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틸팅열차 도입을 위한 신호시스템 운영방안 연구

        이훈구(Lee Hoon-Koo),이남형(Lee Nam-Hyeong),이수환(Lee Soo-Hwan),이영호(Lee Young-Ho),백종현(Baek Jong-Hyen)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5월

        Since 2003, the domestic ground signalling system of the Kyeongbu and Honam lines has been steadily improving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TP system and application of the system to the train is actively being pursued for 2009 target. Therefore, new ground signalling systems are being installed to the trains and track conditions to control the train speed to a maximum of either 80㎞/h, 120㎞/h, 150㎞/h, or 160㎞/h. As well, considering safe breaking distance, block signalling has been installed and also the change over times of the track switching device has been adjusted according to the train speed. Since the new Tilting trains will be running faster than present trains, at speeds over 180 ㎞/h, we anticipate that there will be problems with present signalling facilitie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various problems with the interface between the ATP signalling system and the new Tilting trains and also it will propose the most effective operating plan based upon case studies of successful foreign operations.

      • 철도시스템 개발시 필요한 RAMS활동 및 인증 절차

        이훈구(Hoon-koo Lee),박강훈(Kang-Hun Park),이수주(Soo-Joo Lee),편선호(Seon-Ho Pyeon),김용호(Hoon-koo Lee)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연구는 열차 검지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시스템의 안전요구사항을 높이기 위한 RAMS(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ninability and Safety)활동의 초기단계부터 폐기에 이르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각 단계의 업무내용 및 절차 그리고 안전성 평가를 위한 각 기관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는데 있다. In a research study to develop a train detection system performs to enhance your system"s security requirements RAMS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ninability and Safety) a description of the procedure leading to the discard from the initial stage of business activity and the content of each step and process and is used to study the role of each institution for the safety assessm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선교"정의의 재 정립의 필요성 연구

        이훈구 ( Hoon Koo Lee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07 복음과 선교 Vol.8 No.-

        Regarding the incident of the Korean Christian mission members being captured in Afghanistan, It makes Korean church re-thinking of the definition of mission. The Evangelical theologians insist on continuously doing the mission work, even when there are many risks and hardships and also under the bad conditions; but liberal theologians oppose this concept, since their mission definition is shalom and humanism. Therefore, this article strives to discuss briefly both views with historical reflection as well as finding the middle ground on the issue. From the Conference of Edinburgh (1910) to Iguassu Affirmation (1999), there were many conferences for affirming the definition of mission and its main task. We can find two concepts or trends among the conferences: in which the Evangelicals insist that Christians have one task, salvation, which is delivering the souls from sin by the blood of Jesus Christ and make them to be members of Christ`s body. On the other side, the liberals claim that their main task is to make peace on the earth and try to bring shalom and humanity.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keeps on emphasis humanizing the society. They claim that if they keep on doing that God gift can be appropriated by a response of individual faith gradually. But the Evangelicals reject the WCC`s views, because it is not the main goal of Christian mission. Evangelicals insist that the main goal of Christian mission is the salvation of souls from the sin and God`s eternal judgment, but they neglect aspect of loving their neighbors, God has commanded that believers should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all your mind, This is the first and the greatest commandment, And the second is like it: Love your neighbor as your self. All the Laws and the Prophets hang on these two commandments" Therefore, we must re-construct both the definitions and tasks of Christian mission according to the above commandments. Salvation of souls is, surely, the first goal, but without loving neighbor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main object of mission. For example, mission is like the principle of ridding a bicycle. The forward wheel leads the rear wheel. Without the rear wheel it is difficult to go forward. Giving the message of the Gospel must also include loving our neighbors as like making them humanized, but humanizing the neighbor should not substitute the message of gospel but also not to be the first goal. Humanizing them is second main factor in the mission as like a rear wheel of bicycle.

