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 진출 다국적기업의 소비자신뢰에 관한 연구: 브랜드 인지의 조절효과
홍성헌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09 국제경영리뷰 Vol.13 No.4
Consumer trust has become an essential factor for firm`s succes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s. Multinational firms operating in abroad are at a disadvantage, due to the facts that they incur foreign liabilities. Therefore, trust is considered a key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for them. Thus, this study focused on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trust in multinational firms and investigated a moderating effect of brand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on the causal influences between the consumer trust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addition, this paper is aimed to provide Korean firms investing in foreign markets the insight in business practice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i classified three independent variables(corporate reputation, product and service of MNCs activating in Korea) that can influence trust. Each variable was measured through multiple items. Six hypotheses have been tested by using sampl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Chungbuk regions. 290 respondents were used for this analysis. Collected samples were tested b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nd were found to be satisfactory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hypothesis were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research show that trust in the MNC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corporate reputation, product competent, and service competent of the MNCs. In particular, service competent played the dominant role in trust. When the brand awareness is the moderator and trust is the dependent variable, the addition of the interaction terms with the antecedents to the regression equation yield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2. Especially product competent and service competent exert different effects on trust. But the interaction between corporate reputation and the brand awareness didn't affect the trust. 소비자신뢰는 작금의 경영환경에서 기업의 성공과 지속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외국비용으로 인하여 불리한 현지경쟁을 펼쳐야 하는 다국적기업에게 무엇보다 현지 소비자의 신뢰확보는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핵심요소로 간주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시장에 진출한 다국적기업을 대상으로 신뢰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소비자가 다국적기업 브랜드를 인지하는 정도에 따라 신뢰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다국적기업의 신뢰구축을 위한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한국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에 경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SPSS14를 이용하여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국적기업의 기업평판(가설1), 다국적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역량(가설2)과 서비스역량(가설3)이 다국적기업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들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국적기업이 현지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해 질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 생산하는 기본적인 경영활동 외에도 다국적기업이 정직하고 믿을만하며 그리고 현지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인식됨으로써 신뢰하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다국적기업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 요인 중에서 다국적기업의 서비스역량, 다국적기업의 평판 그리고 다국적기업의 제품역량 순으로 영향요인의 중요도가 나타남으로써 서비스역량이 한국진출 다국적기업의 신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한편, 다국적기업브랜드 인지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의 분석 결과, 다국적기업평판이 다국적기업브랜드 인지수준에 따라 다국적기업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인 가설4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제품역량×다국적기업브랜드인지의 상호작용은 유의수준 .05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5는 채택되었다. 이는 소비자들이 다국적기업 브랜드를 많이 인지할수록 다양한 분야에서 다국적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의 품질, 디자인, 신제품 등을 경험하게 되고 이들의 제품역량을 학습함으로써 다국적기업을 신뢰하게 된다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서비스역량×다국적기업 브랜드인지의 상호작용은 유의수준 .01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6은 채택되었다. 그러나 가설6은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국적기업 인지수준이 낮았을 때는 서비스역량이 다국적기업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가 컸지만, 다국적기업 인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다국적기업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지는 것이다. 연구가설의 검증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전략적 함의가 제시된다. 현지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현지 진출 다국적기업은 제품과 서비스에서의 자사의 역량강화와 사회적 책임 등 기업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하고, 그리고 이러한 활동을 현지소비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한 마케팅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소비자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다양한 방안과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서비스불만을 감소와 신뢰강화가 필요하다.
홍성헌,류천,이리형,Hong, Seong-Hoon,Ryu, Cheon,Lee, Li-Hyu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9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2 No.3
This study presented an modeling method for the connections in mixed structure with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steel beam using finite element method. The contacting surfaces between concrete and steel are modeled using master-slave contact algorithm and the incompatible mode elements were used in the steel tube subjected to be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structure was that diaphragm was used for transferring force from beam to column. The three dimensional nonlinear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analytical results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in order to prove modeling method.
