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녹동균 세포외막 단백질 백신 CFC-1-101의 안정성 및 면역원성 검토 : 임상 제 Ⅰ/Ⅱa상 시험

        장인진,김익상,유경상,임동석,김형기,신상구,장우현,박완제,이나경,정상보,안동호,조양제,안보영,이윤하,김영지,남성우,김현수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3

        목적 : 제일제당에서는 녹농균의 세포외막 단밸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백신인 CFC-101을 개발하였으며, 동물시험에서 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녹농균 백신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인체 접종시의 최적 투여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 I/Ⅱa상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방법 : 건강한 성인 남자를 피험자로 선별하여 각 용량군에 백신투여자 6명, 위약투여자 2명을 배정하였다. 백신 투여군은 0.25mg, 0.5mg 또는 1.0mg 용량의 녹농균 백신을 7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근육주사 하였으며, 위약 투여군에게는 세포외막 단백질을 제외한 동일한 성분을 투여하였다. 백신접종 후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반응의 발생여부를 관찰하고, 혈액시료를 체취하여 백신의 역가와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 녹농균 백신 CFC-101은 모든 접종자에서 양호한 내약성을 보였다. 또한 0.5mg 과 1.0mg 백신 투여군에서는 100%의 항체양전율을 나타내었다. 생성된 항체는 녹농균 세포외막단백질에 특이성을 보였고, 녹농균 감염에 대해 방어효능이 있었다. 결론 : 이와같은 결과로부터 이 녹농균 백신은 인체에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으며, 높은 항체 생성능으로 감염방어 효능을 보이고 0.5mg과 1.0mg이 최적용량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We developed a Pseudomonas aeruginosa outer membrane protein(OMP) vaccine CFC-101, and the prophylactic efficacy of which has been demonstrated in animal models. 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the P. aeruginosa vaccine, we carried out a phase I/Ⅱa clinical trial in healthy male volunteers. Methods : Groups of eight volunteers, including two placebo subjects, were vaccinated intramuscularly with three doses of 0.25, 0.5 or 1.0 mg of the vaccine at one week intervals. Sings of systemic and local reactions observed after vaccination were recorded for each vaccinee for 5 days. Phys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days 0, 1, 7, 8, 14, 15, 21, and 42, and clinical laboratory tests were done on days 0, 3, and 21. Blood samples for assay of serum antibody levels were obtained up to 42 days after the first vaccination. Results : The vaccine was generally well tolerated by all vaccinees, showing no significant side effects. In the three dosage groups, all vaccinees, except one receiving the 0.25 mg dose, showed significant elevation in serum IgG antibody titers against the vaccine proteins, indicating 100% seroconversion in 0.5 and 1.0 mg groups. The human antibodies induced by the vaccine were specific for P. aeruginosa OMPs, 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precipitation assays. The capacity of the human antisera to enhance opsonophagocytic killing activity by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nd to confer protection against P. aeruginosa infections indicates that the antibodies elicited by the vaccine have protective efficacy.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P. aeruginosa OMP vaccine is safe and effective for human use and its optimal dose to be 0.5 or 1.0 mg.

      • KCI등재후보

        학생정신건강검진 시범운영사업에 따른 추진방안

        김현정,김윤영,이혜숙,현미나,남동현,김상원,안동현 韓國學校保健學會 2009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find the strategies of mental health screening in schoo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screening students in schools for mental health problems. Methods: Data from the 2008 Korean Mental Health Screening in Schools(2008-KMHSS) are used to estimate the outline of this screening. We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 for satisfaction of 2008-KMHSS for students(N=1,280), parents(N=2,672), school nurses(N=75), teachers(N=685), district personnels(N=6), and mental health center staffs(N=37). Also we interviewed a part of them by telephone and e-mail. And we reviewed the tools and methods for screening students for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Results: Mental health screening in schools is a very important, yet worrisome, agenda that is in its very early stages. From the 2008 Korean Mental Health Screening in Schools, 9,588 students(12.9%) needed more evaluation in the first stage. Of these, 6,910(72.1%) completed the second stage screening. In this sample, 1,975(28.6%) utilized the mental health services in school or community. 38.3% of students and 43.7% of their parents notified the2008-KMHSS. But only 12.1% of students and 10.9% of their parents dissatisfied with the screening. 9.9% of teachers and 22.7% of school nurses dissatisfied with the screening. Among them the school nurses were mostly dissatisfied, and they complained work burden from KMHSS. Mental health center staffs complained similar issues. The Children's Problem-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CPSQ) and Adolescents' Mental-health & Problem-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AMPQ) were compatible to screen students in schools for mental health problems in first stage. Conclusion: Mental health screening in schools needs careful planning and implementation. For successful mental health screening in schools, several elements need to be considered: careful planning, collaboration, staff training, and integrative mental health programs and services in community or schools.

