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자상거래 관련 국제규범에 관한 논의

        최병철 울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1 사회과학논집 Vol.11 No.1

        국제기구에서의 전자상거래 논의는 범세계적인 전자상거래 확대를 위한 장애요인의 제거와 전자상거래에 적합한 국제적인 규범 제정 논의이다. 따라서 정부의 역할은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최소한의 환경조성에 국한하고 창의적인 민간부문의 주도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것이 기본원칙이다. 그러나 상품과 서비스의 국경간 이동에 따르는 통관, 조세, 거래 이행에서의 분규 및 소비자 보호 등 다양한 문제의 발생이 예상된다. 그러므로 이들 문제의 사전 예방 및 사후 처리를 위한 국제적 규범화 작업이 OECD 및 WTO 등 국제기구에서 미국의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전자상거래의 발전을 위하여는 전자상거래에 참여하는 민간부문의 자율규제가 바람직하며, 전자상거래가 기존의 거래와 차별을 받지 않고 또한 법적 안전성과 예측가능성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법.제도에 의한 정부의 개입이 제한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lectronic commerce is creating a new mode of delivering new types of production in a global market. Now, electronic commerce is discussed for dismantling the barriers to global electronic commerce and for establishing the global framework by world organization. Therefore, principles for electronic commerce are minimizing the government polices and emphasizing the creative private roles. But various issues are expected for the electronic commerce, for examples, tariffs, taxation, consumer protection, private protection, intellectual property, and security. So, self-regulatory of private sector is desired for the development of eiectronic commerce. The limited government intervention is only required for securing the distinction of transaction.

      • KCI등재

        기상청의 농업기상 관측환경과 정기보고서: 현황 및 제언

        최성원 ( Sung Won Choi ),이승재 ( Seung Jae Lee ),김준 ( Joon Kim ),이병렬 ( Byong Lyol Lee ),김규랑 ( Kyu Rang Kim ),최병철 ( Byoung Choel Choi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2

        2011년 농업기상 관측장비의 재배치 사업 이후, 기상청의 농업기상 관측환경은 전반적으로 상당히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실시한 현지답사 결과를 바탕으로, 1) 확실한 관리주체의 확립, 2) 유관기관들 간 상호협조강화, 3) 관측환경 변화에 대한 상세한 기록, 4) 장비와 센서의 표준화 5) 통일된 형태의 안내판 설치, 6) 부적합한 환경 하에 놓여 있는 장비의 인접 장소로의 이동, 7) 자동화된 증발계의 설치가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확보된 고품질의 자료를 활용하기 위하여 현재 중단되어 있는 농업기상 정기보고서의 제작이 필요하며, 우리 나라의 현황을 감안할 때 1년에 한차례 국가 전체에 걸쳐 지난 1년 간 일어난 특징적인 농업기상 현상들을 시간 순으로 서술하는 독일이나 캐나다의 연례보고서를 참고할 것을 제안한다. Since the relocation project of equipment in 2011, the overall circumstances of KMA’s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 have been significantly improved. Some concerns, however, emerge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observational circumstances in terms of quality assurance after the field surveys on all st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situation, we suggest: (1) establishment of clear management responsibilities, (2) enhancement of mutual cooperation system between relevant organizations, (3) detailed records of the changes in the observational circumstances, (4) standardization of equipment and sensors, (5) installation of unified information boards, (6) transfer of inappropriate facilities to an adjacent cropland and (7) setup of automated evaporation pan.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high-quality data obtained through improvement of observational circumstances and an elaborate quality control, it is recommended to publish and disseminate regular reports on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s. To produce such a report on a trial basis, we have investigated different types of regular reports issued by domestic and foreign organizations, publication periods, geographical scope, main contents and amount. Based on our current situation, it would be beneficial to learn from the cases of Germany and Canada, which summarize mainly the distinctive agrometeorological phenomena occurred over the past years across the country.

