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The Effect of the Built Environment on Pedestrian Volume in Microscopic Space-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OLS (Ordinary Least Square) and Poisson Regression

        Lee, Gunwon,Jeong, Yunnam,Kim, Seiyo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2015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 Vol.14 No.2

        <P> This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a correlation between microscopic factors and pedestrian volume in the urban environment, focusing on microscopic factors that stimulate pedestrian volume, such as density, diversity, network structure, accessibility, the form of lots and buildings, and the form of building facades. In particular, factors already known to boost pedestrian volume include density, diversity and accessibility, which are three variables highly related to the concept of 3Ds (Density, Diversity, Design) proposed by Cervero and Kockelman (1997) and the additional 2Ds (Distance to Transit, Destination Accessibility) suggested by Ewing et al. (2008). The analysis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2010 survey of the floating population in Seoul, particularly on the data from Seocho-gu in the Gangnam area. Data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microscopic factors within the 500m radius around each of the 616 spots from which the pedestrian volume in Seocho-gu was measure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wo methods: OLS, which is featured in multiple studies of pedestrian volume, and Poisson Regression, which is the most common statistical analysis method of abnormal count data such as pedestrian volum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ensity, diversity and accessibility, three factors that were already know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pedestrian volume, also proved to have the same effect in the Gangnam area. Moreover, the form of the ground level and facade of building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edestrian volum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and resilient cities through higher pedestrian volume. </P>

      • KCI등재

        도시 유형별 도시특성요소와 온실가스 배출량 간의 관계 분석

        이건원(Gunw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1

        본 연구는 전국 도시를 도시특성에 따라 유형화하고, 유형별 대표 도시를 선정하여 도시 유형별 도시특성 요소와 탄소 배출량, 에너지 소비량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유형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도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시특성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도시 특성요소들 중에서 변수를 축소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도출된 계수의 절대값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 변수들을 이용하여 전국의 도시들을 유형화하였으며, 각 유형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유형별 대표도시를 선정하였다. 유형별 도시 특성과 온실가스·에너지 사용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 전력 사용량, 석유 사용량을 기준으로 각 유형별 대표도시와 비교,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유사한 배출량과 소비량을 보이더라도 유형별 대표도시의 특성요소에 따라 원인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온실가스와 도시특성요소 간의 관계를 밝힘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도시 유형화를 실시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classified cities across South Korea according to their urban characteristics, selecting representative cities for respective types, and drawing a relationship among urban characteristic elements, carbon emissions, and the energy consumption of cities. For the classification of cities, the elements of the urban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ough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Factor analysis was then carried out to select the variables from among these elements. The absolute coefficient value found in the analysis was set as a standard. A classification of cities across the country was performed using these variables, and representative cities were chosen for a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urba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city, the greenhouse gases, and the energy consumption of cities,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electricity consumption, and oil consumption of the representative cit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caus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varies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cities, even when they show similar emissions and consumption.

      • 온실가스 Net Zero 2050 실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단위 도시관리 방향

        이건원(Lee, Gunwon) 호서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20 공업기술연구 논문집 Vol.39 No.2

        본 연구는 최근 정부에 의해서 선언된 온실가스 Net Zero 2050실현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의 지자체 단위로 수행된 관련 정책들이 온실가스 저감에 실제로 기여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PCC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232개 통계 데이터를 구득할 수 있는 4개의 탄소저감 성과지표(전력사용량, 생활폐기물배출량, 석유소비량, 녹지면적)를 선정하였으며 ‘저탄소 녹색성장’ 발표 이후, 3년이 지난 2008년도를 본격적인 정부의 탄소저감 정책 추진 시점으로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2017년(2018년)까지의 지표값 변화량을 시계열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7개 지자체는 각각 특화된 정책을 가지고 다양한 저탄소 정책 및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 The article investigated carbon reduction policies and selected seven cities that were awarded several times through evaluation systems. Four carbon reduction performance indices of electric usage, volume of domestic waste, amount of oil consumption, and area of green were selected according to IPCC guidelines(2006). Lastly, time sequential analysis from 2008 to 2017(2018)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iod before the policy enforcement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the result of comparative empirical analysis between awarded city groups and general city groups, The change rates of awarded city group: rate of change in electric usage, volume of domestic waste, and amount of oil consumption of an awarded city is superior than general cities.

