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성장 속도와 중견기업의 유형분석 - 매출과 고용 중심으로 -

        노용휘 ( Yonghwi Noh ),최동현 ( Donghyun Choi ),정원호 ( Wonho Jeong ),이병헌 ( Byungheon Lee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7 로지스틱스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성장속도에 따라 중견기업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다양한 기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청과 중견기업연합회가 공동 실시한 중견기업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총 2505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성장속도의 분류 기준으로는 매출증가율과 고용증가율을 활용하였으며 유형별 특성 분석을 위한 변수로 기업 연륜, 상시근로자수, 경영형태, 소속그룹 존재여부, 매출규모, 매출총이익률, 영업이익률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고성장 기업의 매출규모 및 고용규모가 일반기업에 비해 오히려 큰 것으로 나타나 규모가 작은 기업의 성장속도가 빠를 것이라는 통념을 깨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고용증가율이 큰 기업의 경우 이익률이 일반기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높은 매출규모와 이익률이 일자리 창출의 원동력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에서 산업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 육성 정책을 개발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하겠다. 이는 우리나라에 많은 물류 기업이 중소 기업 및 중견 기업인 점에서도 많은 시사점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mid-sized firm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growth speed, by employing the financial and survey data of 2505 mid-sized firms in Korea. We used sales and employment growth rate as criteria for the firm growth speed, and employed firm history, number of employees, management type, existence of affiliate conglomerate, sales volume, sales income rate and operating income rate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firms with high growth speed have larger volume in sales and employment compared to the normal firm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oncept that small firms grow faster than large firms.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firms with high employment growth have higher profit rate compared to the normal firms. These results might provide useful insights to develop policies to support mid-sized firms considering the growth rate.

      • KCI등재

        수출에 따른 중견기업 유형별 특성 분석

        노용휘(Yonghwi Noh),최동현(Donghyun Choi),정원호(Wonho Jeong),이병헌(Byungheon Lee) 한국생산관리학회 2016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국내 중견기업 약 1568곳을 대상으로 수출 규모 및 수출 여부에 따라 글로벌 강소기업, 수출 유망기업, 수출 초보기업, 내수기업으로 중견기업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중소기업청과 한국중 견기업연합회가 공동으로 실시한 2014년 중견기업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중견기업은 수출에 상 당히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의 모습이 중견기업에서도 그대로 관찰되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기업연륜은 수출기업의 경우 내수기업에 비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기업의 소속그룹 존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갈수록 소속그룹 존재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규모는 수출규모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매출규모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규모 유형별 중견기업 간에 영업이익률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볼 때 중견기업으로서 매출 증대 및 기업의 수명을 향상 시키는 등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수출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경쟁력 있는 중견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irm profile characteristics (e.g., sales, type of industry, etc.) of mid-sized firms based on export scale by using the survey and financial data of 1,568 mid-sized firm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mid-sized firms considerably rely on export for their growth, which follows the export-dependent structure of the Korean economy. Firms with an export history were found to have a relatively longer firm history than firms without an export history. The results also show that as the export scale of firms increase, the ratio of conglomerate affiliation decrease. Also as the export scale of firms increase, the sales of firms increas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rating income ratio was observed. The results indicate that expor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growth of Korean mid-sized firms, a factor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building growth strategies. Also, these results imply that not only export scales, but also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the history, conglomerate affiliation, sales, operating income of a firm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make more effective policies.

      • KCI등재SCOPUS

        Artificial Intelligence Plant Doctor: Plant Disease Diagnosis Using GPT4-vision

        Yoeguang Hue,Jea Hyeoung Kim,Gang Lee,Byungheon Choi,Hyun Sim,Jongbum Jeon,Mun-Il Ahn,Yong Kyu Han,Ki-Tae Kim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24 식물병연구 Vol.30 No.1

        Integrated pest management is essential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that reduce crop yields. Rapid diagnosis is crucial for effective management in the event of an outbreak to identify the cause and minimize damage. Diagnosis methods range from indirect visual observation, which can be subjective and inaccurate, to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predictions that may suffer from biased data. Direct molecular-based methods, while accurate, are complex and time-consuming. However, the development of large multimodal models, like GPT-4, combines image recognition wit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r more accurate diagnostic information. This study introduces GPT-4-based system for diagnosing plant diseases utilizing a detailed knowledge base with 1,420 host plants, 2,462 pathogens, and 37,467 pesticide instances from the official plant disease and pesticide registries of Korea. The AI plant doctor offers interactive advice on diagnosis, control methods, and pesticide use for diseases in Korea and is accessible at https://pdoc.scn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