      • KCI등재

        이동형 차량탑재 라이다 시스템을 활용한 경계층고도 산출 및 분석

        남형구 ( Hyoung Gu Nam ),최원 ( Won Choi ),김유준 ( Yoo Jun Kim ),심재관 ( Jae Kwan Shim ),최병철 ( Byoung Choel Choi ),김병곤 ( Byung Go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6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2 No.3

        대기경계층고도 (Planetary Boundary Layer Height, PBLH)는 기상예측모델과 대기확산모델에 중요한 예측 인자이다. PBLH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시공간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공간 고해상도로 관측된 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국립기상과학원 재해기상연구센터에서 운영중인 차량에 탑재된 라이다 시스템(Lidar observation Vehicle, LIVE)을 소개하고 이것으로 관측된 PBLH의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기간 (2014년 6월 26일~30일) LIVE에서 산출된 PBLH는 WRF와 라디오존데에 서 산출된 값과 비교하여 결정계수가 각각 0.68, 0.72로 높은 상관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라이다로 산출된 PBLH는 WRF, 라디오존데와 비교하여 값을 과대모의 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라이다가 중첩고도 이하 (< 300m)에서 나타나는 PBLH를 찾아내지 못하고 중첩고도 이상에서 나타나는 잔류층 (Residual Layer, RL)을 PBLH로 산출한 결과라 생각된다. 라이다를 활용하여 10분 시간 해상도로 산출된 PBLH는 일출 뒤 성장하다 태양의 남중이 최고가 되는 시점의 2시간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전형적인 일변화 경향을 보여주었다. 분석기간 평균 PBLH의 성장률은 1.79 (-2.9 ~ 5.7) m min-1 였다. 또한, 이동 중 관측된 라이다 신호를 고정관측 기반자료와 비교한 결과 잡음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 중 관측된 PBLH의 평균은 1065 m 였으며 인근 속초에서 비양된 라디오존데 (1150 m)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LIVE가 고해상도 의 시공간 자료를 안정적으로 산출 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LIVE의 장점은 에어로졸 및 대기구조에 대한 새로운 관측 패러다임 제시와 관측기술선진화에 기여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Planetary Boundary Layer Height (PBLH) is a major input parameter for weather forecasting and atmosphere diffusion models. In order to estimate the sub-grid scale variability of PBLH, we need to monitor PBLH data with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Accordingly, we introduce a LIdar observation VEhicle (LIVE), and analyze PBLH derived from the lidar loaded in LIVE. PBLH estimated from LIVE shows high correlations with those estimated from both WRF model (R^{2} = 0.68) and radiosonde (R^{2} = 0.72). However, PBLH from lidar tend to be overestimated in comparison with those from both WRF and radiosonde because lidar appears to detect height of Residual Layer (RL) as PBLH which is overall below near the overlap height (< 300 m). PBLH from lidar with 10 min time resolution shows typical diurnal variation since it grows up after sunrise and reaches the maximum after 2 hours of sun culmination. The average growth rate of PBLH during the analysis period (2014/06/26 ~ 30) is 1.79 (-2.9 ~ 5.7) m min-1. In addition, the lidar signal measured from moving LIVE shows that there is very low noise in comparison with that from the stationary observation. The PBLH from LIVE is 1065 m, similar to the value (1150 m) derived from the radiosonde launched at Sokcho. This study suggests that LIVE can observe continuous and reliable PBLH with high resolution in both stationary and mobile systems.

      • KCI등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한 한반도 미래 풍력·태양-기상자원 변동성

        변재영(Byon, Jae-Young),김유미(Kim, Yumi),최병철(Choi, Byoung-Choel)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4 신재생에너지 Vol.1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future variability of surface wind speed and solar radiation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over the Korean Peninsula. Climate change scenarios used in this study are RCP 4.5 and 8.5 with a 12.5 km horizontal resolution. Climate change scenario RCP 4.5 and 8.5 reproduce the general features of wind speed over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strong wind speed during spring and winter and weak wind speed during summer. When compared with the values of wind speed and solar radiation of the future, they are expected to decrease current wind and solar resource map. Comparing the resource maps using RCP 4.5 and 8.5 scenarios, wind speed and solar radiation decrease with increasing greenhouse gas concentration. Meteorological resource maps of future wind and solar radiation should be improved with high resolution for the industrial application.

      • KCI등재

        다파장 라만 라이다 관측을 통한 황사의 이동 고도 분포에 따른 광학적 특성 변화 규명

        신성균 ( Sung Kyun Shin ),박영산 ( Young San Park ),최병철 ( Byoung Choel Choi ),이권호 ( Kwon Ho Lee ),신동호 ( Dong Ho Shin ),김영준 ( Young J Kim ),노영민 ( Young Min Noh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4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0 No.5

