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漢代 莫府의 機能

        金翰奎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84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44 No.-

        This paper was prepared as part of an effort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power structure during the Han dynasty. I think it will be possible to find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Han stat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erial power and the Mu-fu, because the Mu-fu had sometimes participated in Imperial power as a part and occasionally as an opposition. Hence, the character of the state was changed. Until now few scholars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Mu-fu, so it has scarcely been researched.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gain som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historical meaning and function of the Mu-fu. The findings about the Mu-fu in the Han dynasty, found in such historical records as 'Shi-chi'(史記), ?Han-su'(漢書), ?Hou-han-su'(後漢書), ?San-kuo-chi'(三國志), and so on, are as follows: (1) The Mu-fu fundamentally means an assistant means supporting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Chiang-chun(將軍; general). That is to say, it was an administrative office which had taken charge of such affairs as application of the martial law or the military command, supplying provisions, and appointing officers. (2) The second function of the Mu-fu was that of participant in the second role of the Chiang-chun, namely assistance to the throne. So it was a political organization that framed the state policies and offered political ideas to the Ching-chun. (3) The third responsibility of the Mu-fu was the election of the bureaucracies. The Mu-fu of the Chiang-chun in the Han employed a special system, recommending the governmental bureaucracies to the Emperor. (4) The fourth function of the Mu-fu was that of central power machinery of the independent government established by the Ching-chun. In this case, the Chiang-chun was one member of the bureaucracy in theory, but an independent power in fact. Through understanding those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Mu-fu, we can measu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erial power and the power of the Chiang-chun-mu-fu(將軍幕府). Especially through seizing the developmental steps of those functions and meanings, we can understand the change of course in the power structure. The first function of the Mu-fu was originated in the anti-Ch'in(秦) period, the second function in the pose-Han-Wu-ti(漢武帝)period, the third in the early Later Han (後漢) dynasty, the fourth in the end of the Later Han dynasty. These developmental steps show us that the self-regulative power of the Mu-fu had been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the unificative power of the Han state had been disrup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time. In conclusion, the Mu-fu in the Han dynasty was a contradictory being that had been a part of the state power-and concurrently disrupted it.

      • 환경분석기반 한옥 시공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김미경(Mi Kyoung Kim),전한종(Han Jong Jun) (사)한국CDE학회 2011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

        Han-ok has a long history and cultural traditions. It has green and healthy and culture but high construction costs,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residential and vulnerable to fires and have a weakness for maintenance. However, modernized resident housing, Han-ok is required to improve in terms of environmental aspect due to its weakness for insulating and inconvenience for modern era. Also Han-Ok"s building is criticized as a huge dependence on subjective building experiences. This is pointed to be the biggest problem, Han-ok has. Traditionally it does not have a scientific and specific manual for construction. In this research, process simulation was adopted to develop Han-Ok"s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terms of LCC(Life Cycle Cost) aspect, however, Han-Ok"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o suggest an appropriate Han-Ok construction method. Als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ould be utilized to base the information database for efficient constructing and its management in new Han-Ok constructing industry.

      • KCI등재

        환경분석기반 한옥 시공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김미경(Mi Kyoung Kim),전한종(Han Jong Jun) (사)한국CDE학회 2011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16 No.4

        Han-ok has a long history and cultural traditions. It has green and healthy and culture but high construction costs,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residential and vulnerable to fires and have a weakness for maintenance. However, modernized resident housing, Han-ok is required to improve in terms of environmental aspect due to its weakness for insulating and inconvenience for modern era. Also Han-Ok"s building is criticized as a huge dependence on subjective building experiences. This is pointed to be the biggest problem, Han-ok has. Traditionally it does not have a scientific and specific manual for construction. In this research, process simulation was adopted to develop Han-Ok"s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terms of LCC (Life Cycle Cost) aspect, however, Han-Ok"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o suggest an appropriate Han-Ok construction method. Als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ould be utilized to base the information database for efficient constructing and its management in new Han-Ok constructing industry.

