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ussia`s Position on Japan`s territorial claims on the South Kuril Islands in 2000`s

        ( Sung Hoon Jeh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09 슬라브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Russia`s position on Japan`s territorial claims in the 2000`s, compared with its position in the 1990-s years. Despite the fact that Japan`s claim on the South Kuril Islands violate the principles of Russia`s territorial integrity and national interests, in 1990`s Russian leaders formally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territorial conflicts in bilateral relations, agreed to specify all four islands the disputed object, and has approved the transfer of two of them until a certain time. However, Putin`s administration has defined again the territorial issue as a territorial claim, and not territorial conflicts, producing position that the only way to resolve the territorial issue is the fulfillment of obligations? the transfer islands of Habomai and Shikotan after the conclusion of a peace treaty-under the Joint Declaration of 1956 year. Currently, Japan is not intend to compromise disputes on the basis of the Joint Declaration of 1956 year and Russia does not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 urgently at the expense of additional concessions. Therefore, territorial deputes between Russia and Japan will be continued.

      • 러시아 대외정책 결정 및 수행과정에서 지방의 역할: 남쿠릴열도 영유권 논쟁 사례를 중심으로

        제성훈 ( Jeh Sung Hoon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6 글로벌정치연구 Vol.9 No.2

        대외정책 결정 및 수행과정에서 지방의 역할은 중앙-지방관계, 즉 중앙에 대한 지방의 영향력 수준에 따라 `합리적 국가의 도구로서 지방`, `이익집단으로서 지방`, `관료적 제도로서 지방`, `독자적 대외정책 행위자로서 지방`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1990년대 정치·경제 권력의 급격한 탈집중화 및 지역화로 인해 중앙집권적 중앙-지방관계가 급격히 이완되면서 사할린 주정부의 입장은 영유권 논쟁에서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었다. 사할린 주정부는 중앙의 정책 결정 및 수행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남쿠릴열도 영유권 협상을 적극적으로 저지했다. 1990년대 중앙-지방관계에서 탈집중화가 이루어지면서 중앙에 대한 지방의 영향력 수준이 높았기 때문에, 사할린 주정부는 영유권 논쟁에서 `이익집단으로서 지방` 또는 `관료적 제도로서 지방`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2000년 푸틴 정부가 출범하면서 중앙-지방관계에서 힘의 균형이 변하게 되었고, 남쿠릴열도 영유권 논쟁에 대한 중앙의 입장도 변화했다. 푸틴 정부는 `1956년 모델(평화조약 체결 후 2도 양도)`로 영유권 문제를 해결하자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사할린 주정부는 여전히 일본과의 영토협상 자체를 반대하며 2도 양도를 반대하고 있는데, 이는 중앙의 정책 결정 및 수행과정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는 않지만 일본과의 협상에서 중앙의 레버리지를 강화시켜주고 있다. 2000년부터 중앙-지방관계에서 집중화가 이루어지면서 중앙에 대한 지방의 영향력 수준이 현저하게 낮아졌기 때문에, 사할린 주정부는 `합리적 국가의 도구로서 지방`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The role of the regions in the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can be categorized as “Regions as instruments of a rational state,” “Regions as interest groups,” “Regions as bureaucratic institutions,” “Regions as individual foreign policy players” by the center-region relations, that is the level of the regions` influence on center. Due to the rapid decentr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powers in the 1990s, the centralized center-region relations were rapidly loosened and thus Sakhalin regional government`s position could be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territorial dispute. Influencing on center`s policy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Sakhalin regional government actively blocked the negotiations on the sovereignty over the South Kuril Islands. Because the decentralization of the center-region relations in the 1990s led to the high level of the region`s influence on the central government, the Sakhalin regional government could play the role of “Regions as interest groups” or “Regions as bureaucratic institutions” in the territorial dispute. But, with the launch of the Putin government in 2000, the balance of power in the center-region relations has changed, and the central government`s position on the sovereignty over the South Kuril Islands has also changed. The Putin government began to insist on resolving the territorial dispute by the 1956 model (transfer of the two islands after the signing of a peace treaty). The Sakhalin regional government still is refusing any negotiations with Japan and opposing the transfer of the two islands, tha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but strengthens the center`s leverage in negotiations with Japan. Due to the centralization of the center-region relations since 2000, the level of region`s influence on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remarkably lowered, and thus the Sakhalin regional government became playing the role of “Regions as instruments of a rational state.”

