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약재 주정 추출물이 종자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김진효 ( Jin Hyo Kim ),김준영 ( Jun Young Kim ),류성지 ( Sung Ji Ryu ),최근형 ( Geun Hyoung Choi ),김원일 ( Won Il Kim ),김세리 ( Se Ri Kim ),박병준 ( Byung Jun Park ),조남준 ( Nam Jun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3 No.3

        BACKGROUND: Herbal extracts have been screened fortheir inhibitory effect of seed germination and rootdevelopment on weeds, but there is a scarcity of reports forcrop growth regul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to develop a growth inhibitor on Brassica campestris, andits effective extraction method from herbal medicineextract. METHODS AND RESULTS: Eighty four herbal medicineextracts were tested for their plant growth inhibitionactivity on B. campestris. The alcohol extracts of Artemisiaannua, Cinnamomum cassia, and Mentha arvensisinhibited over 30% of germination and the extract of A. annua, and C. cassia inhibited over 70% of radicle growthat 0.1 % w/w treatment. The partially purified extracts of A. annua, and C. cassia with dichloromethane and hexaneshowed stronger radicle growth inhibition than the crudeextracts on B. campestris. The diethyl ether extract of A. annua showed a similar 50% radicle growth inhibition (RI50= 45 mg/L) to its partially purified extract withdichloromethane or hexane, but the diethyl ether extract ofC. cassia showed a worse RI50 than the purified extract. CONCLUSION: The alcohol extracts of A. annua, and C. cassia showed potent radicle growth inhibition propertieson B. campestris. Diethyl ether proved to be a good solventfor simple extraction from A. annua.

      • KCI등재

        K-IFRS 도입이 자산손상차손 지속성과 자본시장 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혜리(Kim, Hye-Ri),김정교(Kim, Jeong-Kyo)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2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회계기준의 도입이 자산손상차손의 질과 자본시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K-IFRS 도입이 회계이익의 질과 자본시장에 미치는 긍정 및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살펴보기 위하여 발생액 시장이상현상 연구를 이용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IFRS 도입 전에 특별손익 항목으로서 자산손상차손 및 유형별 자산손상차손은 지속성이 없었으나 K-IFRS 도입 이후에 이익기업의 자산손상차손 및 유형별 자산손상차손에서 지속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ishkin test를 이용하여 자산손상차손 지속성의 자본시장 반응을 분석한 결과, K-IFRS 도입 전 이익기업은 재량적 자산손상차손과 무형자산 손상차손에 시장이상현상이 나타났으나, K-IFRS 도입 후 이익기업은 자산손상 회계기준의 구체성 및 빈번한 자산손상 인식으로 인해 시장이상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K-IFRS 도입 전 손실기업은 시장이상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K-IFRS 도입 후 손실기업은 재량적 자산손상차손 및 유형자산과 영업권 손상차손의 지속성을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K-IFRS 도입으로 인해 무형자산 손상차손 관련 규정은 개선되었으나 유형자산 및 영업권 손상차손 관련 규정은 여전히 미흡함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손익기업을 구분하고 손상차손을 자산 유형별로 나누어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K-IFRS 도입으로 긍정적 및 부정적 측면이 발생하는 자산손상차손의 요소를 모두 확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K-IFRS 제 1036호의 미흡한 문단의 개선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어 보다 완전한 K-IFRS 정착을 위하여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FRS adoption on the quality of asset impairment loss and capital market valuation, and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ses accruals market anomaly studies to examine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K-IFRS adoption on earnings quality and capital marke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set impairment loss and asset impairment loss by type before K-IFRS adoption were not persistent, but persistent after K-IFRS adop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pital market response of the asset impairment using the Mishkin test, profit firms before K-IFRS adoption show that there is market anomaly in the discretionary asset impairment loss and intangible asset impairment loss, but after K-IFRS adoption did not show market anomaly due to the specificity of asset impairment accounting standards and frequent recognition of asset impairment. Loss firms before K-IFRS adoption did not show market abnormalities, but after K-IFRS adoption overestimates the persistence of impairment loss of discretionary asset, tangible asset, and goodw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K-IFRS adoption has improved the standard for impairment of intangible assets, but that the standard on impairment of tangible assets and goodwill are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divides the profit-and-loss firms and classifies them by asset impairment type, and present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is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nfirms all asset impairment factors that hav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due to K-IFRS ado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a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sufficient paragraphs of K-IFRS 1036, which will help to establish a more complete K-IFRS settlement.