        광주과학기술원의 다파장 라만 라이다를 이용한 에어로졸 연속관측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수행되었다. 장기 연속 관측을 통해 얻어진 라이다 신호들의 분석을 통해 편광소멸도를 산출해 내었고, 편광소멸도를 통하여 황사 층을 구분해 내었다. 구분된 황사의 층의 광학적 특징들이 관측 고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신호의 분석으로부터 밝혀졌다. 이러한 광학적 특징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HYSPLIT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 관측된 황사 층들의 유입 경로와 이동 중 고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황사의 관측 고도에 따른 광학적 특성의 변화는 황사가 장거리 이동 중 통과한 오염물질 발생 지역에서 발생한 오염물질과의 혼합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오염물질 발생 지역을 지날 때의 황사 층의 고도는 황사의 광학적 특성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년간 라이다 관측 시스템으로 관측한 황사 중, 중국 산업지역 및 인구밀집도가 높은 지역 등과 같은 인위적 기원의 오염물질 발생 지역을 통과할 때의 고도가 1km 이하 일 때, 0.12 ± 0.01의 낮은 편광소멸도, 355 nm와 532 nm 파장에서 각각 67 ± 9 sr, 68 ± 9 sr 의 낮은 라이다비, 1.05 ± 0.57의 낮은 옹스트롬 지수(Angstrom expon) 보였으며, 이는 오염물질이 갖는 광학적 특성 값과 유사하다. 이와 반면 황사가 3 km 이상의 높은 고도로 오염물질 발생 지역을 통과한 경우는 0.21±0.09의 편광소멸도, 355 nm와 532 nm 파장에서 각각 48 ± 5 sr, 46 ± 4 sr 의 라이다 비, 0.57 ± 0.24 의 옹스토롬 지수를 보이며 이는 순수황사의 광학적 특성과 유사하다. 이는 황사가 중국 오염물질 발생지역을 통과할 때의 고도가 혼합상태의 황사 전체의 광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낮은 고도에서는 오염물질과의 혼합의 정도가 증가하여, 오염물질의 광학적 특성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반면, 높은 고도에서는 오염물질과 황사의 혼합이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난다고 사료된다. The continuous observations for atmospheric aerosols were conducted during 3 years (2009 to 2011) by using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multi-wavelength Raman lidar at Gwangju, Korea (35.10°N, 126.53°E). The aerosol depolarization ratios calculated from lidar data were used to identify the Asian dust layer. The optical properties of Asian dust laye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its vertical distribu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tical properties of each individual dust layers, the transport pathway and the transport altitude of Asian dust were analyzed by Hybrid Single 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HYSPLIT) model. We consider that the variation of optical properties were influenced not only their transport pathway but also their transport height when it passed over anthropogenic pollution source regions in China. The lower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values of 0.12 ± 0.01, higher lidar ratio of 67 ± 9 sr and 68 ± 9 sr at 355 nm and 532 nm, respectively, and higher Angstrom exponent of 1.05 ± 0.57 which are considered as the optical properties of pollution were found. In contrast with this, the higher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values of 0.21 ± 0.09, lower lidar ratio of 48 ± 5 sr and 46 ± 4 sr at 355 nm and 532 nm, respectively, and lower Angstrom exponent of 0.57 ± 0.24 which are considered as the optical properties of dust were found. We found that the degree of mixing of anthropogenic pollutant aerosols in mixed Asian dust govern the variation of optical properties of Asian dust and it depends on their altitude when it passed over the polluted regions over China.

      • KCI등재

        Retrieval and Validation of Precipitable Water Vapor using GPS Datasets of Mobile Observation Vehicle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Yoo Jun Kim ),( Seon Jeong Kim ),( Geon Tae Kim ),( Byoung Choel Choi ),( Jae Kwan Shim ),( Byung Go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6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2 No.4

        The results from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easurements of the Mobile Observation Vehicle (MOVE)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have been compared with REFerence (REF) values from the fixed GPS site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Precipitable Water Vapor (PWV) retrievals in a kinematic environment. MOVE-PWV retrievals had comparatively similar trends and fairly good agreements with REFPWV with a Root-Mean-Square Error (RMSE) of 7.4 mm and R2 of 0.61, indic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a p-value of 0.01. PWV retrievals from the June cases showed better agreement than those of the other month cases, with a mean bias of 2.1 mm and RMSE of 3.8 mm. We furth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the determinant factors of GPS signals with the PWV retrievals for detailed error analysis. As a result, both MultiPath (MP) errors of L1 and L2 pseudo-range had the best indices for the June cases, 0.75 0.99 m. We also found that both Position Dilution Of Precision (PDOP) and Signal to Noise Ratio (SNR) values in the June cases were better than those in other cases. That i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key factors such as MP errors, PDOP, and SNR that can affect GPS signals should be considered for obtaining more stable performance. The data of MOVE can be used to provide water vapor information with high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in the case of dramatic changes of severe weather such as those frequently occurring in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