      • KCI등재

        갑상선호르몬 내성 증후군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안동현 대한소아ㆍ청소년정신의학회 1994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5 No.1

        요 약 갑상선호르몬 내성증후군(GRTH)과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간계는 최 근에 매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ADHD환아에서 갑상선 검사를 기본검사로 시행 할 것인가 여부가 또한 논란이 피과 있다. 저자는 ADHD 환아뿐 아니라 발달장애 환아에 서도 GRTH가 발견될 수 있다는 사항에 주목하여 이들 환자들에서 갑상선 검사를 시행하여 이상 유무를 조 사하고, 뚜렷한 이상소견을 보이는 관아들의 임상 양상을 밝혀 앞으로 이들의 가계 연구 및 유전자 연 구의 시작을 해보고자 하였다. 총 51명에서 검사가 시행되었고, 이중 T3,T4가 모두 정상범위를 벗 어나며, TSH가 정상 흑은 증가된 증례가 모두 11명이어다. 그들의 임상 특성과 진단등을 살펴보고, 앞 으로의 방향에 대해 토의하였다. ABSTRACT Recently several studies showed a strong and specific association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and generalized resistance to thyroid honnone(GRTH). The recommandation that all children with ADHD be screened for GRTH is an newer controversial issue in child psychiatric Held. Author examined thyroid indices(T3, T4, TSH) is suggestive of the finding of GRTH_ cases. Therefore I suggest that child psychiatrist shou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the 51 clinical populations with ADHD, developmental delay, and language disorders. The results are that 11 cases were out of the normal range of both T3 and T4 inspite of normal TSH. This findingd pay attention to ADHD symptoms secondary to GRTH and that all children with familial ADHD and developmental delay(in- cluding launguage disorder) be screened for thyroid abnormalities.

      • KCI등재

        아동 학대 및 방임

        안동현,강지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3 신경정신의학 Vol.42 No.1

        Child abuse and neglect are also becoming a serious threat to the health of children in Korea. Most of abused or neglected children are suffered from some mental problems, Psychiatrists are a important position to evaluate and/or treat the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resulting from child abuse or neglect, It is crucial that psychiatrists define their role and develop the appropriate clinical skills to manage child abuse or neglect effectively. This article reviews the clinically relevant literature on the child abuse and neglect including the strategic agenda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for promoting of optimal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comprehensively.

      • KCI등재
      • KCI등재

        정신의학과 폭력 : 개요

        안동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3 신경정신의학 Vol.42 No.1

        Violence is the most important part for human health by according to WHO. Human violence is the result of a complex intera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with influences in the environment, Psychiatrists must be prepared to evaluate and treat violent patients, but also are expected to serve as informed commentators regarding violence in society. In this special issues, 4 psychiatrists concerning violence in the clinical practice participated from the point of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violent patients : 1) Family Violence 2) Child Abuse and Neglect 3) Sexual Abuse.

      • KCI등재

        주의력 결핍·과잉운동장애

        안동현 韓國學校保健學會 1990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3 No.2

        주의력결핍ㆍ과잉운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라고 하는 긴 이름의 생소한 현상은 1987년 미국정신과학회에서 명명한 진단명이다. 이것은 산만함(주의력결핍 : inattention), 충동적행동(impulsivity), 과잉행동(hyperactivity)을 특징으로하는 여러가지 문제를 공통적으로 갖는 아이들을 묶어서 일컫는 의학용어이다. 그러나 의사, 교사, 심리학자 등에 따라 보는 관점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비슷한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로 불리워지고 있다. 외국의 경우 1940년대에 처음으로 이런 문제아동들을 따로 분리하여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애초에는 비록 정상적인 것 같이 보이기는 하지만, 여러 두뇌 기능에 밝혀지지 않은 손상이 있는 것으로 생각해서 미소(微小) 뇌기능장애(MBD)라고 불렀다. 이같은 용어는 일부 나이많은 의사들 사이에서는 아직도 널리 쓰여지고 있다. 교사들도 여기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기 시작하여, 아이들중의 일부가 읽기, 쓰기, 계산능력이 지능전반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어 있거나, 심한 집중력장애로 인해 지능에 비해 학습능력이 떨어져 학습장애속에 포함시켜 불러왔다. 또 일부의 아이들은 상당히 부산하고 잠시도 가만히 있지를 못하기 때문에 과잉행동증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부산한 행동보다는 오히려 산만하고, 집중력이 부족한 것이 좀 더 근본적인 문제라고 하는 연구결과로 인해 주의력결핍장애로 부르다가 현재의 진단명으로 변화해왔다. 그러나 이들이 어떤 이름으로 불려지던 문제는 대개 동일한 것을 가르키는 수가 많다. 다만 강조되는 부분에 따라 또는 관점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부르고 있다고 보면 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