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병동 중심의 처치수가 산정지침 개발’ 등을 통한 간호업무 표준화 및 그 효과

        한혜정,설미진,김영주,박소영,박아리스,문한경,이현영 한국의료QA학회 2009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5 No.1

        문제: 병동 처치수가 산정 부정확 및 누락으로 인한 부적절한 재고관리로 진료차질, 불필요한 업무발생 및 수익이 감소한다. 목적: 병동 처치수가 산정 정확화를 위한 업무 표준화 도구 및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정 재고관리를 통한 수익증대 및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의료기관: 서울시 종로구에 소재한 대학병원 질 향상 활동: 병동중심의 처치 산정지침 개발 및 수가물품의 적정재고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개선효과: 병동중심의 처치수가 산정 지침서를 제작하여 업무표준화를 기하였음. 응급청구 품목 및 수량이 ’07년 대비 71%감소하고 타 병동 차용품목이 활동 전에 비해 61% 감소, 수량은 77% 감소함. 응급청구 총소요시간이 활동 전에 비해 ’07년 대비 77% 감소하고 타 병동 차용 총 소요시간이 61% 감소함. 전년 동기간 대비 수익이 4% 증가하였으며 또한 54병동과 보험 심사팀에서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가 향상되었다.

      • 간세포암의 고주파 열치료 후 천자침 경로를 통한 전이 1례

        조영완,박석주,진한영,김준영,이재익,강명주,박정하,윤정희,박성재,지삼룡,이연재,이상혁,설상영 인제대학교 2006 仁濟醫學 Vol.27 No.-

        Radiofrequency ablation(RFA), as a form of minimally invasive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as become an important treatment modality. Because of limitation of surgery, RFA has become standard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in some situations. But there are some complications of RFA such as bleeding, infection, hematoma, adjacent organ thermal damage including intestinal perforation, needle track seeding, and so on. There are few reports in the literature that systematically evaluate the incidence of needle tract seeding and its associated risk factors. And only 2 cases of needle tract seeding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RFA were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needle tract seeding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RFA.

      • Multiple myeloma 환자에서 Bortezomib치료 후 발생한 마비성 장폐색증 1례

        김준영,이원식,손창학,박성길,진한영,박석주,조영완,정은욱,강명주,박정하,주영돈 인제대학교 2006 仁濟醫學 Vol.27 No.-

        Bortezomib is the first clinically available proteasome inhibitor that is clinically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multiple myeloma. A proteasome inhibitor acts through multiple mechanisms to arrest tumor growth, tumor spread, and angiogenesis. The main adverse effects of bortezomib are gastrointestinal symptoms, cytopenia, fatigue, and peripheral neuropathy. To date, severe paralytic ileus has not been reported as a toxic effect of bortezomib treatment in multiple myeloma. Bortezomib is a novel agent that has only been used clinically for 30 months, so a need exists to further evaluate its toxicity. We report a case of grade Ⅲ (NCI CTCAE v3.0) or grade Ⅳ(SWOG toxicity criteria) paralytic ileus in a 65-year-old man with relapsed multiple myeloma who underwent one cycle of single-agent bortezomib treatment scheduled in a 21-day cycle (1.3 mg/㎥ as a single i.v. bolus on days 1, 4, 8, and 11).

      • KCI등재후보

        한강하구지역에서 월동하는 재두루미(Grus vipio)의 개체군 감소

        이화수(Hwa-Su Lee),신주열(Ju-Yeol Shin),이시완(Si-Wan Lee),강태한(Tae-Han Kang),윤순영(Soon-Young Yoon),김정수(Jungsoo Kim) 한국조류학회II 2012 한국조류학회지 Vol.19 No.4

        김포시와 고양시 일대의 한강하구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재두루미의 가장 중요한 월동지 및 중간기착지로 알려져 있지만, 이 지역의 조류 서식환경은 심각한 개발압력과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나빠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7-2008년과 2011-2012년의 월동시기에 본 지역에 도래하는 재두루미를 대상으로 월동 개체군 크기 변화와 월동지역 내에서 과거와 현재의 취식지역 이용 현황 등을 조사하여 개발행위가 이들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지역에서 월동하는 재두루미 개체군은 평균 124.9개체(2007-2008년)에서 59.0개체(2011-2012년)로 감소하였으며, 주요 취식지역에서 확인된 개체수는 평균 77.7개체에서 24.1개체로 감소하여 월동개체군의 감소폭에 비해 주요 취식지역의 이용 개체수의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유형별 분석에서는 가족군에 비해 무리군의 개체수가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홍도평 지역의 가족군 이용 개체수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Mann-Whitney test. Z=-0.26, p=0.979). 그리고 과거 다수의 재두루미가 주요 취식지역으로 이용하였던 송포동과 평동지역은 2012-2013년 조사에서는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 지역의 개발행위(예: 제 2자유로 건설 등)와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Han-river estuary in Gimpo and Goyang city is well know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wintering and stopover sites for migrating White-naped Crane (Grus vipio) in Korea. Nowadays, habitat quality of this area is getting worse due to serious development pressure and high human disturbances. So, we wanted to know whether development actions affected total wintering population change in Han-river estuary and feeding group pattern of White-naped Crane in main feeding habitats between the 2007-2008 and 2011-2012 wintering period. Average wintering population was decreased 124.9 to 59.0 and population of main feeding site also decreased 77.7 to 24.1. But decrease rate of main feeding site population was higher than total wintering population. Non-family feeding population was more decrease than family feeding population in the flock type analysis. But family feeding population of Hongdopyong was maintained from past and present (Mann-Whitney test. Z=-0.26, p=0.979). However, almost all White-naped Crane din not use both feeding sites, Pyong-dong and Songpo-dong, where were deteriorated habitat quality by human act.