      • SCIESCOPUSKCI등재

        Metagenomic Analysis of Fungal Communities Inhabiting the Fairy Ring Zone of Tricholoma matsutake

        ( Miae Kim1 ),( Hyeok Jun Yoon ),( Young Hyun You ),( Ye Eun Kim ),( Ju Ri Woo ),( Yeong Gyo Seo ),( Gyeong Min Lee ),( Young Ja Kim ),( Won Sik Kong ),( Jong Guk Kim )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2013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23 No.10

        Tricholoma matsutake, an ectomycorrhiza that has mutual relationships with the rootlet of Pinus denisflora, forms a fruiting body that serves as a valuable food in Asia. However, the artificial culture of this fungus has not been successful. Soil fungi, including T. matsutake, coexist with many other microorganisms and plants; therefore, complex microbial communities have an influence on the fruiting body formation of T. matsutake. Here, we report on the structures of fungal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e fairy ring of T. matsutake through the pyrosequencing metho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inside the fairy ring zone, in the fairy ring zone, and outside the fairy ring zone. A total of 37,125 sequencing reads were obtained and 728 to 1,962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were observed in the sampling zones. The fairy ring zone had the lowest OTUs and the lowest fungal diversity of all sampling zones. The number of OTUs and fungal taxa inside and outside the fairy ring zone was, respectively, about 2 times and 1.5 times higher than the fairy ring. Taxonomic analysis showed that each sampling zone has different fungal communities. In particular, out of 209 genera total, 6 genera in the fairy ring zone, such as Hemimycena, were uniquely present and 31 genera, such as Mycena, Boletopsis, and Repetophragma, were specifically absent. The results of metagenomic analysis based on the pyrosequencing indicate a decrease of fungal communities in the fairy ring zone and changes of fungal communities depending on the fairy ring growth of T. matsutake.

      • SCISCIESCOPUS

        Bacterial Synthesis of a Flavonoid Deoxyaminosugar Conjugate in <i>Escherichia coli</i> Expressing a Glycosyltransferase of <i>Arabidopsis thaliana</i>

        Kim,, Bong‐,Gyu,Jung ,, Na Ri,Joe, Eun Ji,Hur, Hor‐,Gil,Lim, Yoongho,Chong, Youhoon,Ahn, Joong‐,Hoon WILEY‐VCH Verlag 2010 Chembiochem Vol.11 No.17

        <P><B>Just add sugar</B>: An unnatural flavonoid‐deoxyaminosugar conjugate was biologically synthesized in <I>Escherichia coli</I> by engineering an <I>E. coli</I> nucleotide–sugar pathway and expressing a glycosyltrandfease specific for UDP‐arabinose derivatives. </P>

      • KCI등재

        기업의 수명주기와 사내유보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혜리(Kim, Hye-Ri),허익구(Hur, Ik-Koo)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의 수명주기와 사내유보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업의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에 따라 매출 및 기업규모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과 관련하여 당기순이익과 이익잉여금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기업의 사내유보 관련 연구에 추가적 증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내유보가 기업가치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업가치를 주가와 Tobin’s Q의 두 가지 종속변수를 이용하여 기업 수명주기와 사내유보(당기순이익, 이익잉여금)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의 방법으로 실증분석한다. [연구결과] 첫째, 성장기 기업의 당기순이익은 미래 기업자산의 확충 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성숙기와 쇠퇴기 기업에 비해 주가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숙기와 쇠퇴기 기업에서는 이익잉여금이 주가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기에서 당기순이익(이익잉여금)의 증가가 시가총액에 미치는 긍정적인(부정적인) 영향은 성숙기와 쇠퇴기와 비교하여 더욱 강화(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숙기와 쇠퇴기에서는 당기순이익(이익잉여금)이 시가총액에 미치는 긍정적인(부정적인) 영향이 약화(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서 성장기 기업 경영자는 이익잉여금 보다는 당기순이익 증대를 위하여 매출에 도움이 되는 설비투자를 증설하고 기업내 초과이익잉여금이 쌓이지 않게 주의를 하여야하며, 초과이익잉여금의 보유 가능성이 높은 성숙기와 쇠퇴기 기업의 경영자들은 비영업용 자산에 투자되어 있는 이익잉여금을 인력 및 연구개발에 재투자하여 기업가치 증대를 모색해 나가야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irm life cycle and internal reserve on firm valu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effect of net income and retained earnings on corporate value in relation to differences in sales and firm size depending on firm’s life cycle. [Methodolog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firm life cycle and internal reserve on corporate value using two dependent variables of firm value (stock price and Tobin’s Q) by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First, as the net profit of a growing firm can be used as a resource to expand future corporate assets, it has a greater effect on the share price improvement than a mature and declining firm. On the other hand, in the maturity and decline period, the effect of retained earnings on the share price was found to be greater. Second, the positive (negative) effect of the increase in net income (retained earnings) on the firm value during the growth period was found to be strengthened (relaxed) compared to maturity and decline. On the other hand, in the maturity and declining period, it was shown that the net income (retained earnings) weakened (strengthened) the positive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nagers in maturity and declining periods, whe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retaining excess internal reserve, should seek to increase firm value by reinvesting internal reserve invested in non-operating assets into human resources and R&D.