      • 한국복음주의신학의 어제와 오늘

        김영한(Yung han Kim) 혜암신학연구소 2014 신학과교회 Vol.2 No.-

        1920년대 당시 프린스턴신학교에서의 보수파와 진보파 사이의 신학논쟁이 10년 후인 1930년대 한국교회에서 부분적이긴 하나 재현되었다. 1930년대 한국장로교 안에 일어난 신학 논쟁이란 정통주의 신학자 박형룡이 김재준의 신정통주의 신학을 자유주의 신학이라고 비판한 데서 야기되었다. 초창기 한국신학형성기의 신학논쟁을 오늘의 관점에서 보면 자유주의와 신정통주의 사이의 구분이 명확히 되지 못하고 혼동되었다. 죽산은 북장로교 선교사들을 통하여 한국장로교와 평양신학에 뿌리 내린 정통주의를 지키는 것을 사명으로 생각했다. 장공은 “신앙 양심의 자유로운 신학”의 입장에서 학문의 자유로운 연구와 성경적 복음적 신앙을 조화시켜나가는 온건한 신정통주의 신학의 입장을 추구하였다. 장공이 죽산의 비판을 받게 된 데는 단지 죽산의 근본주의적 성경관과 전투적 복음주의 사고에만 기인하는 것으로만 볼 수 없고 장공의 정통신학과 선교사들에 대한 혐오증과 강한 비판에도 기인한다. 김재준이 정통주의를 거부한 것은 기독교 근본진리의 부정이 아니라 통조림 같이 폐쇄된 보수주의적 사고방식에 대한 거부였다. 장공은 자유주의 신학을 추구한 것이 아니라 정통주의적 폐쇄주의에서 벗어나 개방적인 입장과 양심의 자유를 존중하는 태도에서 기독교 진리를 추구하고자 했다. 죽산은 후기에 들어 분리적이고 폐쇄적인 신근본주의로 나아갔다. 죽산과 장공의 공통점은 복음적 신앙이다. 차이는 죽산의 정통신앙 존중과 장공의 학문의 자유 존중에 있다. 양자의 차이는 오늘날에는 보다 넓은 복음적 신앙 안에서 극복될 수 있다. The theological controversy between conservatⅣes and liberals in the Princeton Seminary in the 1920s repeated in the Korean church, though partly, in the 1930s. This controversy occurred due to the incidents that Park Hyungryong accused Kim Jaejoon’s neoorthodoxism of liberal theology. According to the recent Ⅵew of this incident, the distinction between liberals and neo-orthodoxy was not clear and confused. However, Park thought it was his mission to keep the orthodoxy, which had been planted by missionaries in the Korean church. On the other hand, Kim sought the neo-orthodoxy harmonizing the freedom of research with Biblical faith in terms of open theology based on the conscience of faith. Park’s criticism on Kim was not only due to Park’s fundamentalist Ⅵew of Bible and combat evangelicalism, but also due to Kim’s hostile attitude and criticism on missionaries and orthodox practices. Kim’s refusal of the orthodoxy was not the rejection of Christian basic truth, but of the “canned, closed” mentality of conservatism. He intended to seek the Christian truth with the attitude of respecting the freedom of conscience and that of surpassing the orthodox closedness. Park fell into the separated and closed neo-fundamentalism in the later period. What Park and Kim have in common is the evangelical fa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Park respects the orthodox faith while Kim the academic freedom. Such a difference is believed to be overcome today in the spectrum of the broad evangelical faith.

      • KCI등재

        한옥의 특징기반 형상모델링 및 매개변수형 BIM 라이브러리 브라우저 개발에 관한 연구

        김인한(Kim In-Han),박승화(Park Seung-Hwa),이지아(Lee Ji-Ah) 대한건축학회 201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8 No.5

        Since Han-ok, the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is composed with combinations of complex components in various shapes and sizes, it is essential to categorize the components into several types for digitalization of Han-ok information. This study applied feature-based classification using BIM parametric modelling methods. After investigating ‘Parameter and Formula relations’, ‘Parametric description’ and ‘Instance diagram’ of Han-ok components, the study established XML libraries for the parametric modelling of open BIM. The IFC-XML libraries include parametric and properties information as well as the geometric information of Han-ok. For the combination of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geometry, the study also suggested a new methodology of using ‘comments’ inside IFC, which enabled interworking between IFC and XML. A prototype of BIM browsing module was developed in the last phase of this study to validate the conformance of the IFC-XML libraries. This integrated browser for Han-ok allows the users, both experts and non-experts, to check and manipulate Han-ok component fabrication by changing specific parameters promptly. The browser successfully showed automatic changes of all related Han-ok el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arameters, relationships and formulas of components.

      • KCI등재

        소설과 기억의 정치학

        김한식(Kim Han-sik) 한국비평문학회 2009 批評文學 Vol.- No.31

        The greater part of the readers in south Korea are embarrassed at current north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Imperishable History." Because we cannot conclude whether "Imperishable History" is novel or history. And we do not admit "Forming the leader" in north Korean literature. We are unfamiliar with their writing and distribution system. Many man of letters think "Imperishable History" is not literature. "Eternal life"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novel in "Imperishable History." It includes the story of the death of Kim, Il-sung and his last injunctions. But it do not have enough causal relationship and persuasive power. So we must read that text as the mirror of the north Korean history between 1994-1997. Three main topics are in this novel. The first is agricultural problem. The second is nuclear crisis. That is related to diplomatic, this is related to domestic. The third is restoration problem of a royal tomb of Dankoon. "Imperishable History" turns individual memory to official memory. It treats the history of Kim, Il-sung as the north Korean history. When a historical event occurred, always, Kim was there. Although it deal with the death of Kim, "Eternal Life" emphasize that his rule is not finished. The narrator says Kim's heroic deed is on his mind, and it is the real meaning of eternal life. It'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ir novel. But we can admit that "Imperishable History" is not representative of all north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고구려의 건국과 현도군