      • KCI등재

        조선후기 충청도의 영리(營吏)와 향리(鄕吏), 그리고 이들의 기록물 - 충청도 감영의 영방(營房)과 향리 사회의 연망에 대한 기초 연구 -

        이훈상 ( Lee Hoon-sang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0 No.-

        이 연구는 충청도 감영의 영방(營房)과 향리 사회의 연망을 재현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먼저 관련 기록물과 그 특성을 밝힌 것이다. 경상도와 전라도에 집중된 향리 연구의 지평을 충청도로 확장하려는 구도에서 이 연구는 출발하였다. 그렇지만 오랜 기간과 광범위한 발굴 및 조사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는 제한적이었고,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이것을 충청도의 특성으로 환원하여 이것을 전제로 먼저 그 배경과 의미를 밝히려 한 것이다. 그리하여 먼저 관련 기록물들과 그 특성을 밝히는 작업에 집중하여 54개 읍의 향리 사회를 포괄하는 방대한 후속 작업의 기초를 닦으려 하였다. 충청도를 사례로 하는 일련의 작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충청도 54개 읍의 향리 지도의 완성인데, 여기에는 각 읍을 단위로 한 향리 사회의 권력 지형과 향리를 포함한 이서집단의 구별 짓기 그리고 근대 이후의 변동이 포함된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관련 기록물들을 영리와 향리로 나누고 먼저 영리와 이들의 모임인 영방에서는 영리들의 출자 및 운영 방식을 검토하고, 이어 향리를 대상으로 54개 읍의 향리를 비롯한 이서집단의 구성과 사회적 구별 짓기에 주목하여 향리 사회의 권력 지형과 그 변화를 가리들과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영리와 향리를 둘러싸고 지역사회와 국가 사이의 상호 어긋나는 다양한 시점과 목소리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는 기록 문화 전통의 창출 및 각 읍 향리 사회의 조직화와 관련하여 청안현 향리 사회에 대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향리 사회가 계속 새로운 부류들을 받아들이고 이들이 읍권(邑權)을 주도하는 대열에 진입하면서 새로운 변화와 혁신에 앞장섰음을 밝혀냈다. 나아가 각 읍에서 오랜 역사적 연고권을 가진 향리 가문들의 우위가 두드러지지 않더라도 향리제도가 이 지역에도 장기간 존속한 또 다른 배경을 이해할 수 있었다. 한편 경상도 및 전라도와 비교하여 충청도의 차이를 드러냈음에도 불구하고 향리 관련 기록물이 국가나 향리들만의 목소리나 시선이 아닌 향리들과 각기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여러 집단들의 다양한 목소리들과 시선도 담겨 있음은 공통된다. 그리고 이것들이 바로 향리의 역사상 자체임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 강조한 향리 관련 기록물들에서 보이는 다층적 층위는 추후 수행할 54개 읍의 향리 사회에 대한 일련의 후속 연구들의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simple fact that compared with those of Jol1a-do and Gyeongsang-do, the records produced by the functionaries of 54 counties and clerks of the headquarter of Chungcheo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relatively small in number. Under the assumption that this fac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aries of Chungcheong-do,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produced by the functionaries and clerks of this area. As is well known, the systems of clerks of the headquarter in Jol1a-do and Gyeongsang-do show an important development of centraliz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imultaneously It had a limit in centralization since most of the clerks of Provincial Governor came from a few hereditary functionaries families strongly rooted in some local areas. Therefore long-termed hegemony of the local hereditary functionaries` families based on the close network with chambers of clerks of Provincial Governor continu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Contrary to these two provincial governors, this study contends that there were few distinct local hereditary functionaries families in Chungcheong-do.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next study will be hopefully to explain the reason why the long-termed hegemony of the local hereditary functionaries families did not develop in Chungcheong-do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의 재부 축적과 그 운영 -판소리 창자의 양성과 관련하여-

