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의료기관 이용 간의 관련성

        문성제(Sungje Moon),손민성(Minsung Sohn),윤희수(Heesoo Yoon),최만규(Mankyu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의료기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노인복지 서비스 참여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노인실태조사자료(2014) 중 독거노인 2,34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및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 확대 및 노인복지서비스 참여는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쁜 독거노인들의 의료기관 이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쁜 독거노인들의 경우, 가족과의 왕래 및 평생교육 참여로 인해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감소하였으며, 이웃과의 왕래가 증가하거나 노인일자리사업을 신청할 경우 의료기관 이용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노인복지서비스 참여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친목시설 및 단체에 참여한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이 확대 될수록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대체할 수 있는 노인복지서비스 확대를 제시하고, 의료이용 실태 파악을 통하여 실질적인 건강유지증진 및 예방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방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social networks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of elderly living alone depending on self-rated health status, and also to measure the moderating effects of welfare services for elderly. To this purpose,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2014 National Survey on Elderly in Korea was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Poisson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al networks and elderly welfare services affected to medical care utilization of elderly living alone, only who aware of their self-rated health status as bad. With this group,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amily and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medical care utilization. In contrast,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neighbors and the participa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 were significant to reduce the utilization of medical care.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elderly welfare services were also measured that formal social gathering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of elderly living alone by expansion of their social network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sequently has an implication for suggesting expansion of elderly welfare services, which might be an alternative to social networks of elderly living alone, and also for seeking the direction of political intervention that helps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through the research of medical care utilization.

      • KCI등재

        유치원장의 건강과 일: 유치원장의 갱년기 증상이 유치원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윤희수 ( Yoon Heesoo ),문성제 ( Moon Sungje ),최만규 ( Choi Manky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중년 유치원장의 갱년기 증상이 유치원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유치원장의 건강과 일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을 통해 갱년기 증상, 건강이 일에 미치는 영향, 건강에 대한 요구도(needs)라는 세 가지 주제를 범주화하였다. 먼저 갱년기 증상의 경우 유치원장이 경험하는 신체적, 심리적 증상과 갱년기 증상을 지각하지 못하는 상반된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건강이 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갱년기 증상의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유치원 운영에 미치는 영향과 사적 생활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갱년기증상의 영향은 오랜 시간 축적된 경험, 참여자들의 갱년기 극복을 위한 노력과 의지, 구성원들과의 지지 형성 그리고 유치원장 역할 수행의 보람으로 인해 상쇄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갱년기 증상의 극복을 위한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의 건강에 관한 요구도를 파악함에 있어 심리적 압박감과 건강이 우선순위가 되지 못함이라는 하위 주제가 발견되었다. 총 책임자라는 부담감으로 인해 심리적 압박감을 느꼈고 해야 할 일이 많아 건강보다 일이 우선순위가 되어 건강을 돌보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유치원장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통해 유아교육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갱년기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향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what effect kindergarten principals` menopausal symptoms has on their managerial work. We interviewed a total of 10 kindergarten principals aged 40-60 and analyzed the interview data based on the process of the thematic analysis. Regarding the menopausal symptoms, some of the participants perceived physical or emotional symptoms, while the others did not perceived them. As to the effect of health on work, the menopausal symptoms affected their private life as well as the kindergarten management. However, the participants tended to overcome the effect of menopausal symptoms with experience, will, effort, sense of reward from their work, and support from their coworkers.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have needs on health. They have not only physical symptoms including fatigue but also emotional pressure due to the role as a head of kindergarten. Moreover, health was not the priority and a subordinate to work.

      • KCI등재

        지방의료원의 재무적 효율성과 공공성 향상을 위한 관련 요인 분석

        김신아 ( Sinah Kim ),손민성 ( Minsung Sohn ),문성제 ( Sungje Moon ),윤희수 ( Heesoo Yoon ),최만규 ( Mankyu Choi ) 한국병원경영학회 2017 병원경영학회지 Vol.22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inancial integrity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public medical centers, and particularly focus on seeking ways to enhance its financial efficiency and publicness. The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33 local public medical centers was analyzed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to measure its financial efficiency. Then, Matrix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financial efficiency and publicness of local public medical centers with related factors. In the aspects of facilities and lo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ocal public medical centers which have larger number of available hospital beds or located in bigger cities were examined to have higher degree of publicness. In the aspect of human resources, greater number of doctors made both financial efficiency and the degree of publicness decreased, whereas higher participation rate of educational program for doctors affects increasing its financial efficiency and publicness. Lastly, in the aspect of costs, higher labor, material, and administrative cost diminished financial efficiency, but enhanced the degree of public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that enhancing the publicness of local public medical centers should be pursued by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with better facilities and location, and also concurrently organizing rational expenditure structure with appropriate cost investment to the resources of local public medical centers. Also, it is necessary to enhance both financial efficiency and publicness simultaneously by improving th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s through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medical staf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