        김성한 ( Kim Sung-han ) 호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4 No.-

        前漢 武帝는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1년 뒤인 기원전 107년에 沃沮城을 치소로 하여 玄菟郡을 설치하고, (제1현도군), 沃沮와 濊貊 지역을 그 영역으로 했다. 기원전 75년 직전 遼東의 烏桓이 반란을 일으키자, 前漢은 三輔 및 郡國의 불량소년과 죄지은 관리를 징발하여 遼東에 주둔하게 하고 遼東에 玄菟城을 쌓고 현도군을 옮겨와 (제2현도군) 烏桓의 침입에 대비했다. 제2현도군은 토착세력인 句驪가 위치한 지역에 자리했기 때문에 句驪의 이름을 따서 그 지역을 句驪縣이라 하고 郡의 治所로 삼았다. 토착세력인 句驪는 前 漢으로부터 처음에는 縣級인 ‘侯’로 대우받았다가, 桓帝 때 烏桓이 투항하자 그 공로를 인정받아 桓帝의 뒤를 이은 元帝 建昭 2년(B.C. 37)에 郡級인 ‘王’으로 승격된 것으로 보인다. 『三國史記』에서 고구려가 기원전 37년에 건국된 것으로 표방한 것도 이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때 句驪는 前漢으로부터 ‘高’를 姓으로 사여 받아 국호를 句驪에서 高句驪로 변경했을 것이며, 前漢은 高句驪王에게 그 신분에 걸맞게 鼓吹伎人과 朝服을 사여했던 것이다. 이때 玄菟郡의 句驪縣도 高句 驪縣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전한 말기의 상황을 전하는 『漢書』 地理志에 高句驪로 기재되었던 것이다. 그 뒤 고구려는 新나라를 건국한 王莽이 자신을 징발하여 匈奴를 정벌하려 하자, 기원후 12년 무렵 이에 반항하여 제2현도군의 경계를 벗어나 자립했다. 新나라의 뒤를 이은 後漢은 자립한 高句驪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王’의 호칭을 인정하고 제2현도군의 동쪽 경계에 幘溝漊라는 작은 城을 쌓아 高句驪로 하여금 歲時에 朝服과 衣幘을 가져가게 했던 것이다. e year after destroying Gojoseon, in 107 BC, Emperor Wu of the Western Han Dynasty, established Hyeondo (Xuantu) Commandery (First Hyeondo Commandery) with Okjeo Fortress as its ruling place, and put Okjeo and Yemaek under its jurisdiction. Shortly before 75 BC, when the Wuhuan of Liaodong revolted, the Western Han drafted delinquent youths and criminal officials from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areas into the army and stationed them in Liaodong. It also relocated Hyeondo Commandery to Liadong (Second Hyeondo Commandery), with the construction of Hyeondo Fortress there to prepare against the invasion of the Wuhuan. As the Second Hyeondo Commandery wa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Guryeo, the indigenous tribe, resided, the area was named Guryeo County after this tribe and made the ruling place of the commandery. Guryeo was initially treated as a “hu,” which was equivalent to a county, by the Western Han, but as the Wuhuan surrendered during the reign of Emperor Huan, it was promoted to a “wang” (principality) that corresponded to a commandery in recognition of its contribution to the victory in 37 BC (second year of Jianzhao) during the reign of Emperor Yuan who succeeded Emperor Huan. This may be the reason why it is recorded in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at Goguryeo was founded in 37 BC. Around this time, the Guryeo was given “Go as their surname from the Western Han and changed their country’s name from Guryeo to Goguryeo, with musicians and performers granted by the emperor in celebration or its elevated status. At this time, the name of Guryeo County in Hyeondo Commandery was also changed to Goguryeo County, which appears in the “Treatise on Geography of the Book of Han that describes the situation of the late Western Han. Then, when Wang Mang, the founder of the Xin Dynasty, tried to subjugate the Xiongnu by mobilizing the people of Goguryeo, it rose up against the policy around 12 AD and became independent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Second Hyeondo Commandery. The Later Han Dynasty that succeeded the Xin Dynasty, recognized the title of wang” to maintain relations with the independent Goguryeo, and built a small fortress called Chaekguro Fortress on the eastern border of the Second Hyeondo Commandery where it bestowed o&cial uniforms, clothes and headwears on the people of Goguryeo at special occasions.