      • SCISCIESCOPUS

        The Relation Between Local Hysteresis Losses and Remanent Magnetic Fields in HTSC Films

        Muyong Kim,Heeyeon Park,Chan Kim,Sang-Kook Park,Ri, H.-C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2017 IEEE transactions on applied superconductivity Vol.27 No.4

        <P>Various critical state models have been developed to understand the hysteresis loss mechanism of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HTSC) films. The analytic relation between the hysteresis loss and the remanent field was obtained based on Bean's critical state model for thin films in the full-penetration case. Furthermore, numerical calculation of local hysteresis loops was carried out by Kim's critical state model.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local hysteresis losses for a GdBCO coated conductor by using low-temperature scanning Hall probe microscopy and reproduced the experimental results by applying the critical state model. Because of the demagnetizing effect in thin films, analysis of local hysteresis losses can be useful approach to understand of total hysteresis losses.</P>

      • KCI등재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에서의 유아리더십 효과 분석

        유구종 ( Gu Jong Yoo ),김소리 ( So Ri Kim ),김은아 ( Eun Ah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리더십 증진 방안의 일환으로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이 3-5세유아의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만 3,4세 유아 15명에게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 활동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 만 3, 4세 유아 15명에게는 3-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유선택활동을 적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경현(2007)의 AF분석법과 리더십 구성요소를 사용하였으며, 총 16주간 실험처치와 더불어 3회기에 걸쳐 반복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 집단과3-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유선택활동 집단 간 처치회기에 따른 유아 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 집단과 3-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유선택활동 집단 간 처치회기에 따른 유아 리더십의 하위요인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모형에 근거한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하위요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As an effort to promote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will enhance young children’s leadership’ by comparing them with play-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three or four-year-old children for whom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a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were applied, and 15 three or four-year-old children attending to whom free choice activities were applied. The children’s leadership was measured with Gyeong-Hyeon Kim’s AF analysis and leadership components. In order to analyze young children’s leadership behaviors based on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nd play 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activitie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done for 16 weeks’ experimental treatmen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each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leadership during the treatment sessio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est experience activity group and the free choice activity group. That is, young children’s leadership level was higher in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est experience activity group than in the free choice activity group.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lso in the sub-factors of leadership during the treatment sessions between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est experience activity group and the free choice activity group. In conclusion, it was proved shown in this study that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is finding is that young children’s leadership may be enhanced through forest experience based on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 KCI등재

        문제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임상실습교육의 만족도, 자율성, 성취종기와의 관계 -모아임상실습을 중심으로-

