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미래 폭염의 발생 분포 및 종관패턴 분석

        김진아(Jin-Ah Kim),김규랑(Kyu Rang Kim),Cameron C. Lee,Scott C. Sheridan,Laurence S. Kalkstein,김백조(Baek-Jo Kim)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6 기후연구 Vol.11 No.1

        The occurrence of heat waves estimated on historical runs of climate change was compared to that on reanalysis data from 1981 to 2005. Heat waves in the future then were predicted on the basis of climate change scenarios from 2006 to 2100. For the past period, the heat wave days predicted from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data overestimated and than those by the reanalysis data. For the future period, the heat wave days increased until the mid-21st century and then stay stagnant by the RCP 2.6 scenario. However, the yearly heat wave days steadily increased until 2100 by the RCP 8.5 scenario. The synoptic cause of the most severe year of the heat wave days was analyzed as a strong high pressure develop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high pressure under the RCP 2.6 scenario was caused by the high level jet stream in the border area between China and Russia, whereas the high pressure under the RCP 8.5 scenario was caused by the strong high level jet stream and pressure ridge in the East Sea.

      • KCI등재

        연구논문 : 대구와 제주의 폭염 및 열대야의 발생 특성

        김진아 ( Jin Ah Kim ),김규랑 ( Kyu Rang Kim ),김백조 ( Baek Jo Kim ) 한국환경과학회 2015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4 No.11

        Observation data (1981-2014) and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historical: 1981-2005; RCP 2.6 and 8.5: 2006-2100) were used to analyze occurrence and future outlook of the extreme heat days and tropical nights in Daegu and Jeju. Then we compared the mortality and observations data (1993-2013). During 1981-2014, the average of extreme heat days (tropical nights) was 24.41 days (12.47 days) in Daegu, and 6.5 days (22.14 days) in Jeju. Extreme heat days and tropical nights have been similarly increased in Daegu, but tropical nights increased more than extreme heat days in Jeju. Extreme heat days and tropical nights in both, Daegu and Jeju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daily mortality, specifically Daegu’s correl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jeju. The yearly increasing rate of extreme heat of the future (2076-2100) was 1.7-3.6 times and 7.8-37.7 times higher than the past (1981-2005) in Daegu and Jeju, respectively. The yearly increase rate of tropical nights of future was 2.6-5.0 times and 2.9-5.6 times higher in Daegu and Jeju, respectively. During 2006-2100 periods, the trend of extreme heat days was observed both in Daegu and Jeju. On the average, extreme heat days and tropical nights in Jeju increased more than that of Daegu. However, the trend of extreme heat days increase in Daegu was higher than that in Jeju, whereas, the trend of tropical nights in Jeju was higher than that in Daegu.

      • KCI등재

        연구논문 : 국내 개발 인공피부의 친염증성 싸이토카인 발현 평가

        조지훈 ( Ji Hoon Jo ),( Katharine Roque ),신소정 ( So Jung Sin ),조아랑 ( Ah Rang Cho ),허용 ( Yong Heo )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 2013 동물실험대체법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를 통하여 대표적인 친염증성 싸이토카인인 IL-1α, IL-8, IL-18이 국내 회사에서 개발한 인공 피부인 Keraskin™에서 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L-1α는 각질세포이외에도 탐식세포, T 림프구, 호중구 등에서도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 반응 유도에 관계할 뿐만 아니라 T 림프구의 TH17 세포로의 분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kdis et al., 2011). IL-8은 주로 탐식세포, 단핵구에서 생성되지만 각질세포, 림프구, 호중구, 간세포에서도 합성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발병시,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시 합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 부위로 항원공여세포나 T림프구의 이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ommins et al., 2010). IL-18은 주로 탐식세포에서 생성되지만 각질세포, 성교세포 (astrocytes), 수지상세포 등에서도 분비되며 IL-12의 도움을 받아 interferon-gamma의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각종 염증성 질환에 합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kdis et al., 2011; Commins et al., 2010; Akdis et al., 2011). 이들 싸이토카인 중에서 IL-18은 사람 각질세포주인 NCTC2544 세포주에서 피부감작물질을 첨가하였을 때에 비감작물질을 첨가한 경우에 비해 생성 수준이 증가됨이 보고되었다(Galbiati et al., 2011). 또한 본 연구진은 마우스의 각질세포주인 HEL-30 세포주를 사용하여 피부 비감 작성물질에 비해 감작성물질 노출시 IL-1α 생성이 증가된다는 보고를 최근에 한 바 있다 (Son et al., 2013). 본 연구에서 IL-6 수준은 sandwich ELISA 방법으로 검출한계 (10 pg/㎖) 이하였다. IL-6는 탐식세포가 주 생성원이지만 각질세포, 림프구, 간세포 등에서도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mmins et al., 2010). 본 연구진의 과거 연구에서도 사람 각질세포 주인 HaCaT 세포주에서 IL-6가 분비됨을 확인한 바 있다 (김 등, 2011 & 2012). 이에 본 연구진이 사용한 IL-6 sandwich ELISA 체계의 문제점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한 롯트 (lot)의 Keraskin™ 조직만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Keraskin™ 조직 자체가 IL-6를 발현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낼 수는 없을 것이다. 추가적인 롯트의 Keraskin™ 조직을 이용하여 실험함으로써 최종적인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A reconstructed human epidermis, Keraskin™ developed in Korea, was evaluated for basal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α, IL-6, IL-8, and IL-18 in the absence of stimulators. Keraskin™ tissues in culture plate insert were incubated in 5% CO2 incubator in the presence of DMEM culture media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or 24, 48, 72, and 96 hours. Cutlure supernatants and Keraskin™ tissue lysates were obtained at the each incubation period. Level of each cytokine was determined using a sandwich ELISA method. Comparing production of IL-1α and IL-8 in culture supernatants after 24 hour incubation, level of these cytokines was significantly augmented at 48, 72, and 96 hours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se incubation periods. IL-18 production level in culture supernatants was the highest after 48 hour incubation. Levels of IL-1α, IL-8, and IL-18 in cell lysates were similar at the all culture periods. Level of IL-6 in both samples was below detection limit, which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Overall, Keraskin™ could be a valuable reconstructed human epidermis for alternative test for skin sensitization screening.

