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외 발열의류의 디자인 요소 및 발열시스템 분석

        김규연 ( Kyuyeon Kim ),김시연 ( Siyeon Kim ),임대영 ( Daeyoung Lim ),하지수 ( Jisoo Ha ),정원영 ( Wonyoung Jeong ) 한국의류산업학회 2021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heated clothing in relation to fashion trends by analyzing constructive components of clothing using product images and actual products. A total of 91 images of domestic and foreign heated clothing products were collected, and a product analysis conducted with six parameters of item classification, namely, concept and image, silhouette, color, number of heating elements, and heating parts. In addition, an in-depth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11 products among them, while focusing on further detailed components of the design and heating system. As a result, the overall exterior design of domestic products has been changed from outdoor clothing to daily clothing reflecting the current design trend. Compared with domestic products, foreign products showed a diverse assortment and a greater number of heating regions per individual item of clothing. The current heating system commonly consists of a heating element, power source, controller board, and wires, although the existence and type of switches differed from product to product. To develop a more efficiently heated clothing to expand the market, the design, ease of use, safety, consumer preference, heating functionality, and durability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design recommendations for future heated clothing, this study also provides a practical guide to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design of the components of heated clothing.

      • 오니류의 매립억제를 위한 에너지회수대상 확대가능성 평가

        김규연 ( Kyuyeon Kim ),문희성 ( Heesung Moon ),이수영 ( Suyoung Lee ),배지수 ( Jisu Bae ),전태완 ( Taewan Jeon ),신선경 ( Sunkyo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최근 정부는 매립지로 최종 처분되는 미처리폐기물의 매립제로화를 핵심국정과제로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또한 ‘자원순환기본법’ 제정 및 ‘폐기물관리법’ 개정으로 자원의 재활용 방향성을 확대하였고,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에서 2035년까지 폐기물 매립처분 비율을 1%까지 감소시키고자 목표를 설정하였다. 국내 전체폐기물 매립처리량은 37,907 톤/일로 발생량 대비 9.4% 매립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중 사업장배출시설계 폐기물의 매립처리량은 24,606 톤/일로 매립폐기물 중 약 6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이중 유·무기성 오니류의 비중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유·무기성오니를 배출사업장 업종별 오니류로 구분하여 성상분석에 따른 오니류의 특성을 파악하고, 매립억제와 관련한 경제적 유인책, 반입규제, 재활용활성화 방안 등의 조건 설정에 따른 감소량 산정, 경제적 유인책에 따른 매립억제 효과와 직접적인 반입기준 적용등에 따른 매립억제 가능량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재 국내 현황으로 토지개량제 등 생물학적 용도로서의 오니류 사용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수분 전처리를 통한 감량화 및 에너지회수를 위한 소각 등 열적처리 방안이 오니류의 매립비율 감소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오니류 매립저감 가능량의 산정 결과, 간접적인 폐기물처분부담금 등 경제적 매립억제 강화에 따른 건조·에너지회수 등 적극적 재활용을 통해 ‘15년 오니 매립량 중 약 40%의 매립처분량을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되었다.

      • 퇴비화 공정에서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분해에 관한 기초적 연구

        김규연 ( Kyuyeon Kim ),손지환 ( Jihwan Son ),전태완 ( Taewan Jeo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생물분해가능 플라스틱의 생분해성은 퇴비화 시설 및 매립지의 최종 분해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퇴비화 공정의 조건에서 바이오 폴리머의 호기성 생분해성에 대한 기초적 사례 실험을 수행하였다. 퇴비화의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해 성숙한 퇴비를 접종하고 호기성 퇴비의 층내에서 바이오 폴리머의 생분해도를 평가하였다. 용기를 이용한 재발열 시험은 퇴비의 부숙도 평가하였고, 바이오 폴리머의 퇴비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조에 의한 온도조절과 장치내 공기를 주입하였다. 퇴비층을 통과하는 공기는 하부를 통해 공급하였고, 용기 밖에 연결된 흡수병을 통과하여 배출하였다. PLA 펠릿을 평가대상 바이오 폴리머로 사용하였으며, 사례연구의 세부 사항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 매립지 굴착 선별물의 특성 분석에 관한 기초적 연구

        김규연 ( Kyuyeon Kim ),이수영 ( Suyoung Lee ),전태완 ( Taewan Jeon ),신선경 ( Sunkyo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매립지의 사용종료 및 폐기물 발생량 증가에 대비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신규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과 발생 폐기물의 재활용 및 에너지화 정책의 추진에 비해 매립지 자원화정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2009년도부터 신규매립지 부지난을 해소하고 비위생매립지 정비 등을 위해 120여개의 매립지역에 대하여 매립지 순환이용사업 및 매립지 개발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순환형 매립지 조성, 비위생 매립지 정비사업 및 택지개발 등 굴착이 진행되는 다양한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혼입굴착물질을 굴착·선별하여 가연성폐기물은 에너지로 회수하고 선별된 토사는 성토재, 복토재로 재활용할 수 있는 순환형매립지 정비사업을 통한 매립자원의 순환이용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의 택지개발공사, 순환형매립지조성, 비위생매립지정비에서 발생한 폐기물혼입물질의 굴착·선별이 진행되고 있는 현장의 선별가연물, 선별토사를 채취하여 특성분석을 통해 매립자원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선별가연물은 수선별하여 가연물, 불연물, 부착토사로 세분류하였다. 세분류한 결과 가연물은 20~70%, 불연물 4~38%. 부착토사 9~66%의 범위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선별토사의 이물질함유량은 한국산업표준(KS F 2576)에 따라 분석한 결과 0.2~10.7%로 나타났으며 성토용 순환골재의 품질기준에 유기이물질함 유량은 1.0% 이하의 기준치를 규정하고 있다.

