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켓 각도 변화에 따른 세라믹 브라켓의 마찰력 측정

        차정열,김경석,김동춘,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2

        최근 사용되고 있는 세라믹 브라켓의 마찰력을 측정하고 비교하고자 실험군으로 3종의 세라믹 브라켓(Crystaline V(^®), Tomy, Tokyo, Japan; Clarity^(®), 3M Unitek, CA; Inspire^(®), Ormco, CA)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컴퍼짓 레진 브라켓(Spirit^(®), Ormco, CA)과 메탈브라켓(Kosaka^(®), Tomy, Tokyo, Japan)을 사용하였다. 활주 시 마찰력은 4개의 브라켓-교정선 경사(0°, 5°, 10°, 15°)에서 각각 측정되었으며 두 종의 교정선 [1.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SDS Ormco, Glendora, CA), 2. 베타-타이타늄(TMA, SDS Ormco, Glendora, CA)]이 사용되었다. 22mil 브라켓을 만능시험기기에 부착한 후 .021 × .025 크기의 교정선에 고무결찰한 후 34℃의 건조상태에서 5mm/min 속도로 교정선을 활주시켰다. TMA 교정선은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보다 높은 마찰력을 발생시켰으며 모든 브라켓 호선과의 조합에서 브라켓-교정신의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적, 동적 마찰력이 증가하였다. 0°~5° 구간에서 마찰력의 크기는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과 레진 브라켓 조합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 다음으로 Crystaline V, 금속 브라켓, Clarity, Inspire의 순으로 나타났다. TMA 교정선에서는 Crystaline V와의 조합이 가장 낮은 마찰력을, 다음으로 컴퍼짓 브라켓, Clarity, 금속 브라켓, Inspire 순으로 나타났다. 5° 이상에서 마찰력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스테인레스 스틸 교정선에서 레진 브라켓, Clarity, Crystaline V, 금속 브라켓, Inspire순으로 나타났다. TMA 교정선에서는 레진 브라켓, Crystaline V, Clarity, Inspire, 금속 브라켓 순으로 나타났다. 이때 호선 브라켓 조합에 대한 마찰력은 일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마찰력 증가율의 차이로 인해 그룹간 마찰력의 순위가 서로 뒤바뀌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실리카-삽입 세라믹 브라켓은 기존의 세라믹 브라켓보다 낮은 마찰력을 보여줄 뿐 아니라 브라켓-교정선의 경사도의 증가에서도 비교적 낮은 마찰력 증가율을 나타내어 세라믹 브라켓의 높은 마찰력을 감소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level of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from three currently used ceramic brackets; 1, Crystaline V^(®), Tomy International Inc., Tokyo, Japan; 2, Clarity^(®), 3M Unitek, Monrovia, CA, USA; 3, Inspire^(®), Ormco, Orange, CA, USA; with composite resin brackets, Spirit^(®), Ormco, Orange, CA, USA; and conventional stainless steel brackets Kosaka^(®), Tomy International Inc., Tokyo, Japan used as controls. In this experiment, the resistance to sliding was studied as a function of four angulations (0°, 5°, 10°, and 15°) using 2 different orthodontic wire alloys: stainless steel (stainless steel, SDS Ormco, Orange, CA, USA), and beta-titanium (TMA, SDS Ormco, Orange, CA, USA). After mounting the 22 mil brackets to the fixture and .019 × .025 wires ligated with elastic ligatures, the arch wires were slid through the brackets as 5 mm/min in the dry state at  34℃. Silica-insert ceramic brackets generated a significantly lower frictional force than did other ceramic brackets, similar to that of stainless steel brackets. Beta-titanium archwires had higher frictional resistance than did stainless steel, and all the brackets showed higher static and kinetic frictional force as the angulations increased. When the angulation exceeded 5°, the active configuration emerged and frictional force quickly increased by 2.5 to 4.5-fold. The order of frictional force of the different wire-bracket couples transposed as the angle increased. The silica-insert ceramic bracket is a valuabl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stainless steel brackets for patients with esthetic demands.

