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요한계시록의 에필로그(22:6-21): 석의와 신학적 의미

        강대훈(Daehoon Kang) 신학지남사 2023 신학지남 Vol.90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요한계시록의 에필로그(22:6-21)를 주석하고 신학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문학적, 역사적, 신학적 방법으로 본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한계시록의 에필로그(22:6-21)는 예언의 출처와 확실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계시록의 핵심 표현을 활용하고 구약의 배경을 사용하고 에필로그와 프롤로그(1:1-8)를 계시록의 수미상관으로 구성한다.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는 핵심적인 문구들을 공유하며, 이 문구들이 전개되는 순서도 비슷하다. 둘의 병행 관계는 에필로그가 프롤로그의 약속을 확신하게 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둘째, 세 단락(22:6-9, 10-15, 16-21)에서 예언의 말씀들을 지켜야 한다는 명령은 예수의 재림에 대한 약속과 연결된다: 첫 번째 단락(6a, 7b절과 7a절), 두 번째 단락(10a절과 12a절), 세 번째 단락(17a절과 17b절, 18a절과 20a절). 다시 말해서, 예수의 재림에 대한 약속은 지상에서 선지자적 사명을 받은 신자들이 예언의 말씀들을 지켜야 하는 근거와 이유로 제시된다. 셋째, 요한이 사용하는 구약 본문(계 22:11의 단 22:10; 계 22:18-19의 신 4:1-2; 29:19-20)은 성도들이 핍박받는 상황과 우상 숭배에 대한 경고를 배경으로 한다. 요한은 바벨론의 사치와 짐승의 위협 아래 있는 신자들에게 이스라엘의 역사를 교훈으로 제시한다. 에필로그에 등장하는 기도는 종말론적인 의미뿐 아니라 예배의 의미가 있다. 예배는 예언의 말씀들을 선포하는 것과 예수의 오심을 위해 소망과 기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epilogue of the Book of Revelation (22:6-21) and to analyze its theological implications. A literary, historical, and theological analysis of the text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John affirms the source and certainty of the words of prophecy by using the Old Testament background and paralleling the epilogue and prologue. The epilogue repeats key phrases in the prologue and follows a similar order of the prologue. Their parallelism is important as the epilogue confirms the promises of the prologue. Second, the epilogue consists of three units (22:6-9, 10-15, 16-21), and each unit connects the divine commission to keep the prophecy with the promise of Jesus’ coming: the first unit (vv. 6a and 7b), the second unit (vv. 10a and 12a), and the third unit (vv. 17a, 17b, 18a, and 20a). Hence, Jesus’ coming is portrayed as a reason for the faithful to keep the words of the prophecy. Third, the Old Testament texts (Dan 22:10 in Rev 22:11; Deut 4:1-2 in Rev 22:18-19; 29:19-20) are set against the backdrop of persecution of the saints and warnings against idolatry. This is how John presents Israel’s history as a lesson for believers under Babylon’s threat and temptation. Last, the prayer, “Come!” (vv. 17, 20) has an eschatological meaning, but also a liturgical function.

      • KCI등재

        마태의 탄생기사(1-2장)에 나타난 유대 묵시언어(꿈, 천사, 별)의 기능

        강대훈(Kang, Daehoon) 한국신약학회 2015 신약논단 Vol.22 No.1

        본 논문은 마태의 탄생 내러티브에서 유대 묵시 언어의 역할을 꿈, 주의 천사, 별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한 것이다. 유대 묵시 전통에서 하늘의 비밀은 하나님의 중개자 또는 매개체나 하늘로 초대 받은 묵시자들을 통해 땅의 영역으로 전달된다. 유대 묵시적 배경에서 보면, 하늘은 계시가 보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영역이었고, 하늘과 관련이 있는 꿈과 천사와 별은 하늘의 비밀을 땅에 전달하는 점에서 신뢰할만한 매체였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해서 마태복음은 유대 묵시 전통을 공동의 언어로 공유하던 독자들을 위해 꿈과 천사와 별을 하나님의 뜻 또는 구속사의 계획을 전달하는 매체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마태는 하나님의 계획을 계시하기 위해 꿈의 신적인 특징을 주의 천사와 연결해서 사용한다. 또한 별은 하늘에서 온 중개자로 동방의 박사들에게 보내져서 이들이 유대인의 왕인 아기 예수를 경배하도록 이끈다. 꿈, 주의 천사, 별의 중개자 역할은 하늘에 계시는 하나님이 자기 백성과 함께 거하기 위해 오셨다는 사실이며(1:23; 28:20), 하늘의 영역이 선택 받은 자들을 보호하고 인도하기 위해 땅의 영역으로 보냄 받은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마태는 유대 묵시적 언어를 탄생 내러티브에 사용함으로써 유대의 묵시적 세계관을 공유했을 독자들이 예수의 탄생 소식이 하늘에 있던 하나님의 계획임을 믿고 탄생 내러티브에 나타난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고 따르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aimed at investigating Matthew’s purpose of employing Jewish apocalyptic imagery in his infancy narrative, focusing on dreams, the angel of the Lord, and a star from heaven. In the Jewish apocalyptic tradition, the heavenly secrets, which were once hidden, have been revealed by God’s agents and the seers. Against these backgrounds, in his first narrative Matthew uses the divine nature of “dreams” in combination with “the angel of the Lord” to reveal God’s hidden plan and the divine identity of the infant Jesus who refers to the core of God’s plan of salvation. Matthew also employs “a star” as a heavenly intermediary guiding the magi to worship the infant Jesus as the king of the Jews. Matthew expects the implied readers, who know the revelatory function of these apocalyptic images, to realize the identity of Jesus. From a narrative perspective, the events in 1:18-2:23 have a pattern: an earthly situation → a supernatural guidance → a human response. Joseph resolves to divorce Mary quietly (1:18-19), and is faced with Herod’s secret plan to kill the male children in Bethlehem and the whole region (2:1-8, 16). The angel of the Lord, however, reveals God’s will through dreams (1:20-23; 2:13, 19-20, 22); a star guides the magi (2:2, 9). Joseph obeys (1:24-25; 2:14-15, 21; 22) what the angel of the Lord commands (1:20-23; 2:13, 19-20, 22); the magi follow the direction of the star. Therefore, the divine revelation is that the birth of Jesus means the fact that God is with his people (1:23; 28: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