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천지역 모유 중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의 이성체별 분포특성과 노출경로

        Sung-Ug We(위성욱),In-Cheon Baek(백인천),Sang-Ah Park(박상아),Seong-Hoon Kang(강성훈),Yu-Jin Cho(조유진),Bong-Hui Cho(조봉회),Cho-Hee Yoon(윤조희),Ki-Ho Kim(김기호),Byung-Yoon Min(민병윤)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비교적 청정한 지역인 춘천시에 거주하는 일반인 모유 중 PBDEs의 노출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지역의 모유 중 ∑PBDEs의 수준은 북아메리카지역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나 일부 아시아, 유럽국가와 유사하였다. 모유 내 PBDEs의 축적은 산모의 특성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업용 PBDEs 제품을 포함하여 여러 복합적 인자에 의하여 노출되고 있었으며, 식품 섭취와 같은 식이노출은 한국인에 있어 중요한 노출 경로의 하나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PBDEs 노출 경로 파악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장차 PBDEs 및 관련 브롬계 난연제의 노출에 따른 인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한국 내의 PBDEs에 대한 인체노출 경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xposure pathway of PBDEs in human breast milk collected from new mothers residing in Chuncheon, a comparatively clean area in Korea. The congeners of PBDE in 22 human breast milk samples were analyzed using a high resolution gas chromatography with a high resolution mass detector. The residue level of ΣPBDEs was higher in primipara subjects than in multipara subjects (p<0.05). The levels in this study were similar to those of people in some Asian and European countries, but were lower than those of people in north America. In the congener profiles, BDE-47 (mean contribution=36.1%) was predominant, followed by BDE-153 (27%), BDE-99 (11.7%), BDE-100 (11.1%), BDE-28 (7.9%) and BDE-183 (3.5%). The sum of BDE-47 and BDE-153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ΣPBDEs in most samples. BDE-47 was highly correlated with ΣPBDEs (r=0.94, p<0.001). No strong trend was observed between PBDE levels and a number of key biological factors (women’s age, weight, height and body mass index) examined in this study, however, weak correlations were observed in PBDE levels measured against dietary habits, particularly in fish consumption frequency. It seems that Korean people might be exposed to multiple sources including products of PBDEs, and particularly food resources.

      • KCI등재

        초산부, 경산부 초유 중 PCDDs, PCDFs, dioxin-like PCBs의 축적수준 및 상관성 평가

        Sung-Ug We(위성욱),Ki-Ho Kim(김기호),Yu-Jin Cho(조유진),Bong-Hui Cho(조봉희),Sang-Ah Park(박상아),In-Cheon Baek(백인천),Seong-Hoon Kang(강성훈),Cho-Hee Yoon(윤조희),Byung-Yoon Min(민병윤)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7

        PCDDs, PCDFs, dl-PCBs는 많은 역학 연구에서 독성오염물질이라고 간주되고 있는 생물축적 화학물질이다. 본 연구는 산모 초유 중에 이들 오염물질을 조사 분석하여 산모특성에 따른 축적성 및 상관성을 평가한 것으로, 실험대상 산모는 2007년에 평균연령 31.5세(표준편차=3.6세)의 건강한 초산부와 경산부이다. PCDDs 7개 이성질체, PCDFs 10개 이성질체, non-ortho PCBs 4개와 mono-ortho PCBs 8개 이성질체가 HRGC/HRMS로 분석되었다. 총 WHO-TEQs 평균값은 9.41 pg TEQ/g lipid로 다른 나라 농도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다. 백분율의 증가와 함께 총 WHO-TEQs의 주요 기여자는 2,3,4,7,8-PeCDF, 1,2,3,7,8-PeCDD 및 3,3´,4,4´,5-PCB (#126)이며, 총 WHO-TEQs의 60% 이상으로 나타났다. PCDFs 농도와 총 WHO-TEQs는 출산경험에 대해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p<0.05) 산모의 연령은 총 WHO-TEQs에 대해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그러나,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어류섭취의 상관관계는 유의성이 없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출산경력과 산모 연령은 모유 내의 PCDD/DFs 및 dl-PCBs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판단된다.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dl-PCBs) are bioaccumulative chemicals that are considered to be toxic contaminants based on several epidemiological studies. These chemicals in colostrum were investigated and estimated for their residual consistencies by maternal characteristics like parity and maternal ages. Test subjects were healthy primipara and multipara mothers with a mean age of 31.5 (S.D=3.6) in 2007. Seven isomers of PCDDs, 10 of PCDFs, 4 of non-orthopolychlorinated biphenyls(non-ortho PCBs) and 8 of mono-orthochlorinated polychlorinated biphenyls (mono-ortho PCBs) were analyzed by HRGC/HRMS. From the analyzed data, the mean level of total WHO-TEQs was 9.41 pg TEQ/g lipid,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evel found in individuals from other countries. The main contributors to the total WHO-TEQs with increasing percentages were 2,3,4,7,8-PeCDF, 1,2,3,7,8-PeCDD and 3,3',4,4',5-PCB (#126), and they accounted for more than 60% of the total WHO-TEQs. PCDFs concentrations and total WHO-TEQ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ity (p<0.05), and maternal ag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otal WHO-TEQs (p<0.01). However, the associations with body mass index (BMI) and fish intake during pregnancy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parity and maternal age ar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concentrations of PCDD/DFs and dl-PCBs in these specim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