      • KCI등재

        「무녀도」읽기 : 환경 비평의 시각에서

        김한성(Kim Han Sung) 문학과 환경학회 2010 문학과 환경 Vol.9 No.2

        Eco-criticism tends to be defined as “the study of nature writing by way of any scholarly approach or, conversely, the scrutiny of ecological implications and human-nature relationships in any literary texts” (Slovic, 27). Examining the negoti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has tackled the field of Korean “pure” literature called Sunsumunhak. These writers advocate the purity of literature by turning their eyes to nature from socialist realism or Western “modernism.” Kim, Dongni(1913-1995) represents this flow of literature when Japanese colonial rule controlled Korean literary circles in late 1930's and early 1940s. His representative work, “The Shaman Painting”(1936) describes the atmosphere of Korean nature in a remote village near Gyeongju, the ruined capital of ancient Korea. In this fiction, Kim attempts to reinvigorate shamanism as Korean tradition against Western religion, Christianity. He treats Christianity as an unwelcome guest which persecutes shamanism. For this reason, literary critics tend to understand this work as a religious struggle between East and West. This point of view is plausible; however, his obsession with shamanism seems to divert from a religious category. I want to explore Kim's obsession with shamanism from an ecological and feministic perspective. The death scene of a heroine, a shaman, and fictional characters' and a narrator's ruined identity enlighten me that these characters are deeply connected with nature, stage, and background. Thus, I explore how human beings negotiate with the nature in “The Shaman Painting.” Then, I examine the essence of the Korean spirituality that Kim portrays here.

      • KCI등재

        「『拙藁千百』 譯註」(7) : 권1「金文正公墓誌」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진한(Lee, Jin-Han),김보광(Kim, Bo-Kwang),김규록(Kim, Kyu-Rok)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5

        『졸고천백』은 2권으로 된 최해의 문집이다. 최해는 주로 고려에서 활동하다가 정치적으로 소외되어 크게 현달하지 못하고 40세 정도에 은퇴하였다. 그는 대신 이제현, 이곡, 최문도 등 당대 최고의 문인과 교유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졸고천백』중 권1의 15번째 글인「김문정공의 묘지」라는 글의 특징을 살피고, 번역 및 주석의 작업을 하였다. 이 글은 고려후기의 인물인 김태현을 위한 묘지명이다. 1261년에 태어난 김태현은 1276년(충렬왕 2)에 과거 급제한 이래 1330년에 사망할때까지 거의 대부분의 시기를 관원으로 활동하였다. 이 시기에 고려는 충렬왕과 충선왕의 重祚, 충선왕의 활동 및 토번 유배, 입성책동 등 굵직굵직한 정치적 사건을 겪었다. 이러한 정치상황에 따라 그는 관직 경력 상의 부침을 겪었는데, 「김태현묘지명」에서 주목되는 몇 가지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아버지인 김수에 대한 기록이 주목된다. 삼별초가 제주도로 들어가려 할 때 제주로 파견되어 이를 막으려다 전사하였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2) 김태현이 1280년에 충렬왕이 직접 선발한 시험에 합격하여, ‘전시문생’이라 불리면서 충렬왕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3) 그래서 충선왕이 1298년에 즉위하였을 때 그가 면직되었다는 사실 등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경력을 이 묘지명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Cholgo Ch"onbaek is a two-volume anthology of Choi Hae. He mostly worked in Goryeo, then later became politically isolated and made an early retirement at around 40 without significant achievement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pitaph for Kim Tae-hyun,’ the 15th entry in the book, and translated and annotated the original text. Mr. Kim was born in 1261,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276, and served as a government official most of his life until his death in 1330. This was a politically turmoil period that saw the enthronement, dethronement, as well as reinstatement of King Chungryeol and King Chungseon, the exile of King Chungseon to the present-day Tibet (Tobun at the time), the Mongol intervention in the Goryeo territory. Amid these political unrest, Mr. Kim’s career fluctuated as well. Some of the events are recorded in the work, which cannot be found elsewhere: 1) His father Su Kim is mentioned, who was dispatched to Jeju Island and killed there while trying to keep Sambyeolcho(a special capital defense unit) from entering the island. 2) Mr. Kim passed a state test directly overseen by King Chungryeol in 1280, and worked as a close aide to the king with a title Jeonsi-munsaeng(king"s students). 3) He lost his post when King Chungseon was enthroned in 1298. 4) The record shows that in the early 1300s, the Yuan dynasty operated 11 stations between Gaepyung and Gamsukseong.