      • KCI등재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디자인에 따른 식립 및 제거 토오크

        차정열,윤태민,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1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원추 형태가 식립 후 시기별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기별 제거 토오크 및 동요도와 조직시편분석을 시행하였다. 성견 6마리의 하악 협측골에 원통형과 원추형 교정용 미니스크류(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 48개를 식립하고, 식립 시 식립 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고 3주, 12주 동안 교정력을 부여한 후, 제거 시 제거 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였다. 식립 토오크는 원통형 미니스크류에서 13.6 Ncm, 원추형 미니스크류에서 22.3 Ncm로 원추형 미니스크류에서 높은 식립 토오크가 측정되었다 (P < 0.001). 식립 3주째 제거 토오크는 원통형 미니스크류에서 5.7 Ncm, 원추형 미니스크류에서 9.1 Ncm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 < 0.05). 식립 12주째 원추형 미니스크류의 제거 토오크는 3.6 Ncm로 유의하게 감소하여(P < 0.05) 원통형 미니스크류의 4.2 Ncm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니스크류의 원추 구조는 식립 토오크를 유의하게 증가시켜 식립 후 3주간 안정성에 도움이 되었으나, 12주 후 안정성에 있어서는 원통형 미니스크류와 유사하였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primary and secondary stability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mini-screws of tapered design when compared with the cylinder mini-screw. Methods: A total of 48 mini-screws were placed into the buccal alveolar bone of the mandible in 6 male beagle dogs.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apered and cylinder type mini-screws (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 Maximum insertion torque (MIT) was measured using a torque sensor (Mark-10, MGT50, USA) during installation, and maximum removal torque (MRT) was recorded after 3 and 12 weeks of loading. Results: Taper mini-screws showed a higher MIT value of 22.3 Ncm compared with cylinder mini-screw showing 13.6 Ncm (P < 0.001). The MRT of the taper mini-screw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of 9.1 Ncm than those of cylinder mini-screw of 5.7 Ncm at 3-weeks after installation (P < 0.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RT value between the taper and cylinder mini-screws at 12 weeks of loading.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insertion torque of the taper mini-screw design increases initial stability until 3 weeks of loading, but does not have any effect on the secondary stability at 12 weeks of loading.

