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연구

        황금숙(Gum-Sook Hoang),김수경(Soo Kyoung Kim),김미선(Mi Sun Kim),이수영(Soo Young Lee)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4 No.1

        2016년부터 전면 실시되는 자유학기제를 위해 도서관은 시설 및 장서, 인력, 서비스를 활용하여 자유학기제의 취지에 맞도록 학생들에게 독서문화 활동을 통한 창의적이고 자율 학습의 기반이 되는 메타 인지능력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기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을 독서활동중심 진로 독서프로그램과 정보활용중심 진로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시범 운영을 통해 사전/사후 효과성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서활동중심 진로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서는 모든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활용중심 진로독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는 진로지식을 제외하고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vernment introduced a free semester in 2013, current targets middle as a core policy for nurturing creative talent, the year 2016 has been carried out in front of all middle school.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library-based career reading program for free semester. In this study, It arrived at a conclusion to b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preliminary/post inspection about career reading program.

      • KCI등재

        외국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황금숙,Hoang Gum Sook 한국문헌정보학회 200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의 독서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현재 외국에서 수행되어지고 있는 독서치료 연구 동향을 단행본, 학위논문, 학술잡지 기사를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별 연도별, 학문영역별, 연구내용별 등 다각적으로 조사$\cdot$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독서치료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향후 독서치료 연구자에게 연구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at abroad through an analysis of databases(monograph,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in overseas and to analyze the citations and documents in various aspects(database, year, field, pattern). The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bibliotherapist and researcher and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their study in the future.

      • KCI등재

        인쇄형 색인초록과 전자형 색인초록의 이용행태에 관한 비교연구

        황금숙,Hoang Gum-Sook 한국문헌정보학회 19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형 색인초록이 도서관 및 정보기관에 도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인쇄형 색인초록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어떤 개인적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어떤 행태를 지니고 있는지를 전자형 색인초록 이용행태와 비교함으로써 인쇄형 색인초록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밝히는데 있다. 결론을 요약하면 이용자들은 논문작성시 확실한 연구논제를 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연구의 주제를 얻기 위하여 인쇄형 색인초록을 이용하는 반면, 확실한 논제가 정해진 상태에서는 선행연구조사와 같은 포괄적인 조사를 하기 위해서 전자형 색인초록을 이용하고 있고 인쇄형 색인초록 이용자들은 탐색과정 중 자신에게 필요한 문헌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판단력으로 인하여 탐색결과 만족도가 전자형 색인초록 이용자보다 다소 더 높으며, 전자형 색인초록 이용자는 인쇄형 색인초록 이용자보다 탐색결과 분석을 위해 별도의 시간을 더 많이 할애하고 있다. 전자형 색인초록 이용자는 인쇄형 색인초록 이용자보다 탐색실패 경험이 더 많았으며, 탐색실패 후 각 유형의 색인초록 이용자 모두 높은 응답율로 다른 색인초록을 통한 재탐색을 시도하였다. 인쇄형 색인초록 이용자는 전자형 색인초록 이용자에 비해 온라인 탐색지식이 월등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rinted index and abstract user's behaviours with digital index and abstract user's behaviours, and to verify of structured characteristics of a printed index and abstrac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When the research topic is not specified enough, users tend to rely on printed indexes and abstracts search, whereas they utilize digital form in order to do retrospective search in the stage of research when the topic is determined. (2) Printed index and abstract users are expecting small number of literatures in search, whereas digital index and abstract users are expecting large number of literatures to be found The former are more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search than the latter. (3) Digital index and abstract users experience more search failure than printed Index and abstract users. When they fail to find wanted materials, both users turn to the other form of indexes and abstracts. (4) Printed index and abstract users shows significantly less knowledge on online searching than digital index and abstract users.

      • KCI등재

        스마트 환경에서의 독서문화 진흥 방안에 관한 연구 - '독서' 관련 어플리케이션 분석을 중심으로 -

        황금숙,Hoang, Gum-Sook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환경에서의 독서문화 진흥 방안 제시를 위해 독서 매체 변화와 다양한 방식으로 독서 및 소통하고자 하는 독자의 독서행위에 대해 128개의 독서 관련 어플리케이션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독서문화 진흥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스마트 환경에서의 독자 및 비독자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독서 매체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더불어 매체에 따른 독서행위를 위한 다각적인 모델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셋째, 독자의 독서행위 변화 추이를 신속히 간파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공적 영역에서의 '독서' 관련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시급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reading culture promotion and future-oriented through analysis of readers' reading behavior that evolved by changing reading media such as e-books and various media, providing access to reading in 5G-enabled daily life, and communicating in various ways. The task of promoting reading culture was presented as follows. (1) Accurate research on readers and non-readers should be conducted. (2) In addition to accurate recognition of reading media, a multi-faceted model for reading behavior should be prepared. (3) It is necessary to quickly understand the trend of readers' reading behavior. (4) Finally, it is urgent to develop 'reading' related applications in the public domain.

