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번역] 플라톤과 칸트에 있어서 자기지배의 심리정치학

        Gunter Zoller,임승필(번역자)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0 동서사상 Vol.9 No.-

        본 논문은 플라톤과 칸트라는 철학자의 저작에 담겨 있는 윤리학적 논의를 구조화시키기 위해 정치학적 개념들이 어떻게 체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이들 두 철학자의 자아이론을 대비하여 비교한다. 본 논문은 여러 관점과 주장들이 경쟁하면서 각축을 벌리고 있는 장에 해당하는 실천적 자아의 복잡한 설정방식에 집중한다. 논문의 전반부는 플라톤이 국가에서 영혼을 유비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이상적 도시국가의 구성에 의존했던 부분을 살펴볼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영혼의 상호 관련 구조, 그리고 영혼의 세 가지 기본적 기능들이 삼중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에 놓여 있는 “기개”의 연결 기능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나는 칸트가 성숙기에 다룬 실천적 주체성에 관한 이론의 기본 윤곽을 드러내고자 한다. 그의 이 이론은 그가 실천철학의 문제를 다룬 후기의 주요 작품인 『도덕형이상학』¹?에 담겨 있는 것으로, 3부로 구성된 포괄적인 도입부에 주로 담겨 있는 내용이다. 이 후반부에서의 분석은 실천적 자아의 관계적 구조에 대한 칸트의 이해에 영향을 끼친 근대 정치철학의 핵심 개념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본래 정치적 개념인 자율과 자기지배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실천적 자기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플라톤과 칸트를 함께 다루는 목적은 특정 정치적, 윤리적 이론들을 자세히 비교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이 두 철학자의 자아 개념에 있어서 정치적 사유가 갖고 있는 구성적 역할을 비교하는 데에 있다. 플라톤과 칸트는 각기 자신의 고유한 방식으로 윤리학의 이론과 실천을 법과 정치의 이론과 실천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는 포괄적 실천철학을 옹호했다고 볼 수 있다. The paper contrasts and compares the theory of the self in Plato and Kant by examining the systematic use of political conceptuality for the structuring of ethical discourse in the works of both philosophers. The focus is on the complex set-up of the practical self as the arena for competing orientations and claims. The first half of the paper explores Plato’s reliance on the constitution of the ideal city state for the analogous composition of the soul in the Republic. Special attention is devoted to the relational structure of the soul and the linkage function of “high -spiritedness”(θυμoC) in the threefold arrangement of the soul’s basic functions.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presents the basic outline of Kant’s mature theory of practical subjectivity, chiefly contained in the extensive three sets of introductions of his late main work in practical philosophy, The Metaphysics of Morals. The analyses focus on the key concepts drawn from modern political philosophy that inform Kant’s understanding and presentation of the relational structure of the practical self, with special attention devoted to the originally political concepts of autonomy and autocracy. The point of pairing Plato and Kant in an account of the practical self-relation is not a substantial comparison of particular political and ethical doctrines but a functional comparison of the formative role of political thought for the conception of selfhood in both philosophers. Plato and Kant emerge, each in his own way, as proponents o fa comprehensive practical philosophy that does not sever the theory and practice of ethics from that of law and politics.

      • KCI등재

        Pax Kantiana. Kant zum ewigen Frieden in der Philosophie

        Gunter Zoller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문화 Vol.0 No.8

        The paper investigates Kant's usage of the legal-political symbolism of war and peace in his self-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role of the critical philosophy. After a preliminary consideration of Kant’s assessment of the function of polemics in philosophy, the focus shifts to the particulars of his little-known late essay, "Announcement of the Imminent Conclusion of a Treatise on Perpetual Peace in Philosophy" from 1796. The essay is placed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Kant's controversy with the historian and publicist, Johann Georg Schlosser, who had reduced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to the mechanical operations of a "manufacturing industry for the production of mere form" and had misread Kant's moral philosophy as requiring complete cognition of nature for arriving at the formation of the categorical imperative. Kant's reply to Schlosser places the refutation of his charges into the broader context of the cultural function of philosophy as an area for intellectual warfare. On Kant's view, neither dogmatic pseudo-victories nor skeptical pseudo-truces are able to assure a lasting peace in philosophical debates. Only the critical balance between the theoretical restriction of reason to possible experience and its practical enlargement to unconditional principles of action is able to pacify the world of thought into a peace of mind armed with strong arguments. 아래의 논문은 비판철학의 역사적 역할에 대한 자기해석에 있어 칸트가 전쟁과 평화라는 법적-정치적 상징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철학적 논쟁들의 기능에 대해 칸트가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한 후에 이 논문은, 별로 알려지지 않은 글로서 1796년에 발표된 칸트의 글 “철학의 영구평화를 위한, 임박한 조약의 체결에 대해 알림”이라는 칸트 말기의 논문에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칸트의 이 글은, 역사가이자 저술가인 요한 게오르크 슐로서와의 칸트의 논쟁에 대한 당시의 문맥에 놓여있다. 슐로서는 선험철학을 “단순한 형식을 산출하는 제조기제”라는 기계적 작용으로 의미 축소했으며, 칸트의 도덕철학을 정언명제를 형성하는 목적을 위해 완전한 자연인식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곡해했다. 슐로서에 대한 칸트의 대답은 여러 가지 이의제기에 대한 자신의 반박을 지적인 논쟁의 장으로서의 철학의 문화적 역할이라는 더 포괄적인 맥락에 위치시키고 있다. 칸트의 견해에 따르면, 독단적 가짜-승리도 회의적 가짜-휴전상태도 철학적 논쟁에서 지속적 평화상태를 보장할 수 없다. 오로지 이성을 가능한 경험에로 이론적으로 제한하기와 무제약적 행위원칙을 위한 이성의 실천적 확장하기 사이의 비판적 균형만이, 사유의 세계를 강한 논증들로 무장한 마음의 지속적인 평화로 설비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