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만성신부전증에서 혈청 CEA치에 관한 연구

        이정상,신영태,정순일,고창순,김성권,표희정,권인순 대한핵의학회 1980 핵의학 분자영상 Vol.14 No.2

        저자들은 1979년 3월부터 1980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내과에 입원하여 만성신부전증으로 진단받고 혈액투석요법을 받지 않은 환자 15예, 혈액투석요법을 시행중인 환자 39예 및 신장이식술을 받고 신장능이 호전된 환자 23예에서 혈청 CEA치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여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 성인 65명의 혈청 CEA치의 범위는 1.0∼4.3 ng/ml이었으며 평균은 1.6±0.66 ng이었다. 2) 혈액투석요법을 시행치 않은 만성신부전증 환자 15예의 혈청 CEA치는 0.3∼8.3 ng/ml이었고 평균은 3.6±2.10 ng/ml로써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lt;0.001). 3) 혈액투석요법으로 치료중인 만성신부전증 환자 39예의 혈청 CEA치는 0.7∼6.7 ng/ml로 평균이 3.0±1.52 ng/ml이며,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상승되어 있으나(p$lt;0.001), 혈액투석을 받지 않은 환자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신이식 환자 23예의 혈청 CEA치의 분포는 1.8∼10.8 ng/ml이고 평균은 3.8±1.96 ng/ml로 역시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나(p$lt;0.001), 만성신부전증 환자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이상의 혈청 CEA치가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된 49명��환자중 이학적 소견이나 검사소견상 악성종양은 발견되지 않았다. The serum CEA level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technique in 15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who were not treated with hemodialysis, in 39 patients under hemodialysis and in 23 patients who received renal transplantatio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65 normal adult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erum CEA concentrations in 65 normal adults were in the range of 1.0 to 4.3 ng/ml with a mean value of 1.6±0.66 ng/ml. 2) Serum CEA concentrations in 15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who were not treated with hemodialysis, were in the range of 0.3 to 8.3 ng/ml with a mean value of 3.6±2.10 ng/m1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P$lt;0.001). 3) Serum CEA concentrations in 39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under hemodialysis were also much higher than normal controls(p$lt;0.001),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tients who were not under hemodialysis(P$gt;0.05). 4) In 23 patients who received renal transplantation, serum CEA levels were s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controls(P$lt;0.001),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 티타늄 스폰지를 이용한 수소 흡장 특성

        이성호,김광락,안도희,유재형,백승우,손종식,임성팔,정홍석 한국공업화학회 2001 응용화학 Vol.5 No.2

        Hydrogen absorp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the titanium(Ti) sponge for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hydrogen absorption. From experimental results, Ti sponges showed the high hydrogen absorption capacity inspite of low reaction temperature. The H/M which mean the capacity of hydrogen absorption was measured 2.0 for Ti sponge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of 25℃. The effects of the reaction temperature, activation conditions, and the presence of helium in the hydrogen were investigated.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수소동위원소 혼합물의 분리 특성

        이성호,김광락,안도희,이한수,유재형,정흥석,강희석,백승우 한국공업화학회 1999 응용화학 Vol.3 No.2

        Gas chromatography has been used as one of the practical methods for separation and enrichment of hydrogen isotopes in filds of operation or handling a hydorgen isotope facility. Chromatographic separation experiments of a mixture of hydorgen isotopes including with hydorgen, hydrogen deutride and deuterium. The complete separation of hydrogen isotopes was observed with an alumina adsorbent partially deactivated by coating with 10% manganese chloride(MnCl₂).

      • KCI등재

        암에르고미터 운동시 여유심박수에서의 신체작업능력(PWC%HRR)을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에 관한 연구

