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익산지역 초등학교 고학년의 비만지표별 비만도와 식습관에 대한 연구

        주은정,김인숙,김영순,서은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1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to examine the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ksan city.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292 students(male : 151, female : 141) in May of 1997.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were 141 cm and 37 kg in males and 142 cm and 36 kg in females, which were similar to the average of Chonbuk. A Weight/Length Index(WLI), Broca Index, Ro¨hrer Index(RI), Body Mass Index(BMI) and Waist Hip Ratio(WHR) were used as an obesity index to classify degree of obesity, WLI, Broca Index and RI were proper for judging child obesity and strict judgment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RI, WLI and Broca Index.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30.8% underweight, 43.5% normal, 8.2% overweight and 17.5% obese by WLI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eight (p < 0.05) and weight(p < 0.01) according to obesity degree among the four groups. 50.3% of the boys and 55.3% of the girls ate regularly, and the main reason they didn't eat breakfast(78.4%) was due to lack of time. The frequency of snacks were 1-2 times a week(40.4%), fruits(40.4%) from market and supermarket(68.2%). According to the survey 84.6%, 77.4%, 78.1%, 69.9%, 59.9% and 86.6% of subjects didn't eat meat, fish, soysauce, instant food, sugar and seaweed respectively. Seaweed, meat, and soysauce showed low preferences. 69.5% and 74.7% of the subjects drink milk and ate kimchi respectively. By analyzing eating habi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p < 0.01), and eating meat or fish(p < 0.05) were high in the overweight and obese groups of girls. In the boys case, the rate of not eating food in sugar(p < 0.05) was high in the obese group. Obese children need to correct their eating habits. This reasserts the importance of nutrition education in children through teachers, parents, and dieti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applied to nutrition education to ensure better physical fitness for children.

      • KCI등재후보

        위암수술 환자에서의 cp 개발과 cp적용에 따른 질 향상 활동에 관한 연구

        임은주,황순휘,박도중,하광일,배현주,김형호 한국의료QA학회 2006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3 No.2

        Background : In an era of increasing medical costs, safe reduction in postoperative stay has become a major focus to optimize utiliz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The authors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critical pathway(CP) for gastrectomy patients by implementing standardized postoperative management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Method : From August 2006 to April 2007, critical pathways were introduced to inpatients and outpatients with gastric cancer. 60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distal gastrectom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30 CP group(A) and 30 non-CP group(B). Simultaneously, we also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438 patients(C:control group) who were able to be enrolled in CP program. We compared group(A) with (B), (C) in terms of hospital stay, complication rate, use of antibiotics and hospital costs. Patient satisfaction was surveyed by questionnaires. Result : There was no significant demographic difference between group(A) and (B). Of 30 patients in group(A), 5 drop-outs and 14 variances occurred. The mean postoperative hospital stays(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Open distal gastrectomy: ODG) were 7.6/10.5 days for the group(A), 8.9/12.7 days for the group(B) and 12.6/14.5 days for the group(C) (p=0.02 in LADG). The total hospital cost of group(A) had a tendency to be less than that of group(B) and the amount of hospital cost per day in group(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group(B). The usage rates of the first generation antibiotics were 73.33%, 63.33%, and 59.2% in group(A), (B), and (C), respectively. Patients’ satisfaction had a tendency to be higher in the CP group than non-CP group. Conclusion : The mean hospital stay in LADG patients was shortened meaningfully and hospital cost per day was enlarged after introduction of clinical pathway. It is necessary to apply a number of patients to the critical pathway and to make an effort to reduce the variation and drop-out rates.

