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노동시장유연화와 한국복지국가의 선택

        양재진(Jae-jin Yang)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3

        본 논문은 세계화와 탈산업화사회 복지국가가 처한 트릴레마(Trilemma)적 상황(즉, 고용증대, 소득평등. 그리고 건전재정을 모두 추구할 수 없고 하나는 포기해야하는 상황)에서 김대중 정부가 선택한 결과로서 나타나고 있는 노동시장개혁과 복지개혁과의 부정합성을 밝히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김대중 정부는 1997년 경제위기와 대량실업사태를 극복하고자, 신자유주의경제개혁 노선에 입각해, 대량해고와 파견노동을 허용하는 등 노동시장유연화정책을 폈다. 그러나 소득불평등을 막고, 주요 정치적 지지기반인 노동자와 저소득계층의 지지를 유지하고자 4대 사회보험의 대대적 확장과 공적부조의 개혁을 통해 한국복지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는 反자유주의적인 사회정책도 동시에 추구했다. 그러나, 재정적 보수주의는 재정지원없는 제도만의 확대를 불러와 유연화가 몰고온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역부족이다. 또한 사회보험은 산업사회의 안정된 고용관계를 기본전제로 설계된 제도로, 김대중 정부가 추구하는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부정합성을 노출하고 있다. 노동시장의 유연화는 고용관계가 불확실한 비정규 노동자를 양산하였고 이를 정규직을 전제로 하는 사회보험으로 포괄하려는 노력은 애초부터 한계를 가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계화시대 후기산업사회의 사회적 안전망은, 안정적인 노동시장이 아닌 유연화된 노동시장이라는 현실위에서 새롭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유연-안정성(flexicurity) 원칙의 확립, 복지재정의 확대를 통한 사회보험가입 유인, 사회협약의 제도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policy outcome of the Kim Dae Jung government's social welfare reforms made in the context of 'trilemma' of post-industrial society. in which the state can pursue only two of the three core policy objectives - fiscal discipline, income equality, and expansion of employment - and sacrifices the other. The Kim Dae Jung government. after the 1997 economic crisis, significantly deregulated the labor market to increase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thereby facilitated corporate restructuring and employment. The Kim government also tried to compensate workers, one of its main political support bases, for their job insecurity by vigorously expanding statutory social insurance schemes and introducing a new public assistance program in the name of "productive welfare." Yet, the neoliberal labor market reform turned out to be one of the biggest obstacles to the materialization of a mature Korean welfare state, as social insurance schemes failed to reach most of the non-regular workers. whose number increased rapidly after the neoliberal labor market reform. The traditional social insurance programs, which is predicated on stable regular employment, are incapable of buffering the social fallout of ever-increasing non-regular workers. Therefore, this paper maintains that social safety nets should h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flexible labor market. For this, the author calls for an introduction of the principle of flexicurity, more fiscal commitment by the state,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concertation.

      • KCI등재

        한국의 대기업중심 기업별 노동운동과 한국복지국가의 성격

        양재진(Jae-Jin Yang) 한국정치학회 2005 한국정치학회보 Vol.39 No.3

        1980년대 중반이후 국민연금의 실시와 의료보험의 확대 등을 거쳐, 1997년 경제위기 극복과정에서 국민의 정부가 실시한 ‘생산적 복지’ 정책으로 인해, 한국은 복지국가로서 기본틀을 갖추었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을 복지국가라고 자신 있게 부르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왜 그런가? 이에 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복지재화가 갖는 준집합재적 특성으로 인해 합리적인 노동자는 복지프로그램별로 선호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선호형성에 노동조직화의 양태가 주요한 변수라는 이론적 연역에서 출발하여 한국복지국가의 성격규명을 시도하고 있다. 그 결과, 대기업중심 기업별 노동운동은 안정된 고용관계와 기여를 전제로 하는 사회보험과 기업복지중심의 복지국가 형성에 일조하였으나, 이를 넘어서서 보편주의적 복지국가를 건설하는 데는 원동력이 될 수 없음을 밝히고 있다. 한국의 기업별 노동운동은 공공복지(public welfare)의 공공재(public goods)적 특성에서 비롯되는 집합행동의 문제(collective action problem)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M. Olson이 지적한대로, 개별적 합리성의 추구가 낳은 집합적 비합리성의 한 사례라 할 수 있다. Korea is now equipped with basic social welfare programs by the Kim Dae Jung government's 'productive welfare' initiatives. However, it is still hard to call Korea a welfare state. Why is this? Employing rational choice institutionalism, this paper seek to answer that question by looking at the preference formation of labor regarding social welfare programs. This study concedes that militant labor movement since the mid-1980s has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major social insurance programs in Korea. However, it argues that big business-centered atomized labor movement at the firm level has become an obstacle to the building of a comprehensive/universalist welfare state, because of collective action problem resulting from the nature of social welfare as collective goods.