      • SCIESCOPUSKCI등재
      • 회맹장 판막에 발생한 아니사키스증 1례

        이재익,박정하,김준영,조영완,진한영,강명주,정은욱,박석주,양성연 인제대학교 2006 仁濟醫學 Vol.27 No.-

        Anisakiasis refers to parasitic infestation by nematode larvae that belongs to the subfamily Anisakinae, and this condition is seen in people who eat inadequately prepared or raw salt-water fish. While gastric anisakiasis is commonly diagnosed by endoscopic technique, intestinal anisakiasis is rare because it is less common and the clinical and radiologic features are poorly understood.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human anisakiasis involving the ileocecal valve in 62-year-old man who had the history of eating raw cuttlefish.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우울 증상을 수반한 만성 정신분열병 입원환자에서의 Paroxetine 효과 : 이중맹검 위약대조 연구

        한평주,백영석,오상우,전현태,김지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연구목적: 우울 증상이 있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항정신병약물과 항우울제인 paroxetine 20mg을 병합 투여하여 우울 증상, 양성 증상, 음성 증상 및 일반적인 정신병리의 호전 여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DSM-IV 기준상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입원환자 중 우울 증상이 있는 49명을 대상으로 parox-etine과 위약을 이중맹검을 대조한 전향적 임상 연구로서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ESRS), UKU side effect rating scale(UKU),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을 기저선과 1주, 2주, 4주, 6주의 시점에서 다섯 번 반복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36명의 환자가 6주간의 실험을 마쳤다. Paroxetine군과 위약군을 비교해볼 때 HRSD 총점은 양군에서 의미있게 감소되어(p<.01) 우울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시간경과에 따라 항우울 효과는 paroxetine 군에서는 2주, 위약군에서는 4주 후부터 관찰되었다. 그리고 paroxetine군과 위약군 모두 PANSS 총점(p<.01)과 CGI 점수(p<.05)가 감소되어 전반적인 정신병리의 감소와 전체적인 임상적 호전을 보였으나, 두 군에서 양성 증상, 음성 증상, 일반적인 정신병리 그리고 약물 부작용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Paroxetine군에서 반응군고 비반응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반응군이 비반응군보다 HRSD의 총점(p<.01)과 우울한 기분, 자살, 정신적 불안, 죄채감의 세부 항목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p</01),일과 활동, 초기 불면증, 건강염려증의 세부 항목이 호전되어(p<.05) 현저한 우울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또한 반응군이 비반응군보다 BPRS 총점(p</01)과 PANSS의 일반적인 정신병리 점수(p<.05)가 낮게 나와, 일반 정신병리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Paroxetine군과 위약군 모두에서 우울 증상의 감소가 있었지만, paroxetine군에서 항우울 효과가 빠르게 나타났다. 두 군간에 양성 증상, 음성 증상, 일반적인 정신병리와 부작용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 Paroxetine군에서 반응군은 비반응군보다 우을 증상과 일반적인 정신병리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즉 우울한 기분, 자살, 정신적 불안, 죄책감, 일과 활동, 초기 불면증, 건강염려증이 심한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우울 증상을 회복시키는데 paroxetine 20mg의 병용 투여가 효과가 있었다. Objectives: This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improvement of depressiv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and general psychopatholgy in depressed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with adjunctive paroxetine 20mg therapy in the morning. Methods: Forty nine chronic schizophrenic inpati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were randomly received adjunctive paroxetine of placebo for 6 week study period. Therapeutic effect and side dffects were evaluated by means of the Hamiltom Rating Scale for Depression(HRSD),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ESRS), the UKU side effect rating scale(UKU), an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 at baseline, first, second, forth, and sixth week of treatment in a controlled double-blind design. Results: 18 patients completed six weeks of paroxetine therapy, and 18 patients placebo therapy. 1) Comparison between paroxetine and placebo groups: (1) HRSD total scores in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 groups. This study showed that significant effect in paroxetine group appeared at 2nd week of treatment(p<.01), while in placebo group at 4th week of treatment(p<.01). (2) PANSS, BPRS< CGI, ESRS, and UKU : In both groups, PANSS total scores and CGI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spectively(p<.01, p<.05) and thus indicated th im-provement of global psychopathology and entire effe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2 groups in positive, negative symptoms, general psychopathology, and drug side effects. 2) Comparison between responding and nonresponding groups in paroxetine adjunctive therapy : (1) Compared with nonresponding group, responding group had significant decrease in HRSD total score(p<.01), in HRSD subitems such as depressed mood, suicide, psychic anxiety, and feelings of guilt(p<.01), and in other subitems such as work and activity, early insomnia, and hypochondriasis(p<.05). (2) Compared with nonresponding group, responding group had significantly decrease in BPRS total score(p<.01) and in general subscale of PANSS(p<.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paroxetine and placebo groups were improved in depressive symptoms, but paroxetine group had more rapid improvement than placebo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symptoms, negative symptoms, general psychopathology, and drug side effects between two groups. Compared with nonresponding group in paroxetine adjunctive therapy, responding group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epressive symptoms and general psychopath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