      • KCI등재

        침지수의 염도 및 부재료가 통배추김치의 맛과 숙성에 미치는 영향

        김명선,송주은,한재숙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5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5 No.2

        가정에서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김치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손쉽게 만들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배추절임에 있어서 절임소금의 적당한 농도를 조사하였다. 적당한 소금의 농도(16%)로서 절임한 배추에 세 종류의 다른 부재료를 첨가한 김치에 대하여 pH, 산도, 환원당, 유리아미노산 및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추를 12%의 소금물에 5시간 절인 김치는 숙성이 빨리 진행된 반면, 20%의 소금물에 절인 김치는 숙성속도가 늦었다. 숙성기간 동안 배추의 조직속에 함유되어 있는 염도는 12%의 소금물에 절인 김치는 2.3±0.2%, 16%의 소금물에 절인 김치는 2.6±0.2%, 20%의 소금물에 절인 김치는 3.7±0.2%이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12%의 소금물에 절인 김치가 담근 첫날 매우 좋은 성적을 나타내었으며,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16%의 소금믈에 절인 김치의 관능적 평가가 가장 높았다. 20%의 소금물에 절인 김치는 전 숙성 기간동안 낮은 성적을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16%의 소금물에 5시간 절인 것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2. 위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배추는 염도 16%의 소금물에 5시간 절인 배추에 기본 양념외에 부재료로서 각각 무, 부추, 실파를 넣고 담근 김치와 대조구로 아무것도 넣지 않은 김치에 대하여 같은 실험을 한 결과 pH, 염도, 산도에는 그다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파첨가김치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관능검사 결과는 부추첨가 김치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다음으로는 무첨가김치, 파첨가김치, 대조김치의 순이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effects of soaking-water salt concentration and submaterial on Kimchi taste and fermentation period. Several parameters such as pH, acidity, reducing sugar, amino acid and sensory evaluation during fermentation at 20℃ were experimen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fermentation period increases, pH and content of reducing sugar of Kimchi have decreased. But acidity has increased. Especially, the pH of all samples rapidly decreased to a extent of pH 4.2. During fermentation, the acidity and content of reducing sugar in 12% soaking-water were higher than those in 16% and 20%. Content of reducing sugar in Kimchi was observed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overall taste.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during fermentation, Kimchi in 16% soaking-water was higher scored than that in 12% or 20% in crispness, salty taste, sweet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Salt concentration of Kimchi in 12% soaking-water was 2.3% and in 16%, 2.6% and in 20%, 3.7%.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leek-added Kimchi was highly evaluated in crispness, sour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Kimchi fermented for 4 days at 20℃ with 16% salt concentration of soaking water and leek as submaterials should taste most desirable.

      • 출아효모에서 TAR 클론닝법을 이용한 고등동물의 게놈으로부터 특정 염색체 부위의 분리

        박정은,윤영호,이윤주,김광섭,윤세련,안태진,임선희,선우양일 동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3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20 No.1

        복잡한 게놈 분석에 용이하도록 효모의 인공 염색체(YAC) 클론닝 시스템은 발달되어왔다. YAC은 박테리아의 인공 염색체(BAC)보다 더 큰 단편을 클론닝할 수 있고, 또한 클론된 단편을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형질전환과 연계된 재조합법(Transformation-Associated Recombination; TAR)은 게놈 라이브러리를 만들지 않고 직접 게놈 DNA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유전자나 특정 염색체 부분을 클론닝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spheroplast transformation을 수행하는 동안,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의 5' 그리고 3' 염기 배열(hooks)을 지닌 TAR 벡터와 게놈 DNA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동성 재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효모 내의 in vivo 재조합을 이용한 TAR 클론닝법은 복잡한 게놈으로부터 목적의 염색체 부분을 원형 YAC의 형태로서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TAR 클론닝 법은 특정 염색체로부터 YACs을 만드는데 매우 유용하여, 전체 게놈으로부터 특이적 유전자나 유전자의 family를 분리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Yeast artificial chromosome (YAC) cloning systems have advanced the analysis of complex genomes considerably. They permit the cloning of larger fragments than do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systems, and the cloned material is more easily modified. Transformation-associated recombination (TAR) is a cloning technique that allows specific chromosomal regions or genes to be isolated directly from genomic DNA without prior construction of a genomic library. This technique involves homologous recombination during spheroplast transformation between genomic DNA and a TAR vector that has 5' and 3' gene targeting sequences (hooks). Using in vivo recombination in yeast, TAR cloning selectively isolates, as circular YACs, desired chromosome segments or entire genes from complex genomes. We propose that TAR cloning can provide an efficient means for generating YACs from specific chromosomes and that TAR cloning may be useful for isolating families of genes and specific genes from total genome DNA.

