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Built Environment on Walkability in Ho Chi Minh City Center District

        Duong Quy Loc,Gyeng-Seok Kim(김경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9

        보행은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증가하는 교통 체증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보행관련 연구는 유럽, 북미, 동아시아 등에서 진행하였으나, 베트남과 같은 덥고 습한 개발도상국 도시들의 경우, 걷기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트남 호치민시 중심지구의 보행편의성과 건축 환경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지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보행 빈도와 건축 환경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요소 외에도, 본 논문은 보행편의성 지수를 추정하기 위해 도시의 다른 특정한 건축 환경 요소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지표는 주거 밀도, 상업 비율, 혼합 토지이용, 교차로 간격, 블록 크기, 보행로 비율, 천장 유무, 온도 9가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지표는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람들은 보행편의성 지수가 높은 지역에서 더 많은 보행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alk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eoples’ health and reducing the increasing pressure of traffic congestion. However, for c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located in areas with unfavorable weather, such as hot and humid weather,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walk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walkability and the effect of the built environment on walking in the center district of Ho Chi Minh City, Vietna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frequency of people was analyzed. Besides common elements that have been used in previous studies, other specific factors of the built environment were determined to estimate the walkability index.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the amount of walking obtained from surveys of local people. The result shows that people tend to walk more in the areas with a higher walkability ind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