        정성태,전태원,정덕조,정영수,엄우섭,이동기,윤호섭 한국운동과학회 2000 운동과학 Vol.9 No.1

        암에르고미터 운동시 여유심박수에서의 신체작업능력(PWC%HRR)을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 측정에 관한 연구 운동과학. 제 9권 제 1호. (1)-(12),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암에르고미터 운동시 여유심박수에서의 신체작업능력(PWC%HRR)을 이용해 최대산소섭취량(O₂_(max))을 추정하는데 있어 그 타당성을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20대 남자 대학생(21.1±2.77)20명이 참가 하였다. 이들의 안정시 심박수는 5분간 EKG로 측정되었고, 최대산소취량은 암에르고미터에서 50rpm의 속도로 20W에서 운동을 실시하고 매 3분 간격으로 10W씩 증가시켜 피험자가 탈진시까지 운동을 지속시켰다. 여유심박수 계산에 있어서 최대심박수는 수식(HRmax = 210 - age)으로 계산되었다. PWC%HRR의 계산은 점증부하 운동상에서 120≤R≥160의 범위에 발견된 HR과 O₂의 관계식(Y=bx+a)에 의하였다. 강도별 상대적 백분율 범위는 50∼85%사이였으며, 비교대상은 PWC%HRR, O₂R, O₂_(max)이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HRR과 O₂R, O₂_(max)간의 회귀분석결과 %HRR은 O₂_(max)보다 O₂R에 가까웠다. 둘째, 각 강도별 PWC%HRR과 O₂R, O₂_(max)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PWC%HRR은 O₂_(max)보다 O₂R에 보다 가까웠다(P<.05). 셋째, O₂_(max)의 실측치와 PWC%HRR = O₂R에 의한 추정치 사이에는 모든 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상관관계는 PWC%HRR에서 가장 높았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에르고미터 운동검사 과정에서 만족할 만한 O₂_(max) 발견하지 못했더라도 최소한 60%HRR에 해당하는 심박수가 발견될 때까지 운동을 수행하였다면 일련의 방식에 의해 O₂_(max)의 추정이 가능하다고 본다. The study on Estimation of maximal oxygun uptake through PWC%HRR during Arm Ergometer Exercise. Exercise Science, 9(1): 1-12,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for estimation of maximal oxygen uptake through PWC%HRR during Arm Ergometer Exerci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healthy males(21.2±2.77yrs) college students. Resting heart rate of subjects were recorded by EKG for 5min. the maximal oxygen uptake was determined until subjects were exhausted. The first stage was performed 50rpm, 20W, and then was increased by 10W every 3 minutes on the arm ergometer. HRmax was determined by a numerical formula of HRmax = 210-age. PWC%HRR was assessed by relative equation (Y=bX+a) of HR and V˙O₂ observed in range 120≤R≥160 during the exercise test. Range of relative percentage was between 50% and 85%, comparison factor was examined among PWC%HRR, % V˙O₂R and % V˙O₂_(ma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among PWC%HRR, % V˙O₂R and % V˙O₂_(max), %HRR was equivalent to % V˙O₂R rather than V˙O₂_(max).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PWC%HRR, % V˙O₂R and V˙O₂_(max) in the all intensity, But the PWC%HRR was closer to % V˙O₂R rather than V˙O₂_(max)(P<.05). 3)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the actual V˙O₂_(max) and the estimation value by PWC%HRR = % V˙O₂R in the all intensity,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the most correlated at the estimation value by PWC%60HRR. It was concluded that if the satisfactory V˙O₂_(max) was not found in Arm Ergometer exercise test but heart rate corresponded to 60%HRR, V˙O₂_(max) can be estimated by a series of equation.

      • KCI등재

        프로골프선수의 슬관절 등속성 근력에 관한 굴곡근과 신전근의 비교연구

        박성태,정성태,정덕조,정영수,엄우섭,전태원,우재홍,박익렬 한국운동과학회 2000 운동과학 Vol.9 No.1

        프로골프선수의 슬관절 등속성 근력에 관한 굴곡근과 신전근의 비교연구. 운동과학, 제 9권 제 1호. (201)-(209), 2000. 본 연구는 장기간의 골프운동이 슬관절의 단축성 굴근력과 신근력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 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24명의 프로골프선수들(29.60±3.8세)로 골프경력은 12±1.7년으로 대상자 전원이 오른손을 주로 사용(우타)하였다. 측정은 등속성근력계(Cybex 770)를 이용하여 각속도 60°/sec와 180°/sec에서 3회씩 좌·우 교대로 측정하였다. 측정변인은 peak torque, peak torque 발현각, 평균파워, 총운동량 등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슬관절 굴곡근과 신장근의 좌·우 근력 비교에서 각속도 180°/sec로 굴곡성 운동시 총 운동량(total work)에서 좌·우측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나머지 측정변인에서는 굴곡근과 신전근 모두 부하각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굴곡력의 경우 우측하지가 좌측하지에 비하여 높았으나 신전력의 경우 좌측하지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각 변인의 평균치에 대한 60°/sec와 180°/sec간의 비교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슬관절 굴곡근의 신전근에 대한 비율(Flexor/Extensor Ratio)은 60°/sec에서 60%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좌·우측간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다년간의 골프운동은 하지의 슬관절 근기능을 발달시키며 우측하지에 비해 좌측하지의 신전근에 더 많은 발달을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A study on isokinetic concentric torque of kee extensor and flexor in golf players. Exercise Science, 9(1): 201-209, 2000. The purpose of this sty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ng therm golf exercise on isokinetic concentric torque of kee extensor and flex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men progolf players(29.60±3.8yrs) who have experience of 12±1.7yrs golf exercise and use mainly a right hand.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by use of Cybex 770 in angular velocity 60˚ /sec, 180˚ /sec and 3 repetitions. The variable of measure were peak torque, angle of peak torque, average power, total work and so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re only was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oth low limb in Total work of knee flexor in angular velocity 180°/sec(p<.05) but not in other variables in both angular valocity. Right low limb was little stronger than reft low limb in flexor but there was opposite result in extensors.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60°/sec and 180°/sec in all varible. Knee flexors and extensors ratio was lower than 60% in angular velocity 60°/sec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low limb. It might be concluded from the test that long term golf exercise strengthen muscle function of knee flexors and extensor and left knee extensors more strengthen than right knee extensors.