      • KCI등재

        한국인 만성 긴장형두통 환자에서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 자율적 이완훈련의 효과

        강은호,안주연,구문선,박주언,유범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3

        Objectives : We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biofeedback-assisted autogenic training for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nges in electromyography (EMG) activity, headache activity, and mood states according to the psychophysiological treatment. Methods :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patients aged from 20 to 40 years (n=35) were randomized to the treatment group receiving biofeedback-assisted autogenic training (8 sessions) or the monitoring-only control group. EMG activities, headache index, and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examined. Results : We found greater treatment response rate (≥50% reduction in headache index) in patients with biofeedback-assisted autogenic training than in the monitoring group (61% vs. 18% ; χ²=6.882, df=1, p=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mean values of the pretreatment EMG activities across the sessions m either group (all p’s>0.1). Mood states including anxiety and depression improved over time in the both groups, with the improvements being more prominent in the treatment group. Moreover, the reduction in depression level predicted treatment outcome in terms of headache index (95% confidence interval : 0.272-0.966, p=0.039).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biofeedback-assisted autogenic training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in a Korean population. Changes in mood states may b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outcom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using biofeedback-assisted autogenic training.

      • KCI등재후보

        Pseudomonas sp. EL-G527에 의한 환경친화성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최적조건

        차미선,임은경,이근희,조순자,손흥주,이상준 한국환경과학회 2002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1 No.3

        A biosurfactant-producing microorganism was isolated from activated sludge by enrichment culture when grown on a minimal salt medium containing n-hexadecane as a sole carbon source. This microorganism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and it was named Pseudomonas sp. EL-G527. It's optimal culture condition is 2% n-hexadecane, 0.2% NH_4NO_3, 0.3% KH_2PO_4, 0.3% K_2HPO_4, 0.02% MgSO_4·7H_2O, 0.0025% CaCl_2·6H_2O, 0.0015% FeSO_4·7H_2O in 1ℓ distilled water and initial pH 7.0. Cultivation was initiated with a 2% inoculum obtained from starter cultures grown in 30 ㎖ of the same medium in 250 ㎖ flask. They were cultivated at 30 ℃ in reciprocal shaking incubator and the highest biosurfactant production was observed after 4 days.

      • KCI등재

        저장용기 및 저장온도에 따른 김치의 품질변화

        송주은,김명선,한재숙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5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5 No.2

        맛있는 김치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저장용기와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각 군마다 5포기씩의 김치를 담그고 각각에 The effects of storage containers and storage temperatures on Kimchi quality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Pabix, poly ethylene-back+plastic container, tupper-ware were much better than crock, stainless steel, and plastic container in keeping Kimchi.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ainers in the sensory test for Kimchi. 2. Kimchi stored at 18±2℃ was the most delicious, which revealed pH 4.30, acidity 0.45-0.50%, and salt concentration 3.10wt% in the 4th days after storage whereas sensory score for Kimchi quality was very low in the 12th days after storage. 3. PH in Kimchi stored at 5℃ after fermentation at 18±2℃ was slow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Kimchi stored at 18±2℃ after fermentation. 4. PH and acidit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after 90 days storage when Kimchi was stored at -5℃ or -80℃ were compared to that of the Kimchi stored at 18±2℃, but texture score of Kimchi stored at -5℃ or -80℃ after fermentation at 18±2℃, but texture score of Kimchi stored at -5℃ or -80℃ were compared to that of the Kimchi stored at 18±2℃ after fermentation. 5. In the group of Kimchi stored at 10℃, immediately after pickling it took 48days until the best conditions which were pH 4.30 and acidity 0.45-0.50% were matched. 6. The most promising method in keeping good taste and good quality of Kimchi was to store Kimchi at 5℃ after 4days fermentation at 18±2℃. And, for long period preservation of Kimchi, it took would be effective to store at -80℃ after fermentation at 18±2℃.