      • KCI등재

        즉시 부하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Periotest 의 유효성

        차정열,유형석,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3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Periotest values for the prediction of orthodontic mini-implants’ stability. Methods: Sixty orthodontic mini-implants (7.0 mm x Ø1.45 mm; ACR, 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 were inserted into the buccal alveolar bone of 5 twelve month-old beagle dogs. Insertion torque (IT) and Periotest values (PTV) were measured at the installation procedure, and removal torque (RT) and PTV were recorded after 12 weeks of orthodontic loading. To correlate PTV with variables, the cortical bone thickness (mm)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ithin the cortical bone and total bone area were calculated with the help of CT scanning. Results: The BMD and cortical bone thickness in mandibular alveolu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axilla (p < 0.05). The PTV values ranged from -3.2 to 4.8 for 12 weeks of loading showing clinically stable mini-implants. PTV at inser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T (-0.51), bone density (-0.48), cortical bone thickness (-0.42) (p < 0.05) in the mandible, but showed no correlation in the maxilla. PTV before remova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T (-0.66) (p < 0.01) in the mandible.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eriotest is a useful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mini-implant stability, but it can only be applied to limited areas with thick cortical and high density bone such as the mandible. Periotest는 보철용 임플랜트 식립 3 - 4개월 후 골유착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요도 측정 기기로 교정용 미니임플랜트 안정성 평가에 적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Periotest 의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성견 다섯 마리의 상악, 하악 협측골에 교정용 미니임플랜트를 식립하고, 식립 시 식립 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고 12주 동안 교정력을 부여한 후, 제거 시 제거 토오크와 동요도를 측정하였다. 동요도 (Periotest value, PTV) 측정은 재현성을 위해 동일 부위에 2회 측정하였다. PTV와 다른 변수와의 상관성 분석을 위해 모든 실험견은 CT 촬영 후 식립 부위의 골밀도와 피질골 두께를 계측하였다. 동요도 측정에 대한 재현성은 0.96 의 상관계수를 나타내 매우 높았으며 (p < 0.001) 골밀도와 피질골 두께에 있어 하악골 협측치조골이 상악골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 (p < 0.05). 12주 동안 PTV 값은 -3.2에서 4.8의 범위를 나타내며 모든 임플랜트는 임상적으로 안정적이었다. 식립 시 PTV 값은 하악에서 식립 토오크(-0.51), 골밀도(-0.48), 피질골 두께(-0.42)와 상관성이 있었으나 (p < 0.05), 상악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제거 시 PTV 값은 하악에서 제거 토오크(-0.66)와 상관성이 있었으며 (p < 0.05), 상악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Periotest 를 이용하여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골밀도가 높고 피질골이 두꺼운 부위에서 제한적으로 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정용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와 변형량이 재료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민샘,황충주,유형석,이상배,차정열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1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force and stress depending on the type, deflection and thickness of the materials and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materials after repeated loading. Methods: Four types of thermoplastic products were tested. Force until the deflections of 2.0 mm and the stress when the materials were restoring to its resting position were evalua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 materials evaluated after 5 repeated loading cycles. Results: The interac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hickness and the deflection (p < 0.05) from the regression equation. Thickness and amount of deflection rather than products and materials showed the largest effect on force and stress. In all products, at least 159 gf of force was required for more than 1.0 mm deflection or when materials with 1.0 mm thickness were deflected. The stress recorded was more than 19 gf/mm². During repeated loading,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orce and the stress (p < 0.01), 10 - 17% reduction of force and 4 - 7% reduction of stress in average. Conclusions: Proper thickness of thermoplastic materials and deflection level of tooth movement should be decided for the physiologic tooth movement. Force decay after repeated loading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efficient tooth movement. 다양한 열가소성 교정 재료를 이용한 성공적인 임상 결과가 보고되었지만, 재료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열가소성 재료의 종류, 두께, 변형량과 반복변형에 따른 변형 시 필요한 하중과, 변형되었던 재료가 원래의 상태(resting position)로 돌아갈 때 재료의 복원력을 평가하였다. 실험적인 모델의 조건에서 투명교정장치의 재료로 쓰이는 4가지 종류의 열가소성 재료(0.5 mm, 0.75 mm, 1.0 mm 두께)를 최종 변형량이 2.0 mm가 될 때까지의 하중(gf)을 측정하였다. 변형 후 탄성력에 의해 원점으로 회복될 때, 재료의 복원력(gf/mm²)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5회 반복변형 동안의 하중과 복원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와 변형량에 대해 상호 교호작용이 관찰되었으며 (p < 0.05),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 및 변형량이 하중과 복원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재료 간 혹은 제품 간의 하중과 복원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께가 1.0 mm이거나 또는 1.0 mm 이상 변형인 경우 최소 159 gf의 하중이 필요하였고, 최소 16 gf/mm2의 복원력이 발생하였다. 각 실험군에 대한 반복하중 시 하중과 복원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고 (p < 0.01), 평균 10 - 17%의 하중 감소와 4 - 7%의 복원력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 하중과 복원력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요소는 재료의 두께와 치아의 이동량 이었다. 제품에 상관없이 두께가 1.0 mm 이상인 재료를 사용하거나 치아를 1.0 mm 이상 이동 시에는 과도한 힘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투명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생리적으로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치아배열을 위해 사용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두께와 셋업 시 치아 이동량을 고려하여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반복하중 후에 열가소성 재료의 피로도에 의한 힘의 상쇄를 고려하여 임상에 적용해야 한다.