        이훈상 ( Hoon Sang Lee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6 No.-

        전라도 고창의 향리 가문 출신인 신재효가 19세기 후반에 판소리 창자들의 교육에 헌신한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의 교육은 창자로부터 일정 사례를 받고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이들을 기거하는 경비까지 부담할 정도로 헌신적인 것이었다. 여기에는 여성 제자들의 연행을 주선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판소리에 전업하려는 이들을 경제적으로 뒷받침하는 것까지 포함된다. 더욱이 그는 지역사회를 위해서도 적지 않은 돈을 기부하였는데, 그의 기부 활동은 35세 때부터 시작하여 66세가 되는 1876년까지 계속 이어졌다. 이 일련의 사실들이 신재효의 재부에 대한 우리들의 관심을 촉발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제까지는 사실상 구전에 기초한 이야기가 대부분일 뿐 구체적인 내용은 물론 의미도 밝혀진 것이 사실상 거의 없었다. 전승되는 이야기들은 막연하게 신재효가 부친 신광흡의 유산을 물려받아 살림이 넉넉했고 나아가 근검으로 재산을 일구어 창자들을 교육시켰다고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거대한 자산가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런데 이 같은 구전은 여전히 애매하며 신재효와 부친, 그리고 후손들의 그것이 뒤섞여 있기도 하다. 그의 재부에 대하여 연구자들이 쉽게 거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구체적인 논거에 기초하지는 않은 것이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사실을 비판하면서 그 구체적인 실태를 밝히고 이어 그 의미를 분명히 한 것이다. 이 연구는 재부만으로 판소리 창자의 교육에 대한 그의 헌신과 판소리 발전에 대한 기여를 설명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면서도 신재효의 재부가 어느 수준이며 이 재부를 어떻게 축적하고 경영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작업은 판소리의 발전과 그 방향을 논의하는데 매우 중요함을 강조한다. 한편이 같은 작업이 가능한 것은 재부의 축적과 관련된 일련의 문서들을 최근 발굴하였기 때문인데, 이제 이를 토대로 그의 재부와 이를 기초로 한 판소리 교육과의 상관관계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전제 아래 이 연구는 그의 경제 기반과 경영을 수입과 재부 축적, 그리고 기부와 소비라는 큰 구도 위에서 논의하였다. 한편 이 연구는 신재효가 창자의 교육에 헌신한 시기가 이른바 포퓰러popular 문화가 크게 확산되기 시작한 시기이라는 점도 주목한다. 그렇다고 그가 단순히 시대의 조류를 추종하거나 반영한 것은 아니다. 연행에 대한 그의 다양한 실험은 포퓰러 문화의 확산을 촉진하고 새로운 방향을 만들었다. 이와 관련하여 19세기 후반은 구체제의 동요와 이에 따른 긴장이 고조된 시기이라는 점도 강조하였다. 재부의 축적만이 아니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그의 태도를 각별히 주목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다시 말해서 그가 직면한 가혹하면서도 불안한 환경과 이에 대응하는 노력에 논의를 집중하였는데, 이것은 그의 사후 그의 가족이 겪은 곤경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전제 아래 수입과 재부의 축적을 이서로서의 수입과 대부 행위, 그리고 토지 투자와 축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어 소비의 경우 그 전모를 알기는 어렵지만, 일단 기부 등 중요 사안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가 여성 제자들의 교육시키는 헌신에는 이들을 경제적으로 뒷받침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음을 드러냈다. 한편 이 같은 재부 관리와 관련된 신재효의 신중한 자세는 19세기 후반 향리 사회가 직면한 불안과 연관되며 신재효도 늘 의식하여야 하는 살아 있는 현실이라고 보았다. 한편 그의 검약 수준이 통상 기대되는 것을 훨씬 넘어선 것도 주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인색하다는 비난 대신 주위로부터 끊임없이 칭송을 받은 것도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일상생활에서 늘 인심을 잃지 않는 방향으로 신중하게 재부를 축적하는 한편 주위에 계속해서 인정을 베푼 모습을 보여준다. 사망하고 불과 11년 후 고창은 동학농민봉기의 중심지에 포함되었다. 이미 임술농민봉기를 겪었던 신재효로서는 계속해서 자신을 둘러싼 현실이 악화되어 가는 것을 감지했다고 보았다. 그의 경제 행위도 이 같은 신재효의 현실 인식과 연관 지어 접근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in Jaehyo`s wealth and the development of Pansori. It has been the general understanding that his education of pansori singers was due to his wealth. Contending this view has devaluated his indefatigable devotion to pansori, this paper emphasizes Shin Jaehyo`s passion and devotion to pansori in addition to his wealth which was accumulated through his self-control and thrift and made it possible to support and educate pansori women singers. The emergence of professional women pansori singers in Korean history was possible only through Shin Jaehyo`s devotion and financial support. Another concern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way his wealth was distributed among his relatives after his death. The way of distributing his wealth can be interpreted as a social contexts and anxiety surrounding hyangli of the latter part of the 19 century. After all, Shin Jaejyo was uncommon man of his times who used his wealth in fulfilling his ideal arts of pansori.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