현지국 소비자의 다국적기업 제품속성 지각과 고객충성도 간 제품신뢰의 매개역할
홍성헌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5
The ke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local consumer perception on MNCs’ product attributes, product trust, and customer loyalty and to test empirically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product trust.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as drawn. All of variables used in this research(product attributes such as product itself, relational communication, price fairness, country of origin of MNCs, product trust, and customer loyalty) have been measured with existing and tested scales. The hypothesized model has been tested using SEM – AMOS 20. Out of 350 participants, 330 usabl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research show that consumer perception of product attributes in the three forms of product itself, relational communication, and country of origin significantly are related to the product trust, but price fairness not significantly. Relational communication is in the most dimension of perceived product attributes. Product trust is related to customer loyalty positively. In addition, product trust is found to be a significant full mediator of the indirect effects of product itself, relational communication, and country of origin on customer loyalty. This paper explains do product attributes affect trust of local consumer and how the trust is related to the loyalty. Hence, marketers can increase trust and consequently loyalty by investing more in relational marketing toward local consumer. The findings are limited to the University students in limited industry sectors.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could be extended by broadening the list of products, for example with other services. Although this research has found the existence of important role of trust between different product attributes and loyalty, but trust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So, the mechanisms of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customer loyalty should still be subject to further research. The mechanisms of trust not only in multi-dimensions, but in service sectors also should be conducting in the future study.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의 속성에 대한 현지소비자의 지각과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 제품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350명의 설문지 답변 중, 330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개념을 확장된 제품개념으로 보고, 다국적기업 제품의 제품속성(제품, 관계 커뮤니케이션, 가격공정성, 원산지국 인지), 제품신뢰와 고객충성도 등을 7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가설에 대한 검증에 Amos 2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제품, 관계 커뮤니케이션, 원산지국 인지가 제품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지각이 제품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가격공정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제품신뢰 역시 고객충성도와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제품, 관계 커뮤니케이션, 원산지국 인지 등과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 신뢰의 매개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제비즈니스 활동에서 다국적기업과 현지 소비자 사이의 신뢰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를, 실무적으로는 현지에서 경영을 수행하는 한국기업을 포함한 외국계 기업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제한한 점, 일부 프랜차이즈를 제외하고 대부분 제조업 분야에 한정된 점, 그리고 신뢰의 다차원적 특성을 제품신뢰로 제한하여 연구한 점 등으로 인하여 연구결과의 외적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제약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들은 보다 다양한 이론적 배경에서 신뢰의 다차원적 특성을 함께 분석하는 연구가 시도될 것이다.
중소기업의 아시아 이머징 마켓 해외직접투자 확대에 따른 정치적 위험 평가와 대응방안
홍성헌 한국무역보험학회 2011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2 No.4
오늘날 이머징 마켓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치적 위험은 정책위험으로서 이는 정치적 사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용위험보다 더욱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다. 이머징 마켓은 선진국의 경기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제권이어서 최근 미국과 유럽 등의 경제위기에 의해 이들 이머징 마켓 국가들의 정책적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시 노출되는 정치적 위험 평가내용과 절차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유망 투자진출 지역으로서 아시아 이머징 마켓의 정치적 환경을 어떻게 평가하여야 하는지 그리고 이머 징 마켓에서의 정책위험 회피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서비스수출 촉진을 위한 한국 대학교육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 중국인 유학생 관점에서
홍성헌 한국통상정보학회 2011 통상정보연구 Vol.13 No.4
The survey was conducted by Chinese students who currently attend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of universities in Korea. Three public universities and five private universities in Kyungsang province were survey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standardized questionnaires. The study raised questions on four different front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factors by Chinese student's on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between public universities and private ones?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felt by Chinese students who attend public universities or private ones? 3)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4) How different the relative influence of evaluation factors has on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for overall Korean university system?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ignificance i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factors on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between public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Only the relationship factor in criteria four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Chinese students determined that professor's lectureship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is the ultimate deciding factor whether they attend a public or private university. It should be noted that studying and knowledge are primary concerns to them.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in area of lectureship,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relationship, and administrative services are essential and crucially important for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attract foreign students and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sett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교육서비스 수출활성화를 위해 대학교육 서비스품질의 평가요인과 속성을 도출하고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요인들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실증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4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의 중요도 평가에 국립대 재학 유학생과 사립대 유학생간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둘째,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만족도에서 국립대 재학 유학생과 사립대 유학생간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셋째, 대학교육서비스 품질요인의 중요도 평가와 만족도 평가 간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넷째, 한국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평가요인의 전반적 한국 대학교육서비스품질 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떻게 다른가?검증결과, 첫째, 국립대와 사립대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중요도평가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품질만족도에서 관계복지요인에서만 국립대와 사립대 간의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국립대와 사립대 모두 서비스품질요인 중요도에 비해 실제 만족하는 정도와는 1% 유의수준에서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강의요인과 교육시설요인만이 대학의 전반적 교육서비스 품질 평가요인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은 강의요인이 교육시설보다 더 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당국이 외국학생 유치전략 수립 시 교육서비스와 관련된 품질차원들을 중심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서 적절한 시스템과 적절한 방안을 세워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현지국 소비자의 다국적기업 제품속성 지각과 고객충성도 간 제품신뢰의 매개역할
