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사(水死) 관련 신앙의례 고찰

        김효경(Kim Hyogyeong) 한국무속학회 2012 한국무속학 Vol.0 No.24

        해안 사람들에게 바다는 하늘과 땅 이외의 또 다른 하나의 세계이다. 이 공간이 자신들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하나의 문화적 공간으로 간주했다. 하늘(산)-바다-땅(거리)로 구조하여 제각기 제사의 대상으로 삼아 치제했다. 이는 내륙의 하늘(산)-땅(거리)로 이분화 되어 있는 인식체계와는 다르다. 자연이지만 삶의 영역이므로 바다는 특별한 것으로 간주되므로, 바다에서의 죽음은 큰 문제로 다가온다. 여러 명이 한꺼번에 사망하고 시신마저 찾기가 어려운 참사(慘死)였기에 더욱 그러하다. 익사자의 혼은 전통사회에서도 흩어지지 않는 20%의 혼으로 간주되어 특별하게 관리되었다. 수중에 빠져있는 혼을 건져내야 했기에 정상적인 죽음을 한 영혼을 부르는 고복(皐復)과 달리 초혼(招魂)이라 불른다. 초혼은 단순히 영혼을 부르는 것이 아니라 시신이 없는 수사자의 장례를 위해 영혼과 육신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는 넋을 건지는 절차로 가장 중요하다. 이에 ‘넋 건지기’라는 용어가 영혼을 저승으로 천도시키는 것까지를 포괄한다. 다른 지역에는 천도를 위한 다양한 굿인 씻김굿, 새남굿, 오귀새남굿, 자리걷기 등이 발달되어 있지만 충청도에는 이에 해당되는 굿이 없다. 수사자를 위해서는 ‘넋 건지기’가, 객사자리를 위해서는 ‘넋 들이기’가, 청춘혼령을 위해서는 ‘사혼제’가 각기 발달되어 있다. 이러한 신앙의례 모두 좌경(坐經)으로 베풀어진다. 충청도의 넋 건지기는 충청도식 천도굿으로, 좌경의 특성을 지닌 수사자만을 위해 특화된 의례라 하겠다. 신앙의례에서 수사자는 다중적인 성향을 지닌 존재로 인식된다. 수사자는 조상이지만 불운한 죽음을 맞이했기에 잡귀의 속성을 지닌다. 이에 조상으로 천도하는 천도굿의 대상인 동시에 수사귀(水死鬼)라 하여 집안에서 베푸는 고사에서 하위 신령으로 모셔진다. 용왕제, 뱃고사의 고물고사, 안택에서 내전과 같은 하위 제차(祭次)의 대상이다. 바다의 주신인 용왕을 치제하는 제사에서는 빠짐없이 별도의 제물을 마련해 바치고, 그 제물로 헌식한다. 조상이지만 잡귀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에 별도의 제물을 바쳤지만 하위 신령이므로 그 제물로 헌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행위는 수사를 경험한직계 가족에만 국한되지 않고 외밀성(外密性, extimit )으로 인해 가족 밖으로 전이 되어 방계혈족이나 수사한 이웃을 둔 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쳐 다양한 신앙의례로 표출되어 나타난다. 해안 및 도서지역에는 여러 비극적인 죽음 중 수사(水死)만이 부각된다. 수사자를 위해 특화된 의례로 문간제를 베푼다. 문간은 집안과 집 바깥의 경계지역이고, 두 공간을 드나드는 존재가 머무는 점이지대이다. 이곳은 조상이자 잡귀인 수사자에 대한 개별적인 의례를 베풀기에 매우 적합하다. 내륙에서 객사자를 위한 거리제가 발달되어 있는 것처럼, 해안 및 도서지역에서는 수사자를 위해 문간제가 발달되어 있는 것이다. 수사자는 식구이지만 잡귀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집 바깥이 아닌 집안에서 치제되지만, 집안이 아닌 하위의 종교적 공간인 문간 즉 마당에서 치제되는 것이다. 이처럼 바다와 밀접한 생활을 해야 하는 해안 및 도서지역에서는 자신들 나름의 방식으로 생활상의 위험을 완화시키고, 삶에 질서를 부여하고자 다양한 문화장치를 마련해 두었다. The sea presents another world different from the sky and land to fishery village people. They assign a special meaning to the space that has decisive impacts on their lives, regarding it as a cultural space. They found the object of religious service in the structure of heaven(mountain), sea and land(street) and held those services for each of them. The structure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e usual dichotomy of heaven(mountain) and land(street). Even though the sea is part of nature, they considered it a special place because it was the venue of their lives. Death in the sea was also a huge matter to them. It was even more so as it would usually be such a tragic accident with several victims at the same time and challenge to find the bodies. In traditional society, treatment of the drowned was special. They regarded them as 20% of the unscattered soul. Since they had to fish out the souls of the dead in the sea, they called it Chohon distinguished from Gobok, which calls out the soul in case of normal death. The funeral of death by water with no body to bury had to satisfy both the spirit and body, which explains why they placed importance on pulling up the spirit or Chohon. In religious ceremonies, the dead by water are considered to have multi-faceted tendencies. Even though they are ancestors, they do have the attributes of sundry evil spirits because of their unfortunate death. Thus they are the objects of Cheondogut to cheondo them as ancestors and, at the same time, served as lower-class divine spirits in family ceremonies as the ghosts of death by water. They are the objects of lower-class Jecha such as the Sea God service, Gomul ceremony of Baegosa, and Naejeon during a shaman rite to appease the household god. In every Sea King service, they receive their own offerings, which are later shared by the village people. Since they have the attributes of sundry evil spirits, they are bound to receive their own offerings to be shared by the village people even though they are ancestors. Such acts are committed only in families that went through death by water. However, the extimite of death by water is transmitted out in the village, affecting the neighbors that also had an experience of death by water in their families. In coastal villages, in particular, only the victims of death by water are highlighted unlike those of other deaths away from home. One good piece of evidence is Gate Section Service specialized for the victims of death by water. The gate section is the boundary between the house and the world and occupied by the beings that frequent both of the two domains. It is an ideal place to hold a separate ceremony for the victims of death by water, who are ancestors and sundry evil spirits. Since there was the sea right outside the gate, the gate section was highlighted as the boundary between the house and the sea. The coastal villages in close connections with the sea devised highlyadvanced cultural devices to reduce the innate risk of their daily lives in theirown ways.