      • KCI등재

        캠핑장에 대한 사전지식이 지각된 가치, 태도, 그리고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재장(Yang Jae Jang),최수진(Choi Soo Ji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2

        건강과 환경 및 지속가능한 소비에 가치를 두는 트렌드가 자리를 잡아가고, 레저로써 캠핑활동이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게 됨에 따라 다수의 지자체들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캠핑객들을 유치하려고 캠핑장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캠핑장을 방문한 캠퍼를 대상으로 캠핑장에 대한 사전지식이 지각된 가치와 태도를 거쳐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캠핑장에 대한 사전지식의 정도가 캠핑장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캠핑장에 대한 사전지식은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로 구분된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쾌락적 가치는 태도와 재방문 의도에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실용적 가치는 태도를 매개로 하여 재방문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캠핑장의 마케팅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과 학문적 의의에 대하여 논하였다. With the increased awareness of health,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onsumption, camping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s a leisure activity in recent years and more and more destinations are developing new campgrounds while expecting more campers to their destinations and their contribution to local economie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level of compers knowledge on camping site influence on their revisit inten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full dynamics of campers knowledge - revisit intention relationship by including perceived value and attitude variables in an integrated mode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knowledge on camping site influenced on perceived value which is composed of two dimensions of practical value and hedonic value. While hedonic value had direct effects on attitude and revisit intentions, the effect of practical value on revisit intention was mediated by the attitude variable. Based on the study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mping site marketers or destination manag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이중 아웃리거 구조 시스템의 한계 세장비에 대한 연구

        양재광(Yang, Jae-Kwang),강호근(Kang, Ho-Geun),박성수(Park, Sung-soo) 대한건축학회 201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4 No.3

        Due to the recent overpopulation of urban cities, land shortage and soaring land prices have caused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high-rise buildings. To build buildings on a limited land, the size of the building is important. Displacement control by horizontal loads in a skyscraper is critical to securing stability and usability of structures. Several systems have been proposed for efficient horizontal displacement control, and so far the study continues. Among them, the Outrigger System is a representative of the typical horizontal load resistance system. Althoug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to locate the optimal position of the outrigger, studies of the slenderness ratio of the buildings are still insufficient. Based on the Outrigger-Optimized Position equation, this study induces the calculation of the displacement of the outrigger installation building according to the slenderness ratio.

      • KCI등재
      • KCI등재

        알코올 의존 : 화학적 뇌손상

        양재효(Jae-Hyo Yang),이계성(Kye-Seong Lee),신상은(Sang-Eun Shin),이명지(Myung-Ji Lee),성경화(Kyung-Hwa Sung)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08 중독정신의학 Vol.12 No.1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the evaluation of a neuropsychological test, to identify how severe executive cognitive function impairment in chronic alcoholism compares to that of traumatic brain injury (TBI). Methods:42 alcoholic patients and 41 TBI patients, matched for age, educational level, premorbid IQ, and executive cognitive scor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Korean versions of the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WAIS) and EXIT (Executive intelligence test) were ad-ministered for both groups. Results:In between-group com-parison, the decrease of IQ (Mean=-5.45/-11.12, p=.010) and EIQ (Mean=-17.98/-32.46, p=.002) from the estimated pre-morbid level in the TBI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lcoholic subjects. The decrease of IQ and EIQ of alcoholic subjects reached 49.01% and 55.39%,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of TBI subjects. Subtest TBI subjects, with the exception of figural fluency (Mean=21.14/17.68, p=.094),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or performance on the Stroop test (Sim-ple : Mean=22.16/48.44, p=.000 ; Medial : Mean=33.14/ 56.44, p=.002 ; Interference : Mean=43.52/73.71, p=.001), verbal fluency (Mean=20.07/15.05, p= .025), and the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Recognition:Mean=11.36/8.54, p=.000; Recall:Mean=7.00/4.27, p=.000). In within-group comparison, IQ and EIQ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the estimated premor-bid level in both groups (IQ:p=.000, EIQ:p=.000), but EIQ decreased more than that of IQ in both groups (Alcoholic:p=.000, TBI:p=.000). Conclusion:This study supports the “frontal lobe hypothesis” and shows that chronic alcoholism could lead to more seriou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 than we expected. Given this condition, concern about the need of cognitive rehabilitation should be increased.

      • SCIE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