      • KCI등재

        19세기 말 만주 · 한반도에서 러시아 대외정책의 지정학적 목표와 시사점

        제성훈(Jeh, Sung Hoo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8 슬라브학보 Vol.33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geopolitical goals of Russian foreign policy, on the basis of this, analyze the geopolitical goals of Russian foreign policy in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from this, ultimately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Korea-Russia cooperation. The geopolitical goals of foreign policy can be defined as those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space that a country intends to achieve through foreign policy under the influence of space, and process of achieving those goals is always accompanied by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 the other political actors. Russian policy toward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aimed to secure the ice-free ports, expand the railroad networks, and build the buffer zones that were the traditional geopolitical goals of Russian foreign policy. In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to the beginning of the Russo-Japanese War Russia leased the ports Arthur and Dalian in the Liaodong Peninsula, constructed Chinese Eastern Railway and connected it to the Trans-Siberian Railway. Russia also made Manchuria as a buffer zone under its influence and the Korean Peninsula as a neutral buffer zone. Russian foreign policy is similarly revived on the Korean Peninsula nowadays. Russia secured exclusive license to dock No. 3 of Port Rajin in 2008 and connected Port Rajin to the Trans-Siberian Railway by remodeling the railroad section between Port Rajin and Khasan in September 2013. And Russia hopes that North Korea at least or the Korean Peninsula as far as possible will become a neutral buffer zone.

      • 러시아의 ‘동방정책’과 한국의 대 극동 경제협력 확대방안

        제성훈 ( Sung Hoon Jeh ),이재영 ( Jae-young Lee ) 한국유라시아학회 2015 Acta Eurasiatica Vol.6 No.-

        이 연구의 목적은 3기 푸틴 정부 하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러시아의 ‘동방정책'의 연장선상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극동 개발정책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대 극동 경제협력 확대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2012년 5월 3기 푸틴 정부의 출범과 동시에 극동 개발과 대 아태지역 경제협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러시아의 ‘동방정책'은 더욱 구체화 · 가속화되었다. 3기 푸틴 정부의 ‘동방정책'에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극동 개발정책은 계획 측면에서 기존 ‘추격형 발전'에서 ‘선도적 발전'이라는 개념하에 현실적이고 적정한 연방예산 확보 계획을 마련했으며, ‘백화점식’ 사업 나열에서 벗어나 극동의 특성에 맞는 교통 · 물류 및 제조업 기반 확보에 중점을 두고 아태지역으로의 수출지향형 산업 발전 및 해당 지역 국가들과의 경제 관계 발전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변화로 인식된다. 또한, 제도 측면에서도 기존과 달리 계획의 집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연방 거버넌스를 혁신했으며, 투자매력도 제고를 위해 파격적인 특혜와 새로운 개발 모델을 도입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한국의 대 극동 경제협력 확대방안으로 양국 총리회담 정례화와 극동개발부의 카운터 파트너 조직 신설을 골자로 하는 협력 추진체계 개선, 선도개발구역 내 반제품 또는 부속품 생산을 통해 극동과 아태지역을 연결하는 새로운 역내 분업, 대규모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참여, 석유 · 가스 가공분야 진출 및 플랜트 건설 참여, 남 · 북 · 러 3자 경제협력 프로젝트의 시범사업으로서 라진-하산 프로젝트 참여 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going Far East development policy as an extension of Russia’s “Look East Policy”,and, on this basis, to present measures for expanding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the Russian Far East. After taking office in May 2012, the Putin administration is accelerating “Look East Policy” that is focused on Far East development and cooperation with Asia-Pacific region. The Putin administration’s Far East development policy as the core of the “Look East Policy” is regarded as a paradigm shift from the conventional policy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policy concept is based on “advanced development” instead of previous “catch-up development”. Second, it aims to develop export-oriented industries towards Asia-Pacific region. Third, reform of the federal governance has strengthened the executive force of the plan. Finally, the introduction of the exceptional tax favor and new development model has enhanced the investment attractiveness. Thus, there are measures Korea can and should take with respect to Russian Far East development: holding regular prime ministers’ meeting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stablishing a partner organization for Far East development, new regional division of production involving production of semi-finished products or components of goods at zones of advanced socio-economic development, participation in large-scale infrastructure projects, participation in oil/gas processing and plant construction sectors, cooperation linked to tr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Russia.