홍성헌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6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의 속성에 대한 현지소비자의 지각과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 제품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350명의 설문지 답변 중, 330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 구에서는 제품개념을 확장된 제품개념으로 보고, 다국적기업 제품의 제품속성(제품, 관계 커뮤니케이션, 가격공정성, 원산지국 인지), 제품신뢰와 고객충성도 등을 7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가설에 대한 검증에 Amos 2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제품, 관계 커뮤니케이션, 원산지국 인지가 제품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지각이 제품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가 격공정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제품신뢰 역시 고객충성도와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제품, 관계 커뮤니케이션, 원산지국 인지 등과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에 신뢰의 매개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제비즈니스 활동에서 다국적기업과 현지 소비자 사이의 신뢰연구를 했 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를, 실무적으로는 현지에서 경영을 수행하는 한국기업을 포함한 외국계 기업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제한한 점, 일부 프랜차이즈를 제외하고 대부분 제조업 분야에 한정된 점, 그리고 신뢰의 다차원 적 특성을 제품신뢰로 제한하여 연구한 점 등으로 인하여 연구결과의 외적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제약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들은 보다 다양한 이론적 배경에서 신뢰의 다차원적 특성을 함께 분석하는 연구가 시도될 것이다. The ke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local consumer perception on MNCs’ product attributes, product trust, and customer loyalty and to test empirically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product trust.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as drawn. All of variables used in this research(product attributes such as product itself, relational communication, price fairness, country of origin of MNCs, product trust, and customer loyalty) have been measured with existing and tested scales. The hypothesized model has been tested using SEM– AMOS 20. Out of 350 participants, 330 usabl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research show that consumer perception of product attributes in the three forms of product itself, relational communication, and country of origin significantly are related to the product trust, but price fairness not significantly. Relational communication is in the most dimension of perceived product attributes. Product trust is related to customer loyalty positively. In addition, product trust is found to be a significant full mediator of the indirect effects of product itself, relational communication, and country of origin on customer loyalty. This paper explains do product attributes affect trust of local consumer and how the trust is related to the loyalty. Hence, marketers can increase trust and consequently loyalty by investing more in relational marketing toward local consumer. The findings are limited to the University students in limited industry sectors.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could be extended by broadening the list of products, for example with other services. Although this research has found the existence of important role of trust between different product attributes and loyalty, but trust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So, the mechanisms of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customer loyalty should still be subject to further research. The mechanisms of trust not only in multi-dimensions, but in service sectors also should be conducting in the future study.
독일 미텔슈탄트의 수출성과에서 공적 수출신용보증제도의 역할에 관한 연구
홍성헌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14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5 No.4
WTO와 OECD 협약 등에서 정부의 수출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상당히 높게 규제되고 있지만 수출금융은 시장실패에 기인된 자본제약의 부정적 무역효과를 경감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 수단으 로 평가된다. 수출신용보증(export credit guarantees)은 수출계약과 관련하여 은행이 수출자 에게 수출신용보증서를 담보로 대출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출자의 상환채무에 대해 공적 수출신용 기관이 그 지급을 연대 보증하는 것으로 은행은 안심하고 수출금융을 취급할 수 있고 수출자도 담보 부담 없이 금융을 활용할 수 있는 정책금융의 일종이다. 이는 특히 자원한계에 노출되어 있는 중소기업에게 해외시장 진출 성공을 보증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독일 수출 산업의 역군으로 평가받고 있는 미텔슈탄트의 수출경쟁력 원천을 기업 외부적 요인으로서 국가의 수출금융 지원에서 찾고자 하였다. 특히 독일의 공적 수출신용보증(Hermesdeckungen)의 미 텔슈탄트 수출성과에 미치는 역할을 조명하였다. 수출신용보증제도가 없었더라면 수출이 성사될 수 없는 상황에 놓이는 미텔슈탄트들에게 안정적인 수출사업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ublic export credit guarantees are an important instrument in financing international trade, particularly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which exposed under an shortage of financial capital. Therefore, many countries use them as a tool for promot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exports despite of highly restrictions by international agre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german public export credit guarantees, so-called Hermesdeckungen, plays a significant role for the success of Mittelstand. The term, Mittelstand, has no exact english translation for the definition, but, today, Mittelstand refers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 mostly family-owned firms in Germany. The Mittelstand is called the backbone of the german economy because it drove the economic miracle after World War II. During the global recession and the Euro zone's debt crisis in recent years, in which european businesses have faced the near-collapse of competitiveness particularly in manufacturing, the german exports are booming and exceeded those of China in 2012. Most importantly, the german economic performance has been widely attributed to the strength of the Mittelstand. German federal export credit guarantees(Hermes Cover) support german enterprises, especially, Mittelstand in their efforts to open difficult markets and expand traditional markets in unfavourabl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