      • 최근 5년간 한국 의학드라마에 나타난 간호사 이미지와 역할 수행에 대한 연구

        김정은 ( Jeong Eun Kim ),정희정 ( Hui Jung Jung ),김한나 ( Han Na Kim ),손승윤 ( Seung Yoon Son ),안슬기 ( Seul Ki An ),김샛별 ( Saet Byeol Kim ),손정은 ( Jung Eun Son ),이의진 ( Eu Gine Lee ),이효원 ( Hyo Won Lee ),정민경 ( Min K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1. 역할비중 본 연구의 등장 인물별 분석은 기타인물을 제외한 총 2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진행되었고, 이 중 10명(50.0%)의 역할이 조연, 10명(50.0%)의 역할은 조연보다 노출횟수나 중요도가 적은 주변인물로 등장했다. 아직까지 한국 의학드라마에서 주연은 의사로 고정되어 있었으며, 간호사가 주연으로 나오는 경우는 전무했다. 그러나 극 중에서 조연으로서 중요한 역할의 간호사들이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 예로 드라마 <골든타임>에 등장한 중증외상코디네이터는 응급전문간호사로서보다 전문적인 간호수행들을 보여줌으로써 시청자들이 간호사를 전문 의료인으로 인식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의학드라마 및 일반드라마에서 간호사 이미지를 분석한 Im7)의 연구에서는 총 153개의 역할 (매회마다 등장하는 동일한 간호사를 별개의 표집대상으로 함) 중 6개(3.9%)가 주역으로 등장하기도 했었지만 의학드라마가 아닌 일반 드라마였기 때문에 그 주연의 직업이 간호사일 뿐 실제 의료현장에서 활약하는 전문인으로서의 모습을 대중들에게 많이 보여주지는 못했다.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비록 주연으로 출연한 간호사는 없었지만 드라마의 흐름과 스토리전개 상 주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조연이 50%를 차지하면서, Im7)의 선행연구에 비해 임상현장에서의 간호사의 업무가 재조명되었다고 볼 수 있다. 2. 등장 인물별 분석 1) 등장 인물의 일반적 특성 성별은 총 20명 중 19명이 여자로 나타났다. 하지만 2009년도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에 의한 실제 임상에서의 남자 간호사 비율이 전체 간호사의 1.5%임을 고려해 볼 때, 5%의 비율로 남자 간호사가 등장한 것은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분석한 전체 모수가20명에 불구하고, 이 중 1명의 남자 간호사가 등장하여 5%로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그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남자간호사의 등장은 의미가 있는데, 이는 그 동안 우리나라 드라마 속 남자 간호사의 대표적인 이미지가 시트콤<순풍산부인과(1998~2000)>에서 여자 흉내를 내던 ‘표 간호사’라는 인물로 굳어져 있었지만, <종합병원2>에서는 그 동안의 이미지를 벗고 남성으로서 간호사의 역할을 충실히 해내는 응급실 간호사의 모습으로 그려졌기 때문이다. 연령 면에서 20대 간호사가 많이 등장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미혼이 기혼보다 많이 묘사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결혼상태에서 11명이 ‘알수없음’으로 결혼 유무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직급 면에서는 일반 간호사가 13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수간호사는 <골든타임>을 제외한 모든 드라마에서 등장하였다. 그 외에 가장 최근 의학드라마인 <골든타임>에서는 중증외상 코디네이터와 같이 전문직으로서 간호사 새로운 모습을 그려낸 경우도 찾아볼 수 있었다. 2) 등장인물의 외적 특성 용모 면에서 ‘매력적’이 45.0%, ‘보통이다’가 55.0%를 차지하였으나 ‘못생겼다’는 단 한 건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Im7)의 분석 결과(매력적: 39.9%; 보통이다: 58.2%; 못생겼다: 2.0%)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체격 면에서는 선행연구(말랐다: 16%; 보통이다: 83%; 뚱뚱하다: 0.7%)와 다르게 ‘말랐다’가 60.0%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는 이상적인 몸에 대한 사회적 취향의 형성이 한 사회에 속한 개인들의 자발적인 선택이나 선호로 받아들이게 되는 과정이라고 보는 사회문화적 접근10)에서, 최근 마른 몸매를 선호하는 사회적 취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의상이 ‘단정하다’가 95.0%나 차지한 것은 선행연구인 Im7)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단정하다: 78.4%; 보통이다: 17.6%; 불결하다: 3.9%)이다. 이렇게 독보적인 우위를 점한 ‘단정한 간호사’의 이미지는 간호이미지 실행에 대한 연구11)에서 ‘용모가 깨끗하고 단정하다’는 항목의 집단간 평점 우선순위가 병원 직원과 일반인에서 1위, 의사집단에게서 2위로 높게 측정된 결과와도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드라마가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간호사에 대해 갖는 관념과 인상을 반영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3) 등장인물의 성격특성 성격특성을 분석한 결과 11개의 특성 모두에서 ‘중립’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극중 간호사의 역할이 실제로 중립적인 특성을 많이 나타내기도 했을 뿐 아니라, 어떤 사건이나 갈등을 이끌어가는 주연이 아니고 상대적으로 성격이 분명하게 표출되지 않는 조연 및 주변인물이기 때문이라고도 사료된다. 