      • KCI등재

        다양한 교정용 미니 스크류의 인공 피질골 두께에 따른 삽입 토오크와 Pull-out 강도 비교

        송영윤,차정열,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는 스크류의 역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 세 종류의 self-drilling형의 교정용 미니 스크류 (Type A; 순수한 원통형, Type B; 내경이 증가하는 구간이 있는 부분적인 원통형, Type C; 원통형과 원추형이 함께 있는 복합형)를 피질골의 두께를 다르게 설정한 인공골 시편에 삽입하였다. 일정한 회전 속도와 수직력을 부여할 수 있는 구동식 토오크 시험기(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삽입 토오크를 측정하고 만능시험기(Instron 3366, Instron, Norwood, MA, USA)를 이용하여 Pull-out 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피질골 두께의 증가에 따른 최대 삽입 토오크(maximum insertion torque) 값은 Type A는 차이가 없는 반면(p> 0.05), Type B와 Type C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모든 피질골 두께에서 Type C > Type A > Type B의 순으로 최대 삽입 토오크 값이 크게 나타났다(p<0.05). Pull-out 강도는 모든 경우에 Type A가 Type B와 Type C보다 낮게 측정되었다(p<0.05). Type별로 피질골 두께와 최대 삽입 토오크, Pull-out 강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는 미니 스크류 식립을 위한 디자인 선택 시 식립부위의 피질골 두께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mini-screws during insertion into artificial bone with use of the driving torque tester (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 as well as testing of Pull-out Strength (POS). Methods: Experimental bone blocks with different cortical bone thickness were used as specimens. Three modu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drill-free type mini-screws (Type A; pure cylindrical type, 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 Type B; partially cylindrical type, Jeil Medical, Seoul, Korea, Type C; combination type of cylindrical and tapered portions, Ortholution, Seoul, Korea), were used. Results: Difference in the cortical bone thickness had little effect on the maximum insertion torque (MIT) in Type A mini-screws. But in Type B and C, MIT increased as the cortical bone thickness increased. MIT of Type C was highest in all situations, then Type B and Type A in order. Type C showed lower POS than Type A or B in all situation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rtical bone thickness and MIT, and POS for each type of the mini-screws. Conclusion: Since different screw designs showed different insertion torques with increases in cortical bone thickness, the best suitable screw design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rtical thicknesses at the implant sites.

      • KCI등재

        과두과증식을 동반한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과두절제술의 적용과 효과

        임경섭,차정열,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6

        과두과증식은 하악의 3차원적인 골격적인 비대가 일어나는 병적인 상태이다. 이러한 과두과증식의 원인은 호르몬의 작용, 외상, 감염, 유전, 태아기 때의 요인, hypervascularity 등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과두과증식의 진단 시 가장 중요한 것은 과두과증식 상태가 아직도 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두과증식의 상태에 따라서 안면비대칭 환자의 치료는 이환측 과두의 성장 부위를 제거하는 과두절제술을 시행하는 방법,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통상적인 악교정 수술만을 시행하거나 과두절제술을 병행하는 시술방법이 있다. 과두과증식의 활성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치료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bone scan이나 주기적인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이나 정모두부방사선사진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보고에서는 과두과증식을 동반한 안면비대칭 환자를 과두절제술을 이용하여 개선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Condylar hyperplasia is a pathologic condition showing 3-dimensional skeletal hyperplasia of the mandible. The reason for condylar hyperplasia is not yet known, but the effects of hormone, trauma, infection, genetics, fetal condition, and hypervascularity are known as possible reasons. When we diagnose a patient as having condylar hyperplasia, it is important to decide if it is in progress or not. Treatment for facial asymmetry due to condylar hyperplasia are decided accordingly, including condylectomy, that is removal of growth site of the affected condyle, and conventional orthognathic surgery only or condylectomy with orthognathic surgery after the completion of growth.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growth state of condylar hyperplasia in treatment stability. This is verified through bone scan and regular check-ups with 3D CT or PA cephalogram. This case report introduces an improved case of facial asymmetry with condylectomy together with orthognathic surgery.