        백경선 ( Kyoung Seon Baek ),송애리 ( Ae Ri Song ),김영희 ( Yeong Hie Kim ),김태경 ( Yae Kyung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학생들이 실제 임상 상황의 맥락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반영 하고 이로 인해 사고력과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간호학생들의 성취동기,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질적인 임상실습 교육의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은 실제적인 문제에서 학습이 시작하게 되며,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문제는 자신이 실제 임상세계에서 경험하는 문제이어야 한대 따라서, 모아임상실습을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실제 임상사례에 바탕을 둔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간호과 2학년 학생의 모아임상실습시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임상실습을 시행하기전에 사전에 교과목을 통하여 문제중심학습 에 대한 학습방법의 지식을 습득하였으며,이 방법을 통하여 이론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다. 이러한 사전경험으로 학생들은 새로운 학습법으로 인한 시간소요나 혼란을 줄일 수 있었으며, 임상실습을 통하여 시나리오의 사례를 실제로 경험하면서 보다 역동적으로 실습에 임하고, 지식 습득 및 문제해결에 대한 높은 흥미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는 3.34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반족도를 연구한 Kim과 Oh(2000) 의 연구결과 인 2.96점과 Park과 Lee (2002)의 2.86점 보다 높은 점수이다. 또한, 임상실습만족도의 하부영역 중 ``임상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3.49)가 타 하부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Park과 Lee(200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환경영역의 점수(3.11)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반되는 결과이다. 실제 본 연구대상자들은 임상실습지도 (3.46), 환경(3.31) 평가(3.23) 및 시간 (3.16) 등과 같은 임상실습의 외부적인 부분이 다소 열악한 상황에서도 실습의 내용적인 면에서는 만족하고 있었으며, 이는 현재 우리나라 간호대학 임상실습의 환경이 주로 수동적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문제 중심학습법이 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태도와 학습 동기 유발 및 흥미를 상승시킨 효과로 볼 수 있다. 자율성(Autonomy)이란 의미는 자기- 규율, 자기·결정, 자기·통치 및 독립성이란 용어로 오늘날 전문직 자율성의 개념은 간호 전문직 내에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현 시대의 간호사는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종합적인 결정 능력이 요구되는 복잡한 간호현장에서 중요시되는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교육에서부터 자율성을 신장시켜 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Shin, 1996). 본 연구 대상자의 자율성은 평균 3.83점으로 Kim (1998)의 4년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3·53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본 연구가 간호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해가는 자율적 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향상시킨 결과로 이해 되어진다. 간호사는 대상차의 건강과 관련된 요구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는 지식의 소유자이며, 대상자를 위한 이타적인 가치관을 소유한 전문가로써 간호사 자신 뿐만 아니라 대상자에 대한 존중을 기본적인 소양으로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이에 간호사의 진정한 자율성은 대상자에 대한 존중에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지율성 하부영역에서 ``타인에 대한 존중`` 이 4.15점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이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의 실제 적용을 넘어 대상자를 존중하고 대상자의 요구를 사정하여 적합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기회로 간호전문가로써의 기본 자질을 함양할 수 기회를 제공 한것으로 보인다. 성취동기는 어떤 훌륭한 일을 이루어보겠다는 내적 의욕으로 과업을 성취해나가는 과정에서 만족하는 성취의욕이며 후천적으로 학습되고 습득되며 육성된다. 간호학생들의 성취동기는 학업수행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성취동기는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본 요소로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과 학생들의 성취 동기는 3.83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Park과 Lee (2002) 의 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취동기는 이론학습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나타났지만, 실제 임상실습시에도 높은 성취동기는 임상실습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중심학습법은 학습의 동기유발을 통하여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며,이를 통하며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유발 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취동기, 자율성과 임상실습 만족도를 살펴보며 성취동기,자. 성이 학과만족도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와 자율성이 높은 것으로 결국 학과에 대한 만족도는 학업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Park, 1992), 본 연구에서도 학과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가 높게 조사되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습시기에서 임상실습만족도 중 ``임상실습내용`` (t=2.219, P<0.35)과 자율성 중 ``타인에 대한 존중``(t=3.133, P<.005)이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교수업을 한후 실습`` 을 하는 실습이 ``실습 후 학교수업``을 하는 경우보다 임상실습에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한 후 실습을 할 경우 실습에 조금 더 자신 감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임상실습의 시기는 이론 강의가 이루이진 후 시행 되는 현재의 간호교육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성취동기, 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중심 학습법을 임상실습에 적용한 본 연구대상자들의 성취 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간의 상관관계는 r=.476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Jang(2000)의 연구에서 성취동기와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가 순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 같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어떠한 일을 잘 이루어 내겠다는 욕구가 내재 화되어 있는 사람은 임상교육에서도 그 욕구가 작용하여 성공적으로 그 일을 끝마치려는 행동을 보이고 그 결과 좋은 교육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자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도 Park(2003)의 연구와 유사하게 본 연구에서도 자율성 과 임상실습만족도가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328), 자율성과 성취동기도 유의한 상관 관계 (r=.468)를 보였다. 성취동기는 후천적 학습에 의해 더욱 강화되므로 단시간의 훈련으로 높일 수 있으며 지능과 관계없이 육성될 수 있는 좋은학습 신장도구이므로, 현장실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는 교육학습법이 요구되어진다. 문제중심학습법은 임상의 실제 사례를 통하여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통한 자율성 증대와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다양하고 급변해 가는 임상현장 에 적합한 간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수학습법이다. 이론 강의시 사용되는 문제중심학습법은 실무와 떨어진 교육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한계점을 여전히 수반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이론적인 지식의 습득에 대한 접근을 달리하는 방법으로만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현장에서 실습을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이론 강의의 적용에서 오는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주어진 사례를 직접 임상실습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학습과정이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성취동기와 자율성을 증가시켰고, 이는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실습교육을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수행하도록 유도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학습의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서는 학생들의 성취동기 및 자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학습법으로 문제중심 학습법이 기존의 이론강의뿐만 아니라 임상실 습교육에서도 학생들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며 자율성을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간호학생을 위한 임상실습 의 학습법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PBL-based clinical practice, their autonomy, achievement motivation and what affected them in those regards in an attempt to lay the groundwork for providing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clinical practice.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8 nursing sophomores at J college who participated in PBL-based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y got a mean of 3.34, 3.83 and 3.83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respectively.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satisfaction level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motivation of choosing the major and time for undergoing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decided to major in nursing at their own option(3.6l) were most contented with practice teaching(F=6.356, p<.0l), and those who underwent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3.82) were most pleased with the content of the clinical practice (t=2.129, p<.05).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autonom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volving ag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time for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were at the age of 22(3.92) valued themselves the most(F=3.003, P<.05). And those who found their major satisfactory (4.28) and undergo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4.37) respected others the most(F=3.l33, p<.0l). As to 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who were contented with their major(4.00) excelled the others who weren``t in that aspect(F6.038, p<.0l).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utonomy (r=.328, p<.0l) and achievement motivation(r.476, p<.01). Conclusions: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nursing students express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older students who were 22 years old were more autonomous, and those who took part in the clinical practice after receiving theoretical instruction were more autonomous and more pleased with the practice. The students who found their major more satisfactory surpassed the others in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level,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are some suggestions: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getting a profound grasp of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geared toward nursing students. The development of modules for PBL-based nurs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was required. How to provide PBL-based theoretical education to nursing students should be studied.

