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개방형협업 참여자 기여도와 네트워크 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백현미(Hyunmi Baek),오세환(Sehwan Oh) 한국전자거래학회 2015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0 No.1

        발전된 정보통신기술은 개방형협업을 위한 오픈 플랫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개인간 상호협력을 용이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이론을 바탕으로 개방형협업의 대표적 형태로 주목받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상호협력 네트워크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상호협력 네트워크 내에서의 개방형협업 기여도가 높은 참여자의 네트워크 중심구조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오픈소스 프로젝트 플랫폼인 깃허브(GitHub)의 782개 리파지토리의 8,101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782개의 협업 네트워크를 도출함으로써, 협업에 있어 기여도가 높은 개발자의 연결·근접·매개 중심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결·매개·근접 중심성이 높은 개발자의 커밋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도 매개중심성에 의해 그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 사이즈가 클수록, 허브가 존재할수록 개발자의 매개중심성과 커밋수 간의 관련성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개방형협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facilitates collaboration among individuals by functioning as an open platform for open collaboration project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ho contribute greatly to open collaboration by investigating the mutual cooperation network in an open source project, which represents a form of open collaboration based on social network theor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s the network centrality of developers with a high number of commits, particularly 8,101 developers in 782 repositories in GitHub, a representative open source platform. This study also determin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centrality and number of commits depends on the size of a repository network and the presence of a hub. Consequently, the number of commits by developers with high degree, betweenness, and closeness centrality is increasing. Among which, betweenness centrality has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Furthermore, when a hub is present and as network size incre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tweenness centrality of a developer and his/her number of commits continues to grow.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open collaboration projects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제품 가격에 따른 온라인 리뷰 유익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백현미(Hyunmi Baek),안중호(Joong Ho Ahn),하상욱(Sangwook Ha) 한국전자거래학회 2011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6 No.3

        최근 온라인 쇼핑 활동의 증가와 함께 소비자들은 온라인상에서의 제품에 대한 리뷰를 합리적인 구매 결정을 내리기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많은 양의 온라인 리뷰 중 그들의 구매 결정에 유익하게 활용될 리뷰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교화 가능성 이론(elaboration likelihood model)을 바탕으로, 유익한 온라인 소비자 리뷰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가격에 따라 유익한 리뷰를 결정짓는 요인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분석을 위해 아마존 닷컴의 75,226개의 온라인 소비자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고, 리뷰 메시지의 감정어 분석(sentimental analysis)을 통해 메시지 내용에 대한 정량변수도 확보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리뷰 점수, 리뷰어에 대한 랭킹 정보를 포함하는 주변적 단서(peripheral cues)와 리뷰 메시지의 단어 수, 부정어 비율의 중심적 단서(central cues) 모두 리뷰의 유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가격 제품과 저가격 제품에서 유익한 리뷰를 결정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For the success of an online retail market, it is important to allow consumers to get more helpful reviews by figuring out the factors determining the helpfulness of online reviews. On the basis of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is study analyzes which factors determine the helpfulness of reviews and how the factors affecting the helpfulness of an online consumer review differ for product price. For this study, 75,226 online consumer reviews were collected from Amazon.com. Furthermore, additional information on review messages was also gathered by carrying out a content analysis on the review messages. This study shows that both of peripheral cues such as review rating and reviewer’s credibility and central cues such as word count of review message and the proportion of negative words influence the helpfulness of review.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each consumer focuses on different information sources of reviews depending on the product pric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허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기술지식의 확산 경로 분석: 정보통신기술을 중심으로

        최병철,백현미,김명숙,Choi, Byoung-Chul,Baek, Hyunmi,Kim, Myung Seuk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1