      • KCI등재

        북극이사회 창설 25주년의 의미와 향후 과제 - 북극이사회의 장기적 과제와 한국의 북극 협력 과제를 중심으로

        제성훈 ( Jeh Sung Hoo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5 No.3

        지난 25년간 북극이사회는 북극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보호를 위한 대표적인 정부 간 포럼으로서 체계적 조직을 구축하고, 법적 구속력이 있는 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의 장을 제공했으며, 북극의 환경적·생태적·사회적 평가를 수행하여 북극의 주요 문제를 글로벌 차원에서 공론화했다. 또한, 결정 채택과정에서 회원국 간 합의제를 통해 정치적 중립성을 강화하고, 원주민 단체의 참여도 제도적으로 보장했다. 하지만 북극이사회는 독자적 예산을 확보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국제법적 지위 부재로 인해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결정을 채택할 수 없었으며, 군사 안보와 경제협력 관련 문제도 논의하지 못했다. 게다가 다른 북극 거버넌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북극 문제 논의에서 북극이사회가 가지고 있던 사실상의 ‘독점적 영향력’ 마저 도전을 받고 있다. 향후 북극에서는 천연자원 개발 참여, 북극 항로의 자유로운 이용은 물론, 북극 거버넌스 개선에 대한 비북극 국가의 요구가 증가하고, 이미 시작된 북극의 ‘군사화’로 인해 주요 강대국 간 자연적 완충지대로서 북극의 역할이 한계에 도달할 것이다. 따라서 북극이사회는 장기적으로 기존 체계를 다소 개편하여 비북극 국가의 의사결정 참여 수준을 높이고, 활동 범위를 군사 안보와 경제협력 관련 문제까지 확대해야 한다. 더 나아가, 포괄적 국제조약을 체결하여 북극이사회의 법적 지위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다른 북극 거버넌스와의 협력을 체계화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2013년 5월 옵서버 지위 확보를 계기로 북극이사회 차원의 회의와 프로젝트 참여, 북극 문제 관련 국제행사 참석, 회원국·다른 옵서버와의 양자·다자 대화 등 북극이사회와 관련한 다양한 북극 협력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북극이사회의 새로운 25년을 바라보며 향후 한국은 북극이사회 활동에 대한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 북극 협력 역량을 강화하고, 회원국·다른 옵서버와의 양자·다자 협력을 계속해서 확대해야 할 것이다. Over the past 25 years, the Arctic Council has established a systematic organization, provided a venue for negotiations to conclude legally binding agreements, and conducted environmental, ecological and social assessments of the Arctic to discuss key issues at a global level. It also strengthened political neutrality and institutionalized the participation of indigenous organizations by maintaining the principle of consensus between member states in the process of adopting a decision. However, the Arctic board not only failed to secure its own budget, but also could not adopt legally binding decisions due to its lack of international legal status, and discuss military security and economic cooperation. In addition, the growing influence of other Arctic governance has challenged de facto “exclusive influence” of the Arctic Council in discussing Arctic issues. In the future, there will be increasing demands from non-Arctic states for participation in natural resource development, free use of Northern Sea Route, and improving governance in the Arctic. And the “militarization” of the Arctic, which has already begun, will limit Arctic’s role as a natural buffer zone between major powers. Therefore, in the long term the Arctic Council should not only reform its existing system to raise the level of non-Arctic states’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but also expand the scope of its activities to military security and economic cooperation issues. Furthermore, a comprehensive international treaty should be signed to secure the legal status of the Arctic Council and to systematize cooperation with other Arctic governance based on it. With the approval of the observer status in May 2013, Republic of Korea is conducting various cooperation activities related to the Arctic Council, including attendance in meetings and projects of the Arctic Council,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the Arctic issue, bilateral and multilateral dialogue with member states and other observers. In the future, Republic of Korea should strengthen its capabilities for Arctic cooperation and continue to expand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with member states and other observers to enhance its contribution to the activities of the Arctic Counc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