      • KCI등재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황금숙,Hoang, Gum-Sook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No.3

        도서관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문화시설이며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여 도서관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지향할 바와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은 현행 학교 및 사교육시장에서 수행되어져 오는 문화예술교육과는 차별화된 도서관의 본질에 충실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지향점을 두었다. 또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안은 체험-이해-소통을 중심으로 제시하였으며, 문화기반시설과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to develop patterns for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libraries.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I analyzed the status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domestic and U.S. libraries. The basic aim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libraries is based on a nature of the library. I presented the patterns of a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experience-understanding-communication). Also, I presented a various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based cultural facilities of a region.

      • KCI등재

        전자책의 독서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종이책과의 비교를 통하여 -

        황금숙,Hoang, Gum-Sook 한국비블리아학회 200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ading effect of e-book versus printed book. For this purpose, 8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ading project. The participants of this project read 'A'(printed book) and 'B'(e-book) literary works and were tested reading comprehension. According to conclusion of the stud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rinted book and e-book on reading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can be used for e-library management and reading education.

      • KCI등재

        독서교육자 자질 함양을 위한 독서관련 교과목 교수-학습법 개발 연구

        황금숙,Hoang, Gum-Sook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ethod for reading guidance librarians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ven though it was an increase of needs for reading guidance librarians in libraries, reading education courses provided by LIS in Korea lacked. Also, most reading education courses of LIS stressed knowledge-oriented education than the practice of reading program design or reading experience. So this study develope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 activities of post-reading portfolio, management of reading program for motivation, and the team-projected learning for the design of reading program. 사회 환경 측면이나 도서관 현장에서 독서프로그램 담당 사서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문헌정보학과에서는 독서관련 교과목 개설이 미비하며, 교육내용 또한 이론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교육자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실무중심의 독서관련 교과목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였다. 즉, 독서체험을 위한 자기주도적 독서 및 독후포트폴리오 제작활동과 실무 중심의 학습동기 유발 독서프로그램 운영과 도서관현장 연계 협동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교수-학습법을 개발 적용하였다.

      • KCI등재

        도서관 이용서비스헌장 및 이용규정 개발에 관한 연구

        황금숙,이영숙,Hoang, Gum-Sook,Lee, Young-Sook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2

        지식정보사회는 물론 문화사회의 진전에 따른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지역주민의 문화적 욕구의 증가로 도서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또한 이용자들의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복잡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용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기대 수준도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공공도서관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정보이용, 문화활동, 평생교육의 증진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실천하는 공공기관으로 모든 정책과 서비스를 마땅히 이용자 중심으로 수행되어져야 함으로 공공도서관에서도 고객지향적 행정서비스를 위해 도서관이용서비스헌장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보다 구체적인 서비스이행은 미흡하다. 이에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하고, 친절하고 품위 있는 공공서비스 문화의 선진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공공기관으로서 공공도서관에서 마땅히 서비스해야할 헌장과 공공시설 이용자들이 마땅히 지켜주어야 할 사항인 도서관 이용규정을 개발하였다. Recently there have been an increase in number of new library buildings and its users due to the demand of lifelong learning and cultural experiences of the local community and also the extension to their opening hours. At the same time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problem users in local libraries. This seems close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number of unemployment rates and their mental health issue. This causes a great challenge to the local libraries. in particular, to the front-line librarians. If these challenges are not dealt appropriately at all levels within the library organization the overall quality of services is likely to degrade leaving the general users dissatisfied and the staff adversely affec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charter of library service and a library code of conduct to meet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and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library services.

      • KCI등재

        독서관련 자격증 운영 현황 분석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황금숙,김수경,Hoang, Gum-Sook,Kim, Soo-Kyo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독서관련 자격제도를 살펴보고, 독서관련 자격증의 발급 현황과 교육과정을 면밀히 조사 분석한 결과, 278개 과정의 독서관련 자격증은 모두 민간 비공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내용의 질적 제고의 노력과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요구되었다. 이를 토대로 민과 관이 협력하여 독서관련 자격증의 질적 제고를 위한 운영방안을 제시하고, 독서문화진흥 정책의 참고자료로서 활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looks at the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that examine the issues into the curriculum of reading-related qualifications specifically. The results of analysis, 278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are both operated by the private non-accredited. And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system was required the effort and systematic enhancem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education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survey, It is proposed operational plans for the quality of reading-related qualifications by cooperation of the private and government that are utilized as a reference in the promotion policy.

      • KCI등재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황금숙,김수경,Hoang, Gum-Sook,Kim, Soo Kyo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3

        현 정부에서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핵심 교육정책으로서 중학교를 대상으로 2013년도부터 자유학기제를 도입하여 2016년에는 모든 중학교에서 전면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생, 교사, 학부모, 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독서문화 프로그램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 자율과정 구성에 따른 4가지 영역(진로탐색활동, 동아리활동, 예술 체육활동, 주제선택활동)의 도서관 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he government introduced a free semester in 2013, current targets middle school education as a core policy for nurturing creative talent, the year 2016 has been carried out in front of all middle school.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spread the library-based reading culture program model for free semester. In this study, for which students, teachers, parents, conducted a survey of the reading culture program requirements librarian. A library-based reading program of free cultural self-semester course four are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group activities, arts and sports activities, theme activities select) was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