      • 중금속 이온 존재 하에서의 아스코르브산 자동산화반응에 대한 단백질의 영향

        김미옥,유리나 울산대학교 2002 생활과학논문집 Vol.4 No.1

        Effects of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and such other proteins as bovine serum albumin(BSA), ovalbumin, lysozyme, and γ-globulin on the autoxidation rates of L-ascorbic acid(AsA) in the presence of heavy metal ions in aqueous solution and buffer solution were studied. AsA was dissolved in a ultra-refined water and 0.07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4, treated Chelex-100) at a concentration of 50μM and 5 μM Fe(Ⅲ) or 0.1 μM Cu(Ⅱ) was added, and a oxygen gas was bubbled through the solution at a flow rate of 200 ml/min at 35℃. The amount of remaining AsA in the reaction mixture was determined by using a UV spectrophotometer(at 265 nm).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 of remaining AsA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presence of SOD, catalase, BSA, ovalbumin, lysozyme, and γ-globulin than in the absence of proteins. It was suggested that the non-enzymatic effects of SOD, catalase and some other proteins might be involves in the stabilization of AsA.

      • SCIESCOPUSKCI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Human Epidermal and Peripheral Blood γδ T Cell Cytokine Profiles

        ( Kwangmi Kim1 ),( Jiyeon Han ),( Tae Ryong Lee ),( Dong Wook Shin ),( Hak Chang ),( A Ri Cho ),( Soon Jin Choi ),( Seong Jin Jo ),( Ohsang Kwon ) 대한피부과학회 2014 Annals of Dermatology Vol.26 No.3

        Background: Human epidermal γδ T cells are known to play crucial roles in the defense and homeostasis of the skin. However, their precise mechanism of action in skin inflammation remains less clear. Objectiv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ytokine expression profile of human epidermal γδ T cells and compared it to that of peripheral blood γδ T cell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activity of epidermal γδ T cells in modulating skin inflammation. Methods: We isolated γδ T cells from epidermal tissue or peripheral blood obtained from healthy volunteers. Isolated γδ T cells were stimulated using immobilized anti-CD3 antibody and interleukin-2 plus phytohaemagglutinin, and were then analyzed using a cytokine array kit. Results: Both epidermal and peripheral blood γδ T cells produced comparable levels o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I-309, interferon-γ,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1α, and chemokine (C-C) ligand 5. The epidermal γδ T cells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interleukin-4, -8, -13, and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1β than the peripheral blood γδ T cells did. Notably, the epidermal γδ T cells produced several hundred-fold higher levels of interleukin- 13 than interleukin-4.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pidermal γδ T cells have a stronger potential to participate in the Th2-type response than the peripheral blood γδ T cells do. Furthermore, epidermal γδ T cell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Th2-dominant skin diseases because of their active production of interleukin-13. (Ann Dermatol 26(3) 308∼313, 201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