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록활엽수 3 수종의 기건 잎의 흡음특성

        염다혜 ( Dahye Yeom ),공이권 ( Reekeun Kong ),배은지 ( Eunji Bae ),윤준혁 ( Junhyuck Yoon ),신갑균 ( Gabgyun Shin ),변희섭 ( Heeseop Byeon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최근 사회 복지가 향상되면서 가장 많이 발생되고 있는 환경 문제 중의 하나가 소음이다. 소음은 개인마다 그리고 주변 상황에 따라 느끼는 정도가 다소 다르지만 ‘듣기 싫은 소리’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보편적인 방법이 흡음재를 사용하는 것이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흡음재는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인간의 건강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흡음재료 개발을 목표로 하여, 생육분포 범위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난아열대수종의 자원 활용 측면에서 3가지 수종의 상록활엽수를 선정하고 기건 상태 잎의 흡음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에 사용한 공시수종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 팔손이(Fatsia japonica),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의 잎을 채취하여 0.5 × 0.5 cm<sup>2</sup>, 1.0 × 1.0 cm<sup>2</sup>, 2.0 × 2.0 cm<sup>2</sup> 로 절삭가공한후 항온 항습실(온도 20±1℃, 습도 65±3%)에서 2주 이상 조습한 후 측정용 샘플재료로 사용하였다. 흡음성능 평가를 위하여 샘플 두께를 각각 1.00 cm, 1.75cm, 2.50cm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흡음재 및 흡음시험의 Calibration재로 사용되고 있는 스펀지의 평균 흡음률(0.303)과 비교했을 때 황칠나무와 팔손이의 0.5 × 0.5 cm<sup>2</sup> 두께 1.00 cm를 제외한 모든 평균 흡음률 값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두께 1.00cm의 경우 잎의 크기가 커질수록 흡음률이 증가하였으며, 1.75, 2.50 cm에서는 황칠나무를 제외하고 특별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 중에서 태산목의 잎의 크기가 0.5 × 0.5 cm<sup>2</sup>, 두께 2.50cm일 때 가장 높은 평균 흡음률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우드세라믹 제조용 톱밥보드의 수지함침 (Ⅱ) : 밀도 및 페놀수지 첨가량의 영향 Effect of Density and Addition Rate of Phenol Formaldehyde Resin

        오승원,변희섭 한국목재공학회 2003 목재공학 Vol.31 No.5

        국산 간벌재 3수종을 이용하여 밀도 및 수지첨가량을 달리해서 톱밥보드를 제조한 후 감압 후 상압, 감압ㆍ초음파 병행 후 상압으로 20분씩 3반복 함침하여 밀도 및 수지첨가량에 따른 함침 보드의 물성을 측정하고, 함침시 초음파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밀도 및 수지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침 보드의 밀도, 휨강도 및 브리넬 경도는 증가하였으나, 수지 함침율은 감소하였다. 감압ㆍ초음파 병행 후 상압 함침에 의한 함침보드의 밀도, 수지함침율, 침강도 및 브리넬 경도가 감압 후 상압에 의한 함침 보드 보다 컸다. 보드 함침 시 초음파처리를 병행함으로써 수지 함침율이 증가되어 함침 보드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sawdust board impregnated with phenol resin according to the density and resin content of board. The sawdust board were manufactured to target densities of 0.4, 0.5, 0.6, 0.7 g/㎤ and resin content of 5, 10, 15, 20% made from Pinus densifiora S. et Z., Lurix. kaemferi C. and Pinus koraiensis S. et Z. The impregnation process were executed in two ways, the application of vacuum pressure then followed by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application of vacuum pressure with ultrasonic vibration then followed by atmospheric pressure. The density of impregnated sawdust board increased as density and resin content of sawdust board increased, but impregnation rate decreased. The density, impregnation rate, bending strength and brinell hardness of sawdust board in impregnated vacuum pressure with ultrasonic vibration then nonpressure were highe than those of vacuum pressure then nonpressure. In this results, the impregnation rate is increased in vacuum pressure with ultrasonic vibration then nonpressure, it has affected the properties of sawdust board impregnated with phenol res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