        Technology convergence, recently accelerated in various technical fields, can be achieved by discovering a new technology while exchanging the knowledge among the different technologies and utilizing such knowledge into the existing fields of technology. In particular, technology convergence actively occurs in knowledge-intensive ICT. However, limited research is available on the routes of ICT technical knowledge diffusion because of insufficient data. Therefore, this study built a database on the citations of patent data applied from 2006 to 2013 in Korea and their cited patents. We drew a patent citation network, a technology citation network and an applicant citation network, after which we analyzed the routes of technical knowledge diffusion. Results showed that ICT played a leading role in knowledge citation among technologies and that such diffusion took a shorter time in technology citation when it occurred more frequently and when the citation occurred between ICTs. In addition, most of the ICT showed a strong citation relationship with the other ICTs or such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physics or electricity, whereas electric elements (H01) showed various citation relationships with technologies other than ICT. Furthermore, we found a strong technology diffusion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corporations and domestic natural persons. National organizations often cited the patents of other applicants, whereas the patents of domestic corporations were actively cited between domestic corporations or by other applicants.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in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es, including the diffusion to other technologies. As well as in considering the routes of technical knowledge diffusion in Korea.

      • KCI등재

        크라우드펀딩 성공요인: 사회적 상호작용과 목표 달성 동기요인을 중심으로

        오세환 ( Sehwan Oh ),백현미 ( Hyunmi Baek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6 정보시스템연구 Vol.25 No.4

        Purpose As crowdfunding is a relatively recent phenomenon, determinants of successful crowdfunding with empirical data have been under-researched. Consequently, we examine the role of informationand behavior-based social interaction on the performance of crowdfunding projects, while investigating the motivational factor of goal achieve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From February to August 2016, we collected panel data on 154 crowdfunding projects, which completed fundraising successfully on Tumblbug, a reward-based crowdfunding platform in Korea.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oles of information-based social interaction (e.g., sharing information on a crowdfunding project) and behavior-based social interaction (e.g., following other investors` behavior) on successful crowdfunding. Additionally, we investigate whether the motivation of goal achieve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of crowdfunding projects or not. Findings We find that the number of times a crowdfunding project is share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ts performance, as does the number of project backers. Furthermore, we confirm that goal achievement motivation moder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and behavior-based social interaction on the performance of crowdfunding projects.

      • KCI우수등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운영자 역할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새롬(Saerom Lee),백현미(Hyunmi Baek),장정주(Jungjoo Jahng) 한국전자거래학회 2016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1 No.2

        인터넷을 통한 개방적 협업의 가치가 사회․경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운영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검증하였으나 프로젝트 운영자가 프로젝트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한정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영자의 특성을 개인의 특성과 운영 방식의 특성으로 나누어 인상형성 및 사회적 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그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인 깃허브(Github)에서 611개의 리퍼지토리(Repository)와 리퍼지토리 운영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사회 연결망분석을 통해 각 리퍼지토리의 지식공유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명시적 리더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운영자가 개인의 정보를 많이 공개하여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거나, 적극적으로 팔로잉을 하여 외부 개발자에 대한 관심이 높거나, 지식공유 네트워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경우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드의 수용비율이 높거나, 깃허브 내에서 전문가로 인지되어 있을 경우 오히려 성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개방적 협업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운영자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increasing socio-economic value of an open collaboration over the Internet, it has become significantly important to successfully manage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program.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have focused on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but studies on how the project owners recognized as “leader” affect the outcome of the project are very limited.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individual and governance characteristics of an owner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project based on impression formation and social capital theory. For a data set, we collect 611 Repositories and the owner’s data from the open source development platform Github, and we form knowledge sharing network of an each repository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We us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our results show that a leader, who exposes a lot of one’s personal information or who has actively followed and showed interests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elopers, affects positive impacts on project performance. A leader who has a high centrality in knowledge sharing network also positively affects on project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f a leader was highly willing to accept external knowledge or is recognized as an expert in the community with large numbers of followers, the result show negative impacts on project performance. The research may serve as a useful guideline not only for the future open source software projects but also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different types of open collab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