첫 번째 특성에서 ‘강인하다’가 7개의 역할(35.0%)을 차지 해 1개 역할(5.0%)을 차지한 ‘연약하다’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선행연구7)에서는 ‘연약하다’가 59.5%, ‘강인하다’가 13.7%를 차지하여 드라마에 묘사된 간호사가 수동적이고 연약한 여성으로 묘사되고 있다고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강인한 이미지가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 특성에서는 간호사가 수동적(4개 역할, 20.0%)이기 보다는 능동적인 성격(6개 역할, 30.0%)으로 묘사되었다. 즉 간호사가 의사의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는 하나, 능동적인 면모를 보이는 역할로 더 많이 그려진 것이다. 세 번째 특성에서는 ‘상냥한’ 성격이 8개 역할로 40.0%, ‘권위적인’ 성격이 2개 역할로 10.0%를 차지하여, Im7)의 선행연구에서 상냥하기(24.2%) 보다 권위적으로(36.6%) 나타난 결과와 상반되었다. 네 번째 특성에서는 ‘합리적이다’가 2개의 역할로 10.0%, ‘감성적이다’가 3개의 역할로 15.0%, ‘중립’이 15개 역할로 75.0%를 차지하여, 합리적이기보다 감성적인 모습으로 그려지며, 이성적인 모습과 감성적인 측면이 적절히 잘 조화된 중립적인 모습으로 주로 묘사되고 있었다. 다섯 번째 특성에서 ‘엄격하다’는 2개 역할로 10.0%, ‘자애롭다’가 3개 역할로 15.0%를 차지하여, 선행연구7)의 자애롭기(16.3%)보다 엄격했던(39.2%) 이미지에 비해 비교적 자애로운 경향을 보였다. Im7)은 Kalisch와 Kalisch6)의 오락매체에 나타난 간호사, 의사 비교분석연구에서 간호사가 의사에 비해 지적, 합리적, 이기적이지 못하다고 언급한 것을 인용하면서, 그의 연구결과도 ‘비지적’인 성격이 29%를 차지하여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비지적이다’는 3개 역할(15.0%)로, 7개 역할(35.0%)을 차지한 ‘지적이다’보다 낮은 비율을 차지하여 간호사는 비교적 지적인 이미지로 묘사되었다. Kim과 Kim12)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간호사는 ‘늘 바쁘게 일하는 직업’이라는 이미지를 가지면서도 가치 있고 보람된 일을 수행한다고 인지한다고 분석했다. 반면 Im7)의 연구에서는 ‘헌신적’이 5.2%인데 반해 ‘이기적’인 성격특성이 32%로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기적이다’가 2개 역할(10.0%)을 차지한 것에 반해 ‘헌신적이다’가 4개 역할(20.0%)을 차지하여, Kim과 Kim12)의 연구결과와 부합하는 면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덟 번째 특성에서는 ‘복종적이다’가 5개 역할로 25.0%를 차지하여, 3개 역할로 15.0%를 차지한 ‘공격적이다’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두 번째 특성에서 전체적으로 수동적이기보다 능동적인 경향을 나타낸 데에 반해, 갈등상황에서는 공격적이기보다 복종적인 경향을 보이는 모습으로 묘사된 것이다. 아홉 번째 특성에서는 2개 역할(10.0%)이 경쟁적인 성격, 6개역할(30.0%)이 비경쟁적인 성격으로 나타나, 주로 갈등관계의 중심에서 경쟁적인 성격으로 묘사되는 의사들과는 달리, 간호사는 경쟁적이기보다 비경쟁적인 성격으로 묘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 번째 특성에서는 ‘현실적이다’가 7개 역할(35.0%)로, 2개 역할로 10.0%를 차지한 ‘비현실적이다’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비현실적인 성격(11.8%)보다 현실적(45%)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는 Im7)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였다. 끝으로 ‘냉정한’ 성격을 나타낸 역할은 없었으며 ‘동정적’인 성격이 8개 역할(40.0%)을 차지하였다. 3. 장면별 분석 1) 활동내용 가장 많이 나타난 활동내용은 ‘환자 관련 의사소통’으로 총 240회(24.4%)를 차지하였다. 환자 관련 의사소통은 타 의료인과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대화 장면을 말하는데, 여기에서 타 의료인은 주로 의사인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드라마 상에서 간호사는 의사의 오더를 받거나, 의사에게 환자의 상황을 보고하는 모습으로 주로 그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은 의학드라마의 주연이 의사이기 때문에 드라마 전개상 주연과의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므로 나타난 결과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적인 대인관계’가 222회(22.6%)를 차지하였다. 등장인물들의 상황과 갈등 관계를 보여주는 장면들로, 의학드라마라 할지라도 극의 전개 상황을 보여주기 위해 많은 부분이 할애된 것으로 보인다. 세번째로 많은 활동내용은 ‘치료 협조’로 73회(7.4%)로 나타났다. 전문간호사가 등장하는 <뉴하트>와 <골든타임>의 몇몇 장면을 제외하면, 치료 협조는 의사의 회진참여나 처치 및 진료보조, 외래지원 등이었다. ‘투약·물품·기구 준비’는 50회로 5.1%를 차지하였다. 주로 의사의 처치에 이용될 물품 및 기구를 준비 및 정리하는 장면으로, 간호사가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독자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보다는 주로 의사의 치료행위 관찰 혹은 병원의 물품과 기구를 준비하고 정리하는 역할로 그려지고 있었다. ‘회의 및 병동보고’는 43회로 4.4%를 차지하였다. 간호사가 병동 회의를 주도하는 경우는 없었으며, 의사에게 병동 및 환자의 상황을 보고하는 역할로 나타나고 있었다. ‘수술간호’는 41회로 4.2%를 차지하였다. 