      •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관련변인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 학생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riment, and physical disabilities

        김은주,김동일,최종근,노선옥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5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실시된 조사연구로서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 고등부 1학년 학생 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3)에서 실시한 국가수준교육성취도 평가의 참여가 가능한 707명이 그 연구대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연구협의회, 전문가 검토, 검사 방법의 수정 및 조정 작업, 평가 실시를 위한 설명회 개최,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 장애 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 조사 실시로 이루어졌다. 자료는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선택 형 문항의 득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의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한편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과 성취도에서 얻은 평균의 차이를 변량분석, 또는 상관 분석하였다. 또한 장애 학생들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필요한 경우 2002년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총론-(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에서 제시된 일반 학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부 6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성별로 학력차가 나지는 않으며 장애 유형별로도 차이가 크지 않으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각 장애 학생은 집안 일을 많이 거들지만 진학포부 수준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 학생은 취미생활에 대한 대화를 많이 나누지만 집안일은 거의 돕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배경 변인 중 일부는 장애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청각장애 학생의 경우 수학에 대한 설명력을 지닌 변인은 아버지의 학력, 학교숙제 수행방식, 수업 내용 이해 정도. 학습지 활용 정도,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구성 변인 등이었으며, 국어과의 경우 장서보유 정도, 국어 공부에 대한 대화 빈도, 국어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과 성차 인식이었다. 지체부자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에서는 학생의 중요 덕목에 따라 국어와 수학 두 교과에서 설명력을 지녔으며 교과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의 경우 수학과 에서만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시각장애의 경우 TV/비디오 시청 정도는 영어 교과에서 성취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2002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보고된 일반 학생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일반 학생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체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본 연구의 변인이라고 할 수 있는 학생 개인변인으로 설명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학부 3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초등부 6학년과 마찬가지로 성별로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과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을 뿐 다른 장애 유형별 남녀 집단 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부 6학년과 같은 형태를 보였다. 한편 중학부 3학년은 일반 학생과 비교해 볼 때 숙제 도움 대상에서 특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진학에 관한 대화가 적은 점은 특히 일반 학생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일반 학생의 경우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드물고 진학이나 취업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에 비하여 늦은 시기까지 부모의 도움을 받는 한편 진학이나 진로에 관하여 아동과 부모 모두 불투명한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부 6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 고 할 수 있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 학생의 중요 가치와 진학포부수준, 국어 공부를 하는 이유, 국어 수업 내용 이해 정도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서 활용 정도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의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을 뿐이다. 셋째, 고등부 1학년의 교과별 평균과 성차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등부 1학년의 경우에도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마찬가지로 일반 학생에 비하여 낮은 성취 정도를 보이는 한편 성취 정도의 차이는 고등부 1학년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대화의 빈도의 경우 진학이나 직업 선택에 대한 대화가 늘어나지만 다른 대화 내용은 줄어들고 진학포부 수준의 경우 특히 청각장애 학생이 낮고 모호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체부자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 및 다른 장애 유형의 학생에 비해 독서 시간과 TV/비디오시청 시간이 긴 것은 고등부 1학년 학생의 배경 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숙제 도움 대상 면에 있어서도 전 장애 영역에서 여전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점과 학습과 관련한 행동 통제가 어려운 대신 자아 효능 감과 학습전략이 향상되는 점 역시 학생의 배경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고등부 1학년 역시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으로는 학생의 중요 덕목과 수학공부를 하는 이유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 진학포부수준에 따라서는 지체부자유 학생의 국어와 수학, 어머니의 학력, 학교 숙제 수행 방식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에서만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관련 변인이 증가하거나 감소 하는 정도에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일관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특정 항에 있어 증가하는 경우가 많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인이라 할지라도 학생의 지원을 위한 일반화 자료로 쓰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장애 학생은 장애의 강점과 약점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는 배경변인에 있어서 장애 유형별로 빈도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그렇지 않은 배경 변인에 대해서는 장애 유형별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업성취도와 배경변인과의 관계에서 전체 장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은 없으며 한 장애 유형에서 여러 교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역시 초등부 6학년 과정의 학생의 덕목밖에 없어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가져오는 강력한 변인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배경변인에 따른 학력차이가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은 장애 유형과 학년에 따라 달라지며 학생의 개인 변인은 학년이 증가할수록 설명력이 약해진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and related vari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7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first grade of high school and were able to participat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executed by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As for the methodology of study,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search, research council, expert reviews, correction and adjustment work of research method, information forum for the execution of academical achievement test, poll on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etc. Resources were util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alculated only from the right answers for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ne point were granted to each right answer in 6th grade, and two point in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grade in high school. Second, Variation that could exercise influence o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hir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var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so, the outcome from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ompared to the outcome from non-disabled students presented by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2002 introduction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03).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der gap was not significant in scholastic ability of the disabled students except for Korean class of 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The gap was not so big for types of disabilities but it was safe to say that more proportion of disabled students showed slow progress in basic educ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variation related to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disabled studen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 worse situ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are, especially in their parents' scholastic ability and jobs. 2)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ly did homework as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study and they showed high level of dependency on their parents with their homework.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poor scholastic strategies in terms of self-control in learning attitude composed of scholastic strategies, attitude control, and self-efficacy. They suffered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ir attitudes. Also, their self-efficacy was low. 4)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tained good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and teachers, but they were poor in understanding lessons, preparing for classes, and utilizing materials in their study of school subjects, and they felt a lot of difficulties toward class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it was hard to find same relationships as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in all grades and subjects, so it was safe to say that variations that affected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different from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터류킨-2 생산능

