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Helpful and Unhelpful Messages for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Hyegyu Lee(이혜규),Hanna Joo(주한나),Hee Sun Park(박희선)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35명의 한국인 여성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주변에서 그들이 들은 메시지 가운데 도움이 되었던 메시지와 도움이 되지 않았던 메시지가 무엇인 지를 조사했다. 유방암 환자들은 낙관적 관점을 제시하는 메시지를 가장 빈번히 들었으며, 가장 듣기 원하는 메시지라고 응답했다. 질병의 정도나 영향을 경감시켜 제시하는 메시지 역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들의 가족들이 유방암의 책임을 나누어 가지거나 죄책감을 표현한다는 결과는 한국 문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 유방암 환자들을 위로할 수 있는 문화 특이적 메시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We examined helpful and unhelpful messages that 35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commonly received. Messages providing optimism were the most frequently received type; the majority of the interviewees wanted to receive more of that type. Interviewees considered minimization of disease extent or impact helpful. Another finding unique to Korean culture is that family members express their share of responsibility for, and guilt feelings about, the interviewees being afflicted with breast cancer.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increase our knowledge of culture-specific comforting messages for Korean cancer patients.

      • 보살핌 노동을 중심으로 한 성통합적 정책의 방향 : 미국과 스웨덴의 보살핌 노동 지원 정책 중심으로

        주한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사회복지 학생연구논총 Vol.1 No.-

        여성의 경제활동의 참여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보살핌 노동에 대한 지원정책의 미비로 인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는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복지국가의 새로운 사회적 위험은 취약한 보살핌의 사회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사회복지정책의 대응체계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보살핌 노동을 둘러싼 다양한 정책들을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평가하고 성통합적인 보살핌 노동 정책을 모색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살핌 노동 정책을 부모휴가제도, 보육정책, 초기 아동급여, 근로시간규정을 중심으로 미국과 스웨덴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각 국가의 사례에 대해 Fraser(2000)의 3가지 유형, 즉'보편적인 생계부양자 모델', '보살핌 제공자 중심 모델, '보편적 양육자 모델'을 기준으로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성통합적 보살핌 노동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has increased, but women who have children face barriers to full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because of institutional inertia in care work policies. New social risks in welfare states are related to vulerabilities in these labor markets, weakening of employ-ability, and employment-access limit due to responsibility for family-care. Thus, it is very significant study to examine various care work policies, and estimate them from feminist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re work policies of United States and Sweden focusing on parental leave policies, child care policies, early childhood benefits, and working time regulations and suggest desirable care work policies to pursue gender-equality. This study described the cases of United States and Sweden, and examined their care work policies using Fraser's (2000)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 for gender-integrating care work polic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