의학드라마는 의학적 응급상황 혹은 생명에 긴박한 영향을 미치는 순간을 극적 상황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종합병원 중에서도 외과 계열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주로 다루게 된다.13) 본 연구의 5편의 드라마에서도 산부인과, 응급의학과, 흉부외과, 응급실 및 중증 외상센터 등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으며, 수술 장면은 모든 드라마에서 등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술간호 장면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본 연구가 관찰 대상을 조연과 주변인물로 한하였기 때문이다. 수술장에서 수술 장면을 위해 일회성으로 등장하는 간호사는 극중인물이라기 보다 병원이라는 환경을 묘사하기 위한 장치로 파악하여 관찰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수술 전 과정을 이해하고 수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집도의에게 수술도구를 전해주는 역할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기록관리’, ‘관찰 및 측정’, ‘개인위생과 이동’은 각각 4.1%, 2.5%, 2.4%를 차지하였는데, 의미가 있는 의료행위로써의 기록관리와 관찰 및 측정 등이 행해진 장면은 드라마 상에서 환자의 상태가 위급하게 악화되어가는 경우 의사에게 보고하기 전에 환자를 사정하는 모습으로 극히 소수였고, 대부분은 의학드라마라는 극 배경 상 일상적인 모습의 일환으로써 나온 장면이었다. ‘간호직원관리 및 연구’는 40회로 4.1%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모두 간호직원관리에 해당하였고, 연구와 관련된 장면은 없었다. 활동내용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처치’와 ‘투약’이 각각 단 24회(2.4%)와 8회(0.8%)만을 차지하는 데 반해, ‘휴식 및 출퇴근’이나 ‘식사 및 다과’는 각각 39회(4.0%)와 27회(2.7%)나 차지하고 있었다. 휴식 및 출퇴근이나 식사 및 다과에 6.7%나 할애된 것은 주연 간의 관계와 갈등을 보여 주기 위함인데, 이는 사적인 대인관계가 22.6%나 차지한 것과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상담, 정서지지’는 32회, ‘교육’은 8회로 총 4.1%만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실제 임상에서 간호사가 환자 및 보호자를 정서적으로 지지 및 상담하고 교육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드라마 속에서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의료인이 의사만으로 그려지고 있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드라마 속 간호사가 행하는 상담 및 정서적 지지는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요하기보다는 단순한 감정적 공감을 표현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끝으로 ‘응급간호’ 장면은 17회로 1.7%만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섯 편의 드라마의 배경이 외과계열인 만큼 긴급한 처치를 요하는 응급 환자가 등장하는 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앞서 언급했던 수술간호와 마찬가지로 응급 환자 등장 시 일회성으로 간호사가 등장하여 부산한 움직임을 보이는 등 응급상황임을 암시하는 장치로 사용된 경우가 대다수였다. 간호사가 수행하는 대표적인 응급간호 장면은 CPR 상황이었는데 이때도 주로 의사의 보조적인 역할로 등장하였으나, 특징적으로 <뉴하트>에서 흉부외과전문간호사로 추정되는 역할이 모든 흉부외과 의사들이 부재중인 상황에서 소아 환자에게 단독으로 응급 CPR을 수행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상의 활동내용을 다시 영역별로 분석해 보면 직접간호 영역에서는 ‘치료 협조(7.4%)’가, 간접간호 영역에서는 ‘환자 관련 의사소통(24.4%)’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간호사가 등장하는 장면의 대부분이 주연인 의사가 등장하는 장면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간호사가 단독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항목들은, 실제 임상에서 훨씬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드라마 상에서 보여지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와 같은 분류를 사용하여 실제 간호사의 업무를 분석한 Kim8)의 선행연구에서는 직접 및 간접 간호 영역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상위 3개 항목이 ‘투약·물품·기구 준비(19.69%)’, ‘기록관리(14.10%)’, ‘관찰 및 측정(12.73%)’로 모두 간호사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항목들이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 해당 항목들은 각각 5.1%, 4.1%, 2.5% 정도에 그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실제 간호사의 주요한 활동내용과 드라마 상에서 보여지는 주요한 활동내용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업무태도 간호사의 업무태도는 ‘수동적·의존적(11.4%)’ 이기보다 ‘능동적·자율적(57.8%)’인 것으로 묘사되었다. 이는 수동적인 업무태도가 더 강하게 부각되었다는 선행연구6)에 비해 간호사의 행동이 비교적 타인의 명령이나 권유 없이 자율적인 것으로 묘사되었음을 의미한다. 업무태도 중 ‘성실’한 업무태도(37.6%)에 비해 ‘불성실’한 업무태도(1.5%)는 압도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간호사가 지속적으로 환자 상태를 관찰하고 환자의 요구에 곧바로 대응하는 등 여러 장면에서 맡은 업무에 열중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일부 장면에서는 성의 없게 작성한 의무기록에 대해 지적 받는 모습, 업무 중에 잡담하는 모습 등이 묘사되었다. 