This means that he pursued the unity of morality and sentences, the traditional view of Confucianism, based on the six scriptures and used the old writing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hich clearly communicated the meaning and valued individuality, as model. However, Hong Joong-sung took the old writings of the Tang Dynasty Song Dynasty, such as Han Yu and Gu Yang-su, as model, but on the other hand, the 『Zhuangzi』 and 『Shiji』 fraud were also model of writings. This consciousness aims to protect the traditional view of the writing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old writings of the Tang Dynasty Song Dynasty, but seeks the power of the sentence and the spirit of the artist, and create a free-spirited yet powerful article. This shows that he was also familiar with how to create new writings that took place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ong Joong-sung's Gimun is an article that can confirm his view of the writing. The fact that articles about Sanangjae a public building, and Aejukdang a private building, show different aspects in content, composition, and figure of speech shows that he was clearly aware of the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and description of sentences according to the subject and the difference in content. And his Gimun shows that his writing is an empirical embodiment of his view of the writing.

      • SCISCIESCOPUS

        Fully digital auto-focusing system with automatic focusing region selection and point spread function estimation

        Jaehwan Jeon,Inhye Yoon,Donggyun Kim,Jinhee Lee,Joonki Paik IEEE 2010 IEEE trans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 Vol.56 No.3

        <P>We present a fully digital auto-focusing (FDAF) system with automatic focusing region selection and a priori estimated dataset of circularly symmetric point-spread functions (PSFs). The proposed approach provides realistic, unsupervised PSF estimation by analyzing the entropy and edge information in the automatically selected focusing region. The main advantage of the proposed system is the fast and robust estimation of a defocusing PSF due to simply selecting the optimal PSF in small, homogeneous region-ofinterest. The proposed FDAF system consists of functional units; i) focusing region selection, ii) PSF selection by generating the major step response in the region from the blurred input image, and iii) image restoration using the selected PSF.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proposed focusing region selection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methods, and the resulting image of the FDAF system provides high visual quality with appropriately amplified details in the image. For this reason,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alize low-cost, intelligent focusing function for various image acquisition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mobile phone cameras, and consumer's camcorders.</P>

      • KCI등재

        잡음에 강인한 초점 값을 이용한 피사체 중심의 자동초점 알고리듬

        전재환(Jaehwan Jeon),윤인혜(Inhye Yoon),이진희(Jinhee Lee),백준기(Joonki Paik) 大韓電子工學會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8 No.2

        본 논문은 잡음에 강인한 초점 값을 이용한 피사체 중심의 자동초점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존재하는 영역을 자동으로 추정함으로써, 배경에 의해 잘못된 자동초점 결과를 얻는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또한 이산 코사인 변환 계수를 분석하여 새로운 초점 값 계산 방법을 제안하였고, 실험결과를 통해 기존의 알고리듬에 비해 제안된 방법이 가우시안 잡음과 임펄스 잡음이 있는 경우에도 초점 값 특성이 강인함을 검증하였다. 제안하는 자동초점 알고리듬은 지능형 감시 시스템의 팬-틸트-줌 카메라 등에 적용 가능하다. In this paper we present subject region-based auto-focusing algorithm using noise robust focus measure. The proposed algorithm automatically estimates the main subject using entropy and solves the traditional problems with a subject position or high frequency component of background image. We also propose a new focus measure by analyzing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robust to Gaussian and impulse noises than the traditional methods.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applied to Pan-tilt-zoom (PTZ) cameras in the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 TFM 기반 무기체계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테스트 모델 설계

        김재환(Jaehwan Kim),윤희병(Heebyung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시간 요소를 고려한 무기체계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테스트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컴포넌트 기반의 UML 표기법과 무기체계의 시간 제약 특징을 고려한 무기체계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테스트 모델인 TFM(Time Factor Method) 모델을 제안한다. TFM 모델은 세 가지 요소인 (X,Y,Z)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X” 에서는 최대시간경로를 선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테스트 케이스가 도출되고, “Y” 에서는 Sequence Diagram과 관련된 컴포넌트(오브젝트)를 식별하고, “Z”에서는 Timing Diagram을 통하여 식별된 각각의 컴포넌트의 실행시간을 측정한다. 또한 제안된 TFM 모델의 적용사례를 들어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