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I. 입제형 침투성 살충제의 근계주변 토중처리효과

        최승윤,박형만,정부근,Choi Seung-Yoon,Park Hyung-Man,Chung Bu-Ken 한국응용곤충학회 1982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21 No.3

        본 시험은 침투성 살충제의 적송 근계주변 토중처리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여 유교 살충제의 선발, 나아가 현행 근계주변 토중처리 방법을 성력적인 처리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ldicarb$(Temik^{(R)}\;15G)$, Carbofuran$(Curaterr^{(R)}\;3G)$, Disulfoton$(Disyston^{(R)}\;5G)$를 고시, 흉고직후 cm 당 5g(유효성분량)을 근계주변원형처리(6월 25일)하여 솔잎 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Curaterre^{(R)},\;Temik^{(R)}$ 처리는 솥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우수하였으나 Disyston 처리의 방제효과는 낮은 편이었다. 난, 무처리에서 건전엽률, 피해흔적엽율은 각각 $49.9\%,\;16.4\%,\;33.7\%$인데 비하여 $(Temik^{(R)}$ 처리에서는 그들이 각각 $27.9\%,\;65.4\%,\;6.7\%$이었고 $Curaterr^{(R)}$ 처리에서는 각각 $64.8\%,\;23.7\%,\;1.5\%$이었으며 $Disystone^{(R)}$ 처리에서는 각각 $49.6\%,6.3\%,\;24.1\%$ 이었다. 처리방법 개선을 위한 시험에서는 $Temik^{(R)}$ 공시, 균고직경 cm 당 5g(유교성분량)을 6월 2일에 점식구 처리 (Pit treatment), 방사상식고랑처리(Radical furrow treatment),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Circle furrow treatment)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점식구멍처리에서는 구멍수의 증가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Temik^{(R)}$과 $Curaterr^{(R)}$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Temik^{(R)}$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Temik^{(R)}$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secticides aldicarb$(Temik^{(R)}\;15G)$, carbofuran$(Curaterr^{(R)}\;3G)$, and disulfoton$(Disyston^{(R)}\;5G)$ were evaluated in the field for the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Thecodiplosis joponensis Uchida et Inouye) at rate of 5 a.i.g/cm dbh using the method of circle-furrow treatment(ca. loom in furrow depth), apart 50cm Iron the trunk of the pine trees. In addition, for improving the application method of granular insecticides the effects of conventional circle-furrow treatment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it treatments and radical-furrow treatments. A single root-zone treatment of aldicarb and carbofuran i the pine trees was significanlty effective for the pressure of the gall incidence by the insects. Control effectiveness in three-pit treatment was identical with those in conventional circle-furrow treatment. The pit treatment compared with the circle-furrow and radical furrow treatments would be a further feasible method in saving labor cost.

      •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 고농도 ULV 엽면살포효과

        최승윤,박형만,정부근,Choi Seung-Yoon,Park Hyung-Man,Chung Bu-Ken 한국응용곤충학회 1982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21 No.2

        ULV기에 의한 살충제의 농도(50배희석)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본 시험은 1980년도 경기도 시흥군 의왕면 의왕읍 일대, 10년생미만 적송림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살충제 Salithion(25 EC), Decamethrin$(Decis^{(R)},\;1EC)$, Phenthoate$(Elsan^{(R)},\;47.5\%)$, Diazinon(34 EC), Chlorfevinphos$(Birlane^{(24)},\;24\;EC)$, Phosalone$(Zolone^{(R)},\;25\;EC)$ 및 Methamidophes$(Tamaron^{(R)},\;60\;SL)$를 50배로 희석, 1구 10주당 500ml씩 6월 6일에 건전시용 ULV기(12v, Union Carbide 제)로 일동 엽면처리하였다. 충영엽율은 무처리 $53.3\%$에 비하여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에서 각각 $11.8\%,\;15.4\%,\;15.5\%$로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Diazinon(19.3\%),\;Chlorfevinphos(20.4\%),\;Phoslaone(24.3\%),\;Methamidophos(31.5\%)$ 순으로 방제효과가 낮았다.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의 방제 70 이상을 보였으나 그 밖에 살충제들은 비교적이다. 고농도 엽면살포에 의한 솔잎혹파리방제용 살충제 Salithion을 대체할 저독성살충제는 Decamthrin Phenothoate라고 사료된다. The insecticides salithion$(Salithion^{(R)},\;25\;EC)$, decamethrin$(Decis^{(R)}\;1\;EC)$, phenthoate$(Elsan^{(R)},\;47.5\;EC)$, diazinon$(Diaton^{(R)})$, chlorfevinphes$(Birlane^{(R)},\;24\;EC)$, phosalone$(Zolone^{(R)},\;25\;EC)$, and methamidophos$(Tamaron^{(R)},\;60\;SL)$ were evaluated on the effectiveness of single ULV foliar spray for the control of the pine fall midges(Ther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when the insecticides diluted with the 50 times of water were applied to the pine trees$(1.5\~2m\;in\;height)$ on June 6 by ULV Sprayer(Battery-type of 12 voltage, devised by Union Carbide). A single ULV foliar spray of salithion, decamethrin, and phethoate among the insecticides tested was significantly effective for the pressure of the gall incidence by the insects.

      •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II. 침투성 살충제의 수간주입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최승윤,박형만,정부근,Choi Seung-Yoon,Park Hyung-Man,Chung Bu-Ken 한국응용곤충학회 1982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21 No.4

        본 시험은 Omethoate (Folimat) 외 6종의 침투성 살충제를 공시하여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는 한편 관행 Drilltlr 수간주입방법을 보다 성력적인 방향으로 개량코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osalone$(Rubitox^{(35)}\;EC)$을 제외한 Omethoate $(Folimat^{(R)}\;50\;EC)$, Vamidothion (Kilval 40 EC), Methamidophos $(Tamaron^{(R)}\;60\;SL)$, Phosphamidon $(Dimecron6{(R)}\;50\;EC)$, Monocrotophos $(Nuvacron^{(R)}\;24\;EC)$ 및 Dimethoate $(Roger^{(R)}\;50\;EC)$의 수간주입은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다. 2. 관행 Drill 식 수간주입과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간에는 그 효과발현에 차이가 없었다. 3. 관행 Drill식 수간주입에서 주입공의 상처회복율은 $14\%$인데 비하여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에서는 $100\%$ 완전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량 Mauget식을 도입하므로서 보다 성력적인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다고 본다. Using the two different trunk-implantation methods, the systemic insecticides omethoate $(Folimat^{(R)}\;50\;EC)$, vamidothion $(Kilval^{(R)}\;40\;EC)$, methamidophos $(Tamaron^{(R)}\;60\;SL)$, phosphamidon $(Dimecron^{(R)}\;50\;EC)$, monocrorotophos $(Nuvacron^{(R)}\;24\;EC)$, dimethoate $(Rogor^{(R)}\;50\;EC)$, and phosalone$(Rubitox^{(R)})$ were evaluated for the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Except phosalone, all the insecticides tested in this experiment were very effective for the suppression of the gall incidence by the ins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iveness between the conventional drilling and improved Mauget methods, and trunk-implantation of the insecticides by the improved Mauget method seemed to be much more feasible in practical view points of the labor cost saving the recovery of the holes dril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