      • KCI등재

        EPS 공정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통한 안전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정재희,김형석,최광석,이영순 한국산업안전학회 1999 한국안전학회지 Vol.14 No.2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and consequence analysis by accident scenario in the process of EPS(Expendable Poly Stylene) reaction process are conducted.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s studied followed by selecting various alternatives to safety management and facility improvement.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object of decision making through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are the scenario which can cause four major accident, which are made by process analysis, work analysis and hazard identification. 2) Frequency analysis of ETA, FTA, HRA and consequence analysis of accident to each have been conducted. The each frequency values are yielded 9.2×10^(-5)/yr to scenarios 1, 8.2×10^(-4)/yr to scenario 2, 4.5×10^(-6)/yr scenario 3 and 1.8×10^(-7)/yr to scenario 4. The each scenarios have been conducted consequence analysis. 3) The calculated values have been obtained 4.00 to scenario 1, 3.25 to scenario 2, 2.43 to scenario 3 and 1.34 to scenario 4, as the weight value had been applied to the quantitative and normalized criteria of all components. As a risk criteria, scenario 1 have been selected, which is the most dangerous scenario as a result of ranking the scenario. 4)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FTA and contribute to scenario 1, the cost-benefit values are yielded 8.05×10^5[₩/yr] to final alternative(A1), 1.55×10^5[₩/yr] to final alternative(A2) and 2.32×10^5[₩/yr] to final alternative(A3). As a result of final alternative(A1) has been selected, which is the most optimized alternative.

      • KCI등재

        최대운동시 항산화제 투여와 운동처지가 대사 및 근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성태,정덕조,전태원,최명동,이왕록 한국운동과학회 2000 운동과학 Vol.9 No.1

        최대운동시 항산화제 투여와 운동처치가 대사 및 근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 9권 제 1호. (137)-(148), 2000. 본 연구는 6주간의 항산화제 투여와 운동처치가 대사반응 및 하지근육의 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학교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6주간의 항산화제 투여(비타민 E+C, 위약)와 운동처치(처치집단, 통제집단)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주간의 항산화제 투여(비타민 E+C, 위약)와 운동처치(처치집단, 통제집단)를 실시한 후, 각 집단간 운동지속시간을 비교한 결과는 항산화제를 투여한 집단에서 위약을 투여한 집단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둘째, 6주간의 합산화제 투여(비타민 E+C, 위약)와 운동처치(처치집단, 통제집단)를 실시한 후, 각 집단간 최대산소섭취량을 비교한 결과는 항산화제를 투여한 집단에서 위약을 투여한 집단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세째, 6주간의 항산화제투여(비타민 E+C, 위약)와 운동처치(처치집단, 통제집단)를 실시한 후, 각 집단간 근피로도(평균파워주파수)을 비교하였다. 각 집단간 평균파워주파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항산화 비타민 복합섭취는 운동수행력에 있어서 약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좀 더 정확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세포수준에서의 세일한 측정과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 KCI등재

        진동형 분진 최소착화에너지측정장치에서 분진 응집현상이 미치는 영향

        정재희,최충석,목연수,최광석,황명환,우인성,Yamaguma, M.,Kodama, T.,Cheung, W.L. 한국산업안전학회 1999 한국안전학회지 Vol.14 No.3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Hartmann tube for measuring the minimum ignition energy(MIE) of powder. But It requires long time and operational skills for measuring. As a variety of new fine powders are being produced day by day in industry, Japen has been developing a measurement system which employs a new method to create a dust/air mixture in a miniature combustion box. In this system, by vibration, the powder is successively fed downward through a hopper made up of metal mesh, and then it is formed into a thin, certain-like, dust/air mixture. With this new apparatus, three types of powder-Lycopodium, Anthraquinone, and Polyacrylonitrile-were tested and the data of MI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conventional apparatus (the Hartmann tube). Two of them agreed satisfactory, but the other, Anthraquinone, showed quite different values. It is guessed that the agglomerations of the powder particles appear because of particle shapes, static-charge and humidity.