      • KCI등재

        치과용 금합금에 대한 금속 프라이머 처리와 열순환 처리가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기,차정열,유형석,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치과용 금합금에 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금속 프라이머와 열순환 처리가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80개의 치과용 금합금 시편을 샌드블라스팅만 처리한 군과 3종류의 금속 프라이머(Alloy Primer, Metaltite, V-Primer)처리를 시행한 군으로 분류하고, 이를 열순환 처리 시행 여부에 따라 모두 8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만능물성 시험기를 사용하여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modified ARI (Adhesive Remnant Index) scores를 통해 브라켓 접착면의 파절 양상을 평가하였다. 열순환 처리 미시행 시에는 금속 프라이머의 적용 시 샌드블라스팅만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전단결합강도의 증가가 있었다 (p < 0.05). 열순환 처리를 시행한군에는 금속 프라이머의 처리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금속 프라이머를 적용한 경우 열순환 처리 미시행 시에는 파절 양상이 브라켓과 접착제 계면에서의 파절 발생 빈도가 높았으나, 열순환 처리 시행 시에는 각 군 간 파절 양상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금속 프라이머의 적용이 치과용 금합금에 대한 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초기 접착 강도에서는 유의성 있는 결합력의 증가를 보이나, 열순환 처리 시행 후에는 결합 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금속 프라이머에 의한 결합력 증가가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etal primers and thermocycling o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the orthodontic bracket and gold alloy. Methods: For this study, 80 specimens made of dental gold alloy were divided into 8 group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metal primers (none, Alloy primer, Metaltite, V-primer) and thermocycling (with and without thermocycling). Shear bond strength testing was perform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Bond failure sites were classified by a modified ARI (Adhesive Remnant Index) score. Results: All metal primer treated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e only sandblasting treated group without thermocycling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shear bond strength in the groups with thermocycling (p > 0.05). Bond failure sites of the metal primer treated group without thermocycling occurred at gold alloy/adhesive interface, whereas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bonding failure sites in the groups with thermocycling.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sing metal primer on gold alloy enhances the initial bracket bond strength. But, this effect was not shown with thermocycling.

      • KCI등재

        Doppler ultrasound를 이용한 교정적 치아 이동 시 치수 혈류량의 변화의 측정 : 예비실험

        임경섭,배영민,차정열,유형석,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6

        교정적 치아 이동 시 지속되는 압력에 의해 혈류변화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변화양상에 있어서 선학들의 연구 방법 및 그 결과의 다양성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oppler ultrasound를 이용하여, 교정치료 전과 교정치료 시작 3주, 6주 후 치수 혈류량의 연속적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 15세 이상 환자 18명을 연구대상으로 Doppler ultrasound를 이용하여 상, 하악 6전치 중 경도의 총생(2 mm 미만)을 보이는 치아(총생측정: required space-available space)와 인접치아를 포함한 3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치수 혈류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부위별(상, 하악), 치아별, 기간에 따른 치수 혈류량의 변화는 교정 치료 시작 전과 시작 후 3주, 6주 혈류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치수 생활력 상실의 내재적 위험성을 비교하고자 교정 치료 시작 전 치아별로 치수혈류량을 비교하였을 때, 상악에서는 측절치, 하악에서는 견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든 항목에서 적은 값을 나타냈다 (p > 0.05). 본 연구의 결과는 이후에 진행될 Doppler ultrasound의 치아이동유형, 환자의 연령을 고려한 세부적인 실험 시 방법론적인 기초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교정치료 시 치수 생활력의 상실에 대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change of pulp blood flow among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ooth with mild crowding and adjacent teeth using Ultrasound Doppler graphy. Methods: The change of pulp blood flow was measured three times using Ultrasound Doppler graphy; before the attachment of brackets, after 3 week, and after 6 week. The sample consists of 15 year old eighteen patients. Results: Before the attachment of brackets, after 3 weeks, and after 6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pulp blood flow in each part (maxilla and mandible) and each tooth according to period. In addition, to compare internal dangerousness of loss of the pulp vitality, when pulp blood flow is compared in each tooth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mandibular canine but it showed low values in all measurement items (p > 0.05).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not only methodological preliminary data in further study such as tooth movement type of Ultrasound Doppler graphy and particular study considered the patient age, but also reference materials for the loss of pulp vitality in orthodontic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