      • KCI등재

        역서(曆書)속의 신앙 원리의 활용

        김효경(Kim Hyogyeong) 한국무속학회 2011 한국무속학 Vol.0 No.22

        역서(曆書)는 날짜를 알려주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전근대사회의 역서는 관측을 통한 과학의 산물이지만 체험을 통한 신앙적 요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미래에 대한 불길한 조짐을 질서정연하고, 통제할 수 있는 대상으로 치환하기 위한 방법이 담겨져 있다. 역서의 근간이 되는 일진(日辰)에 따른 의(宜)와 불의(不宜)의 구분, 역서의 두 번째 장에 수록된 그 해를 주관하는 24방위의 신령을 밝힌 연신방위도(年神方位圖), 특정한 의례를 행할 때에 일진과 방위에 대한 정보가 담긴 주당도(周堂圖)가 그것이다. 역서를 활용하던 시절에는 이런 내용은 주된 생활 원리이자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칙이었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네 삶에도 다양하게 기능한다. 이중 주당도는 의례적, 종교적 원리로 지금껏 활용되고 있다. 역서에 수록된 이러한 내용이 민간에서는 어떻게 활용되었을까? 역서에는 역법의 원리가 담겨 있지만 이를 실제로 이용하는 민속 현장에서는 제 나름대로 응용해서 활용하였다. 이 둘 사이에는 유사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이는 역서라는 원리를 활용하는 민간의 지식 생산의 과정과 그 내용을 보여준다. 눈에 보이지 않는 삶의 위기의 순간에 행하는 의례는 일상이 아니라 특별한 순간이다. 이러한 순간은 특별함 그 자체로도 위험을 유발한다. 벽사진경, 재액초복이라 하듯이 액을 물리치고 복을 구해야 한다는 관념을 지닌 민중들에게 이러한 위험은 반드시 척결해야 한다. 이러한 강렬한 욕구 탓에 주당은 역서의 주당도와 달리 민간에서는 보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살과 동토 등의 탈이 원인이 된 상황을 주당으로 인지하기도 하고, 산이나 물과 같이 성(聖) 그 자체인 것을 범했을 때 나는 신벌(神罰)과 탈을 모두 주당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삶에 가장 위협적이고, 위험한 순간을 질서와 조화로운 세계로 만들려는 민간의 문화논리이다. 이것은 원리를 활용한 응용의 미학으로 민속 지식이 생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민속은 민중들 스스로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생활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앙적 울타리와 원리를 만들어 낸 것으로, 중요한 문화자산이다. Almanacs are more than a collection of numbers to inform dates. In a pre-modern society, they were the scientific products through observations but contained many elements of faith through experiences. They also contained ways to replace ominous signs of future with orderly and controllable objects along with Yeonshinbangwuido, which includes the content of naturalness and unnaturalness that are the foundation of almanacs and the divine spirits of 24 directions to govern the year, and Judangdo, which offers information about luck on a day and direction set for a special ceremony. They are important means to take a peek at what they needed in their lives in the past. How were those contents in almanacs utilized by people? While almanacs contained the principles of calendar, people applied and utilized them in their own ways on the folk scene.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they show the process and content of people’s knowledge creation through the principles in almanacs. Ceremonies held in the moment of life crisis invisible to the eyes present a special moment rather than daily life, and such a special moment can cause danger with its specialness itself. To people who believed that misfortune should be dispelled and that fortune should be pursued as in Byeoksajingyeong and Jaeaekchobok, such a danger must be eliminated. Such a powerful desire made Judang more diverse among people than the Judangdo in almanacs. People would perceive a situation caused by trouble such as Sal and Dongto through Judang and even the divine punishment and trouble in case of sacredness itself such as mountain and water being violated all through Judang. It was their cultural logic to turn the most threatening and dangerous moments in life into a world of order and harmony. It was the aesthetics of application based on principle and shows a process of folk knowledge being created. Folk customs are people’s faith framework and principle made with the life principles surrounding them and are regarded as important cultural assets.