      • KCI등재

        지구성 선수와 비지구성 선수의 동적 및 정적운동 중 심순환계 반응

        정덕조,주기찬,변재경 한국운동과학회 2000 운동과학 Vol.9 No.1

        지구성 선수와 비지구성 선수의 동적 및 정적 운동 중 심순환계 반응. 운동과학. 제 9권 제 1호, (13)-(28), 2000 본 연구는 지구성 동적유형의 운동선수와 비지구성 정적유형의 운동선수의 동적 및 정적운동 중 심순환계 반응을 비교함으로써 운동유형에 따른 적응현상을 알아 보는 데 그목적을 두었다. 피검자는 총 27명으로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역도선수 9명(나이 18±2세, 신장 171±5㎝, 체중 78±9㎏, 운동경력 6±1년), 레슬링선수 9명(나이 19±2세, 신장 168±6㎝, 체중 67±13㎏, 운동경력 6±1년), 장거리선수 9명(나이 19±2세, 신장 171±4㎝, 체중 58±5㎏, 운동경력 8±3년)이었다. 피검자는 트레드밀을 이용한 동적운동과 다용도 근력장치(Cybex 770)을 이용한 정적운동을 각각 하였고 두가지 운동 중 심박수,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 심근산소요구량(RPP)을 체중당 산소섭취량, 산소맥, 호흡교환률을 측정하였다. 동적 및 정적운동 중 심박수, 심근의 산소요구량은 각 상대적 운동강도별로 역도 선수, 레슬링 선수, 장거리 선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축기 혈압은 동적운동 중 장거리 선수, 레슬링 선수, 역도 선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정적운동 중에는 반대로 역도선수, 레슬링 선수, 장거리 선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확장기 혈압은 동적운동 및 정적운동 중 장거리 선수, 레슬링 선수, 역도 선수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체중당 산소섭취량은 동적운동 중 장거리 선수, 레슬링 선수, 역도 선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적운동 중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장거리 선수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소맥과 호흡교환률은 동적 및 정적운동 중에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 집단은 각기 고유의 운동유형에 따른 적응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그 중에서 장거리 선수의 적응 특성은 전형적인 지구성 트레이닝의 효과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한 심순환계 적응을 보여 주었다. Cardiovascular Responses to Dynamic and Static Exercise in Endurance and Nonendurance athletes. Exercise Science, 9(1): 13-28,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ardiovascular reponses during dynamic and static exercise in weightlifters, wrestlers, and distance runners, so that the difference of cardiovascular adaptation among them might be verified. The subjects were 27 high school and collegiate athletes and consisted of 9 weightlifters, 9 wrestlers, and 9 distance runners. Each group of athletes performed treadmill running and isometric knee extension as a dynamic and static exercise, respectively. Cardiovascular variables such as HR, SBP, DBP, RPP and metabolic variables like Vo2/㎏, O2-pulse, R were measured during both exercise. HR and RPP were highest in weightlifters and lowest in distance runners at each relative workload. SBP during dynamic and static exercise were highest in distance runners and lowest in weightlifters, respective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highest value of SBP in distance runners during dynamic execise resulted from increased SV. However, the highest value of SBP in weightlifters during static exercise mainly resulted from increased peripheral resistance. By the same token, DBP decreased during dynamic exercise reflected decease of peripheral resistance and increased DBP during static exercise depended on increase of peripheral resistance. Distance runners showed lowest DBP value during both dynamic and statric exercise. Vo2 values during both dynamic and static exercise were highest in distance runners. However, O2 pulse and repiratory rati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groups. Each group of athletes seemed to have their own adaptive characteristics due to exercise type and training specificity. From the view point of health related exercise, it was considered the most desirable cardiovascular adaptation took place distance runners.

      • SCOPUSKCI등재

        Ketamine 정맥마취가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정종달,강철,민주홍,김광모,권병연 대한마취과학회 1983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16 No.4

        An increasing interest in intravenous anesthetic techniques has resulted from the availability of more efficacious intravenous agents, possible discomfort of the patient on endotracheal intubation and the concern over anesthetic pollution in the operating room.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venous anesthesia with ketamine on the respiratory system by comparing arterial blood gas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Analysis of arterial tlood for PCO_2, PO_2, pH, and base excess were carried out.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were monitored on 15 paienta in ASA class I for diagnostic or short procedures. Each patient was premedicated with atropine 0.01 mg/kg and Talium 0.2 mg/kg intramuscularly 30 minutes before the procedure. Ketamine was adnlinisteree intravenously 1.0-1.5 mg/kg or interamuscularly 3-5 mg/kg for induction of anesthesia. The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ketamine 0.5~l.Omg/kg and Valium 0.1 mg/kg every 5 to 10 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ketamine anesthesia soomed not to cause any untoward effect on respiratory function. In other words, ketamine aeems to be a safe and good intravenous anesthetic agent for diagnostic or short surgical proced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