      • KCI등재

        근린단위의 도시열섬관리를 위한 국지온도와 도시환경의 관계

        이건원(Gunw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0

        본 연구는 국지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국지온도 관리 및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제시를 위한 기초데이터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국지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자연환경, 토지이용, 토지피복 등의 세 가지를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 2011~2016년 7월과 8월의 전국 자동기상관측시스템(AWS. Automatic Weather System) 측정 지점 500m 반경(0.79km²) 내의 토지피복도, 토지이용 면적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투입에 따른 모델의 설명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도시열섬 저감 및 국지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교통관련 인자들에 대한 조절을 위한 적절한 정책적 수단이 필요하며, 그리고 국지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산림지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토지이용계획상의 배려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 열섬현상 저감을 위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수립과 도시의 지속성 제고 전략을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으며, 토지이용과 토지피복면적 등의 상세한 자료들을 분석에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offereffective policies for managing local temperatures and reducing the heat island effect by identifying elements that affect local temperatures. The three elements of natural environment, land use, and land coverage were first selected, and then control factors were applied,including season, weather, and measurement units for wind speed. In order to analyze these factors" relations to summer temperatures, an integrated model was developed,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urban heat island reduction effect of elements impacting local temperatures.The analysis used nationwide weather system (AWS) data from July and August 2007 and 2011-2016, land coverage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and use area data from local governments after rearrangingthem based upon their falling within a 500-meter radius (0.79km²) of AWS measuring point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land use, and land coverage all have a relation to changes in local temperatures.Natural elements have the greatest impact, and land use hasthe lowest. The results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policies to mitigate the heat island effect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of cities.

      • KCI등재

        미시공간에서 도시 · 건축형태요소가 보행량에 미치는 영향

        이건원(Gunw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도시의 미시적 요소들과 보행량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행을 촉진시키는 미시적 요소로 밀도, 다양성, 네트워크 구조, 접근성, 필지 및 건축물 형태, 건축물 전면부 형태 등의 요소를 중심으로 접근했다. 특히, 밀도, 다양성, 접근성 등은 Cervero and Kockelman(1997)의 3Ds(Density, Diversity, Design)와 Ewing et al(2008)이 추가한 2Ds(Distance to Transit, Destination Accessibility)와 관련이 깊은 개념으로 이들은 보행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 2010 서울시 유동인구조사 자료 중 서울시 내 강북지역의 종로구와 중구를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종로구와 중구 내 보행량을 측정한 지점 1,028개소를 중심으로 반경 500m의 미시적 요소들을 조사하여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보행량 촉진에 효과적인 요소들인 밀도, 다양성, 접근성 등은 종로구와 중구의 상황에도 유효했다. 또한 건축물의 1층부 형태와 건축물 전면 공간의 형태 역시도 보행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추후 보행량 촉진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 회복력 있는 도시 조성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microscopic factors and pedestrian volume in an urban environment, focusing on the microscopic factors that stimulate the pedestrian volume, such as density, diversity, network structure, accessibility, and the form of lots and buildings. In particular, factors already known to boost the pedestrian volume include density, diversity and accessibility, which are three variables strongly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3Ds (Density, Diversity, Design) proposed by Cervero and Kockelman (1997) and the additional 2Ds (Distance to Transit, Destination Accessibility) suggested by Ewing et al. (2008). The analysis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2010 survey of the floating population in Seoul, particularly on the data from Jongro-gu and Jung-gu in Gangbuk area. Data were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microscopic factors within a 500m radius around each of the 1,028 spots from which the pedestrian volume in Jongro-gu and Jung-gu was measured. The analysis showed that density, diversity and accessibility, three factors that were already know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pedestrian volume, also have the same effect in Jongro-gu and Jung-gu.

      • KCI등재
      • KCI등재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생태면적률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이건원(Lee, Gunwon),정윤남(Jeong, Yunnam),민병학(Min, Byunghak),김세용(Kim, Seiy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최근에 높아지고 있는 도시농업 요구에 건축, 도시분야가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 법제도적 장치로서 기존에 활용도가 높은 생태면적률의 개선에 주목한 연구이다. 기존의 생태면적률은 여러 작물생장조건 중 토심과 투수만을 다룬 지표로 조경식재 등의 관리에는 활용될 수 있으나 도시농업의 주요요소인 작물을 다루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고 그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실제로 생태면적률 지표 만으로 작물생장까지를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실제 단지계획상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생태면적률에 빠져 있는 작물생장 조건 중 가장 중요한 일조를 중심으로 생태면적률 개선의 가능성 및 개선 방향 을 타진했다는 점에서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the Biotope Area Ratio, which has existing availability as a legal and institutional method for the architectural and urban fields to respond rapidly to recently growing demands for urban agriculture. The existing Biotope Area Ratio indicators only considers the depth and permeability of soil among a range of conditions for plant growth; they can be used for landscaping plants management but hav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plants that are the major factors in urban agricultur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is hypothesis and suggest a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Biotope Area Ratio.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management of plant growth only using the Biotope Area Ratio indicators has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