      • IEEE 802.11ax 무선랜에서 최적의 충돌 확률을 고려한 UORA 제어

        김효경(Hyogyeong Kim),권람(Lam Kwon),박은찬(Eun-Chan Park)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IEEE 802.11ax 무선랜 표준에서는 밀집도 높은 사용자 환경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OFDMA 를 도입하였으며, OFDMA 기반 다중 접속 방법으로 UORA 를 정의하였다. UORA 의 성능은 채널 경쟁에 참여하는 단말 수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아 단말수의 변화에 따라 최적의 성능을 유지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수학적인 분석을 통해 최적의 전송 충돌 확률은 단말 수에 무관하게 일정함을 확인하였고, 이 점을 이용하여 각 단말의 전송 충돌 확률을 최적값으로 유지하는 비례 제어를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단말 수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UORA 성능을 이론적인 최댓값에 가까운 수준으로 향상할 수 있었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Broad-range and Specific 16S rRNA PCR for Use in Routine Diagnostic Clinical Microbiology

        Hyun-Chul Kim(현철),Yun-Tae Kim(윤태),Hyogyeong Kim(김효경),Sanghoo Lee(이상후),Kyoung-Ryul Lee(이경률),Young-Jin Kim(영진)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4

        16S rRNA gene PCR법은 환자 검체로부터 병원성 미생물을 검출 및 동정에 사용되어진다. 본 연구는 대량의 임상미생물 진단을 위해 bacterial 16S rRNA 부위 유전자 서열을 이용하여 광대한 범위와 높은 특이도를 가지는 primer을 포함한 PCR법을 개발하였다. 10개 표준 균주 16S rRNA 보존 부위의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primer set를 구축하였다. 98명 환자 검체에서 임상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98개 균주는 phenotypic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개발된 primer set와 universal primer set를 이용한 PCR법으로 확인하였다. 획득한 PCR 산물은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그리고 자동화 DNA 분석기를 이용하여 각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분석 및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primer set와 universal primer set의 임상미생물 검출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하였고, 또한 phenotypic 방법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비교했다. 분리된 98개 균주를 대상으로 개발된 primer set로 16S rRNA PCR을 진행하여 778 bp 크기의 단일밴드로 증폭 되었음을 확인했다. 총 98개중 94개 균주(95.9%)는 phenotypic 결과와 동일함을 확인했다. 새로 개발된 primer set를 이용한 결과는 universal primer set를 이용한 98개 균주(100%)의 결과와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16S rRNA gene PCR법은 임상미생물 검출 및 동정에서 신속성, 정확성, 그리고 검사 비용 절감의 장점을 가진다. 개발된 primer set는 병원성 미생물 동정에서 효율성을 확인했다. Broad-range and specific 16S rRNA gene PCR is used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l pathogens in clinical specimens from patients with a high suspicion for infection. We describe the development of a broad-range and specific PCR primer, based on bacterial 16S rRNA, for use in routine diagnostic clinical microbiology services. The primers were designed by using conservative regions of 16S rRNA sequences from 10 strains. Ninety-eight clinic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clinical patient specimens. A total of 98 strains of bacteria were identified by phenotypic methods; PCR with newly designed primers and universal primers. All purified PCR products were sequenced using both forward and reverse primers on an automated DNA analyz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he newly designed primers and the universal primers for the detection of bacteria, and both these techniques were compared with phenotypic methods for bacteria detection. When we also tested 98 strains of clinical isolates with newly designed primers, about 778 bp DNA fragments were amplified and identified from all strains. Of the 98 strains, 94 strains (95.9%) correspond in comparison with phenotypic methods. The newly designed primers showed that the identities of 98 (100%) strains were the same as those obtained by universal PCR primers. The overall agreement between the newly designed primers and universal primers was 100%. The primer set was designed for rapid, accurate, and cheap identification of bacterial pathogens. We think the newly designed primer set is useful for the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bacteria.

      • 차세대 무선랜 Wi-Fi7에서 다중 링크 동작의 제한 요인 분석

        권람(Lam Kwon),김효경(Hyogyeong Kim),박은찬(Eun-Chan Park)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차세대 무선랜 표준으로 개발되고 있는 Wi-Fi7 에서는 높은 처리율과 낮은 지연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로 다중 링크 동작을 제안하였으며 다중 링크 채널 접속 방식으로 STR(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을 정의하였다. STR은 비동기화 방식으로 동시에 전송과 수신을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전송 전력 누설 문제로 한 링크에서 전송할 때 인접 링크가 채널을 감지할 수 없는 Blindness 현상으로 STR을 수행하여 최적의 성능을 유지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Blindness로 인한 다중 링크 동작의 제한 요인의 영향을 모의실험을 통해 살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