환자, 보호자에게 친절 또는 불친절 여부를 분석한 항목에서 ‘해당없음’이 40.4%를 차지하여 ‘보통(46.0%)’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간호사가 직접적으로 환자나 보호자를 대면하는 장면이 적음을 의미한다. 등장장소 분석에서 ‘간호사 스테이션’이 차지하는 비율이 37.2%인 것에 비해 환자나 보호자를 대면할 수 있는 장소(외래진료실, 일반병동병실, 특실, 응급실)의 비율은 총합이 21.7%에 불구하였고, 활동내용 분석에서도 직접간호의 비율이 26.0%로 환자와 접하지 않는 간접간호, 관리, 개인시간의 합(74.0%)에 비해 적게 나타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Im7)의 선행연구결과와 다르게 ‘친절’한 업무태도(11.2 %)가 ‘불친절’한 업무태도(2.4%)에 비해 매우 높은 것을 보아, 최근 많은 병원에서 친절을 강조하고 있고, 실제로 바뀌어 가는 현실이 드라마에서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사소통태도는 ‘인간적·소통적(31.6%)’이 ‘기계적·비소통적(14.8%)’보다 높게 나타났다. 과거 선행연구에서 인간적이고 정서적인 지지를 하는 모습은 주로 의사의 몫으로 표현이 되고, 간호사는 대부분(57.5%) 기계적인 모습으로만 묘사되었던 것7)에 비하여 크게 개선된 점으로 보인다. 환자의 정서와 감정상태 등을 고려하여 간호를 제공하는 장면이 다수 있었다. 또한 환자에 대해서 타 의료진들과 의사소통 시 인간적이고 소통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었다. ‘숙달된’ 업무태도의 비율(26.7%)은 ‘미숙한’ 업무태도(4.3%)의 비율에 비해 크게 높았다. 이는 의학드라마 제작 시 간호사나 간호단체로부터 기술자문을 구한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병원 2>의 일부 장면에서 신규간호사가 의사의 오더를 확인하지 않는 미숙한 업무태도를 보이더라도 경력간호사가 즉시 해결하는 모습 등에서 숙달된 간호사의 전문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의학드라마 내에서 간호사의 비중이 높아지기는 했으나, 대부분이 조연이나 보조인물로 등장하여 업무나 성격이 구체적으로 조명될 필요가 없어 간호사의 업무태도에서 특징적인 모습을 찾기 힘들었다. 극 중에서 단순히 모여서 잡담을 하거나 차트를 들고 복도를 걸어가는 등 단순한 배경으로 표현된 장면이 많았다. 이러한 이유로 ‘보통’은 모든 유목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3번 유목을 제외하고 그 비율이 50%를 넘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간호사는 대체적으로 능동적·자율적, 성실, 친절, 인간적·소통적, 능숙한 업무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Im7)의 선행연구에서 수동적, 자율적, 불친절, 기계적, 숙달된 업무태도로 나타난 것보다 개선된 결과를 나타낸다. <뉴하트>에서는 간호사 혼자서 심폐소생술을 하는 장면이 방영되고, <골든타임>에서는 유능한 간호사 한명을 붙잡는 것이 다른 스텝을 더 뽑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는 대사가 등장하기도 하는 등 이전보다 긍정적인 간호사의 이미지가 드라마 내에서 비춰지고 있었다. 3) 등장장소 등장장소는 임상현실과 비슷하게 간호사 스테이션이 가장 많았고, 입원 환자가 있는 병동이 그 다음으로 이어졌다. 또한 드라마에서 극적인 요소를 가미하기 위해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장 등이 주로 나타났다. Purpose: Since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on nurses tends to be shaped substantially by the media,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 of nurses portrayed in Korean medical TV dramas. Methods: This study was on five Korean medical TV dramas in recent five years selected based on their popularity. Ten coders broke into five groups of two. Full episodes of each drama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he coders made assessments separately and cross-matched their analysis, checking with the Holsti`s method. Results: Ten of the analyzed twenty nurses were supporting characters. They were mainly in their twenties. Only one nurse was male and 13 (65%) were staff nurses. Nurses were described as strong (30.0%), active (30.8%) and kind (40.0%). They were mostly portrayed discussing patients mainly with doctors (24.4%).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 work, they appeared diligent (37.6%) and communicative (31.6%). Conclusion: There have been positive changes compared to past studies. Despite the enhancement in the image of nurses in medical dramas, there is yet a long way for dramas to properly portray the professionalism nurses truly have. Further research is needed and diverse measures should be taken for the improvement in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 nursing prof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