        이선미,박주홍,김동인,은헌정,김임,김경용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급성기 및 관해상태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 대조군의 IL-2 생산능을 비교함으로써, 정신분열병의 여러 발병원인 중 자가면역 병인론의 증거인 세포성 면역방응의 저하 및 질병상태와 관련한 세포성 면역기능의 변화를 일부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조사에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DSM-IV의 정신분열병 진단기준에 적합한 급성기 환자 19명(남 : 10, 여 : 9)과 관해상태의 환자 21명(남 :12, 여: 9) 및 정상대조군 40명(남 : 20, 여 : 20)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로부터 채혈한 혈액에서 임파구를 분리하여 phytohemagglutinin으로 T임파구를 자극하고 세포배양하여 증식시킨후 IL-2immunoassay kit을 이용하여 T임파구의 IL-2 생산능을 측정하였다. 결 과 : IL-2 생산능은 성별에 관계없이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t=5. 97, p<0.001). 질병상태에 따라 급성기 정신분열병 환자군 및 관해상태 정신분열병 환자군으로 구분하여 정상대조군의 IL-2 생산능과 비교한 결과, IL-2 생산능이 정상 대조군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관해상태 환자군이었으며 급성기 환자군에서 가장 낮았다. 세 군 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35.35, p<0.001). 결 론: 일부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질병상태와 유의하게 관련된 세포성 면역기능의 저하가 관찰되며, 이는 정신분열병의 다양한 원인중 자가면역 기전에 의한 발병을 시사한다. Object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ecreased cellular immune response and the change in cellular immunity related to to clinical status in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19 acute schizophrenics and 21 remitted schizophrenics who met the DSM-IV criteria of schizophrenia and 40 healthy volunteers as the normal control. After the lymphocyte was separated from blood which had been drawn from the subjects and then T lymphocyte was stimulated by PHA and proliferated by cell culture, the examiner measured IL-2 productivity by IL-2 immunoassay kit. Results : IL-2 productivity of the schizophrenic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wo groups. In the comparison by clinical status, acute schizophrenic group was the lowest, remitted schizophrenic group was next, and normal control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IL-2 productivit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p<0.001). Conclusion : We suggest that there is a decrease in the cellular immune response which is significantly related to clinical status in some Korean schizophrenics. This finding supports that onset of schizophrenia may be the result of autoimmune mechanism, which is one of the various etiologic factors in schizophr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