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팬데믹 전후 동아시아 국제공항들의 차별적인 연결성 변화 탐색

        박용하 한국지도학회 2022 한국지도학회지 Vol.22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plore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connectivity of airports in East Asia, and its hierarchical structure since the COVID-19 pandemic. For the purpose, we divide international airports in East Asia into two groups, the entire- and the upper class-airport groups, and analyze the differential changes of these groups, in terms of degree, betweenness, and closeness centrality, with Wilcoxon’s signed-rank tes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pper-class airport group shows the recovery of closeness centrality from 2020 to 2021, caused by the recovery of international airport networks outside East Asia, while both groups shows overall decreases of the centrality measures during the pandemic. Next, the upper-class airport group does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centrality ranks during the pandemic as we confirm that through the null hypothesis of Wilcoxon signed-rank test rejected. This implies that the hierarchy of top airports in the international aviation markets is relatively stable against the pandemic. Finally, we find that changes of centrality ranking usually occur in airports located in tourist destinations or secondary airports in their regions. 이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이후 동아시아 국제공항들의 국제항공 연결성과 계층성의 차별적인 변화를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체 공항 그룹으로부터 상위 공항 그룹을 구분하고, 네트워크 분석의 연결, 매개, 근접 중심성 지표를 이용하여 팬데믹 전후 두 공항 그룹의 중심성 변화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이용하여 세 중섬성 지표의 값과 순위 측면에서 두 공항 그룹의 변화에 대한 통계검정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19~2021년에 걸쳐 두 공항 그룹은 전반적인 중심성 값의 감소 경향이 나타나는 가운데, 상위 공항 그룹의 근접 중심성은 역외 네트워크의 복구에 따라 2021년에는 2020년 대비 회복 양상을 보였다. 다음으로 세 중심성 지표의 순위 측면에서 상위 공항 그룹은 팬데믹 이후에도 귀무가설을 기각시킬 정도의 큰 변동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팬데믹으로 인한 항공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도 상위 공항들의 중심성 우위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왔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 주요 공항들의 중심성 변화 분석을 통해 주로 관광지 혹은 지역의 이차 공항을 중심으로 순위 하락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팬데믹 이후 전 세계 국제공항 네트워크에서 나타나고 있는 차별적인 변화가 동아시아 공항들의 국제항공 연결성과 계층 구조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박용하,양재의,Park, Yong-Ha,Yang, Jae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8 지하수토양환경 Vol.23 No.3

        This paper reviews the soil conservation policies (SCP) in the global community and suggests the improved options in SCP in Korea.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in Korea states soil is a valuable natural resource and it's value should be enhanced to provide the benefits that soil ecosystem can offer to people. However, SCP in Korea limits its application to not only the scope of soil environment but also the issues on soil pollution. The SCPs in the advanced countries have shifted their scopes from soil environment to soil ecosystem, put emphasis on the conservation of soil health rather than soil quality, and set the goals to optimize the soil ecosystem services to people while minimizing the soil threats. In this context, the soil security initiative was recently proposed to accomplish this goal while employing the nexus concept to bridge the soil ecosystem services with water, atmosphere, climate and biodiversity. Therefore, the key policies in soil conservation in Korea should expand the scope from soil environment to soil ecosystem, focus on soil health management, and develop the holistic governance among diverse stakeholder to maximize the soil ecosystem services. Soil ecosystem should be secured by national soil policies for human health.

      • KCI등재

        토양질 기준에 관한 주요 외국 정책의 비교분석을 통한 우리나라의 토양질 기준 개념설정과 적용

        박용하,양재의,옥용식,Park Yong-Ha,Yang Jae-E,Ok Yong-Sik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 지하수토양환경 Vol.10 No.4

        우리나라의 토양질 기준에 관한 정책개발을 위해 미국, 영국,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의 토양질 기준 정책을 분석하였다. 이들 국기들은 사전 조사한 18개 EU 국가 및 캐나다, 호주, 미국 중에서 선정하였다. 이들 국가의 정책 분석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이들 국가에서 적용되고 있는 토양질 기준의 개념에는 토양오염물질의 양과 인체 및 생태계 위해성의 상관관계가 반영되어 있다. 둘째, 어떠한 토양질 기준이라도 오염물질에 의한 인체 및 생태계 위해 유무를 결정하는 절대적인 수치(a magic number)가 될 수 없다. 셋째, 대부분의 경우 토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농도는 매우 낮으며 오염물질의 농도와 위해성 결과에 대해 불확실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넷째, 토지의 이용 용도를 고려하여 토양질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토양질 기준에 관한 우리의 문제점과 외국 정책 분석 자료의 시사점을 종합적으로 고려 할 때, 향후 우리가 추진해야 할 정책은 크게 네 방호에서 접근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토양질 기준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적용한다. 둘째, 토양질 기준과 위해성 평가를 토양질을 판단하는 정책 수단으로 병행한다. 셋째, 위해성에 근거를 둔 토양질 기준을 개발한다. 넷째, 토양질 기준 을 합리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토지의 이용 용도 구분 등에 관한 법과 제도를 발전시킨다. 본 연구에서 제공하고 있는 새로운 토양질 기준(토양오염기준과 토양오염대책기준)의 개념, 토양질 기준과 위해성 평가의 연계방안, 인체 및 생태계 위해성에 근거를 둔 토양질 기준의 개발, 토양오염물질에 대한 인체 및 생태계 노출 민감성에 따라 토지 이용 용도를 3가지로 구분한 것은 향후 우리나라의 토양질 기준 개선의 근간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olicies regarding to soil quality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the Netherlands, Germany, and Demark were analyzed to suggest Korean policy for improving soil quality concept and it's implementation. All countries met four criteria: I) Soil quality levels of contaminants are indebt to concept of contaminant risk to recipients (human and ecosystem); ii) Any soil quality value can't be a magic number to determine whether a site is contaminated or not. To determine risk of sites, risk assessment of the sites should be followed; iii) Concentrations of contaminants of sites are not always significantly certain to risk of human and ecosystem of the sites; and iv) Soil quality levels are adopted based on land uses and plans. Considering our rooms to improve policies and analysis of the other country reports on their legislations about soil quality levels, our policy implementation could be approached from these directions: i) Our concept for soil quality levels needs to develop in scientific and rational. ii) Soil quality levels and risk assessment should be implemented as determining tools of site contamination in parallel, and iii) Soil quality levels depending on land uses and plans should be developed in debt with rational and scientific concept of risk. Increasing efficacy of Korea policy regarding the soil quality levels would be in dept to applying concepts of SCL (Soil Contamination Level) and SRL (Soil Regulatory Level) developed, implementing soil quality levels and risk assessment of contaminated sites in conjunction, and classifying three distinctions of land uses based on sensitiveness of recipients (human and ecosystem) to contaminants in soil in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