      • KCI등재

        국내 개발 인공피부의 친염증성 싸이토카인 발현 평가

        조지훈 ( Ji Hoon Jo ),( Katharine Roque ),신소정 ( So Jung Sin ),조아랑 ( Ah Rang Cho ),허용 ( Yong Heo )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 2013 동물실험대체법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를 통하여 대표적인 친염증성 싸이토카인인 IL-1α, IL-8, IL-18이 국내 회사에서 개발한 인공 피부인 Keraskin™에서 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L-1α는 각질세포이외에도 탐식세포, T 림프구, 호중구 등에서도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 반응 유도에 관계할 뿐만 아니라 T 림프구의 TH17 세포로의 분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kdis et al., 2011). IL-8은 주로 탐식세포, 단핵구에서 생성되지만 각질세포, 림프구, 호중구, 간세포에서도 합성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발병시,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시 합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 부위로 항원공여세포나 T림프구의 이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ommins et al., 2010). IL-18은 주로 탐식세포에서 생성되지만 각질세포, 성교세포 (astrocytes), 수지상세포 등에서도 분비되며 IL-12의 도움을 받아 interferon-gamma의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각종 염증성 질환에 합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kdis et al., 2011; Commins et al., 2010; Akdis et al., 2011). 이들 싸이토카인 중에서 IL-18은 사람 각질세포주인 NCTC2544 세포주에서 피부감작물질을 첨가하였을 때에 비감작물질을 첨가한 경우에 비해 생성 수준이 증가됨이 보고되었다(Galbiati et al., 2011). 또한 본 연구진은 마우스의 각질세포주인 HEL-30 세포주를 사용하여 피부 비감 작성물질에 비해 감작성물질 노출시 IL-1α 생성이 증가된다는 보고를 최근에 한 바 있다 (Son et al., 2013). 본 연구에서 IL-6 수준은 sandwich ELISA 방법으로 검출한계 (10 pg/㎖) 이하였다. IL-6는 탐식세포가 주 생성원이지만 각질세포, 림프구, 간세포 등에서도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mmins et al., 2010). 본 연구진의 과거 연구에서도 사람 각질세포 주인 HaCaT 세포주에서 IL-6가 분비됨을 확인한 바 있다 (김 등, 2011 & 2012). 이에 본 연구진이 사용한 IL-6 sandwich ELISA 체계의 문제점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한 롯트 (lot)의 Keraskin™ 조직만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Keraskin™ 조직 자체가 IL-6를 발현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낼 수는 없을 것이다. 추가적인 롯트의 Keraskin™ 조직을 이용하여 실험함으로써 최종적인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A reconstructed human epidermis, Keraskin™ developed in Korea, was evaluated for basal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α, IL-6, IL-8, and IL-18 in the absence of stimulators. Keraskin™ tissues in culture plate insert were incubated in 5% CO2 incubator in the presence of DMEM culture media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for 24, 48, 72, and 96 hours. Cutlure supernatants and Keraskin™ tissue lysates were obtained at the each incubation period. Level of each cytokine was determined using a sandwich ELISA method. Comparing production of IL-1α and IL-8 in culture supernatants after 24 hour incubation, level of these cytokines was significantly augmented at 48, 72, and 96 hours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se incubation periods. IL-18 production level in culture supernatants was the highest after 48 hour incubation. Levels of IL-1α, IL-8, and IL-18 in cell lysates were similar at the all culture periods. Level of IL-6 in both samples was below detection limit, which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Overall, Keraskin™ could be a valuable reconstructed human epidermis for alternative test for skin sensitization scree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