      • 국내 폐기물혼입 굴착물의 선별ㆍ이용에 관한 연구

        김규연 ( Kyuyeon Kim ),이수영 ( Suyoung Lee ),전태완 ( Taewan Jeon ),이영기 ( Youngkee Lee ),조창식 ( Changsik Cho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과거 산업화와 경제발달 과정에서 폭발적으로 발생했던 폐기물이 충분히 재활용되지 못한 채 다양한 형태의 최종처분이 이루어졌다. 사전예방적 관리나 법률체계의 준비가 없던 시절에 이루어진 비위생적 매립처분이 빈번하였다. 최근 도시의 팽창과 개발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건설공사 현장의 굴착과정에서 폐기물이 혼입된 토양이 발생되기도 한다. 그 동안 정부는 순환형 매립지조성, 매립지 정비사업 및 택지개발공사 등 다양한 굴착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혼입 굴착물의 적정 관리와 효율적 자원회수를 위해 정비계획의 수립 및 관련 지침의 보완 등 친환경적 관리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폐기물 혼입 굴착물의 관리규정, 관리 동향, 굴착사례 및 관리기술, 선별공정 및 선별특성 조사 등을 살펴보았다. 선별기술은 주로 트롬멜스크린, 풍력, 갈퀴 등으로 구성된 일련의 선별과정을 통해 가연성분, 토사 및 기타 불연성 등으로 분리되어 외부 재활용 혹은 현장 복원에 이용된다. 2000년대 초반, 40여 건의 굴착ㆍ선별 기술의 특허나 환경신기술 등이 국내 등록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굴착사례는 비위생매립지 정비나 택지ㆍ대지개발과 관련한 경우의 비중이 높았다. 선별물 중 토사, 가연분, 불연분의 순으로 점유율이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선별 가연분의 경우 에너지 회수이용을 위해 부착토사량의 저감이 주요 요소임을 알 수 있었고, 토사는 이물질의 함량기준에 따라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가연성폐기물 자원회수시설 잔재물의 매립관리항목 연구

        김규연 ( Kyuyeon Kim ),이수영 ( Suyoung Lee ),문희성 ( Heesung Moon ),손지환 ( Jihwan Son ),전태완 ( Taewan Jeo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최근 산업발전에 따른 폐기물의 발생량과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되는 폐기물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환경의 제약에 따라 매년 증가하는 폐기물에 대해 “미처리폐기물의 매립제로화를 주요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35년까지 재활용가능 폐기물의 직매립을 금지하고, 에너지 회수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과 매립처분율 1% 이하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고형연료화 시설에서 발생하는 잔재물의 매립최소화를 위한 연구로, 고형연료의 생산수율 향상과 발생 잔재물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해 4개 사업장의 생활폐기물 고형연료시설 잔재물에 대한 국내·외 평가항목과 적정 관리 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현장적용 및 측정분석의 용이함과 데이터의 신뢰도 및 재현성을 고려할 때 생물학적 지표보다 화학적 지표로 발열량과 탄소(C)함량의 기준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적용기준의 수준은 유럽연합과 유사한 정도에서 우선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보다 편리한 시험방법의 적용이 필요한 경우 삼성분 분석에 따른 가연성분(VS)의 함량기준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생물기원 물질 (바이오매스) 함량의 지표로 용해선별법(SDM)시험방법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 KCI등재

        이미지를 매개로 하는 멀티모달 반지도학습

        김규연(Kyuyeon Kim),윤성의(Sung-Eui Yoon) 한국정보과학회 202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7 No.12

        멀티모달 데이터를 활용하는 학습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데이터를 서로 연관 지어 상호검색을 위한 특징을 추출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요구하는 새로운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현재까지, 이미지와 텍스트 및 이미지와 소리 데이터 간의 멀티모달 학습을 수행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이에 더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소리 및 텍스트 데이터를 상호 고려하는 반지도학습 방법을 적용한 모델을 제시한다. 해당 모델은 이미지, 소리, 텍스트를 자유로이 수용하여 각각에 대한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덧붙여, 멀티모달 학습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 랭킹 손실함수의 한계점을 보완한, 마진값이 이미지 피처 간 유사도에 따라 변하는 가변 마진 랭킹 손실함수를 적용하여 모델을 학습시킨다. 최종적으로, 위 방법을 통해 학습한 모델의 표현력을 평가하기 위해, 제로-샷텍스트-비디오 검색 성능을 중심으로 이종 데이터 간 상호검색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Multimodal learning methods have been widely used to extract features from different modalities of data, targeting cross-modal retrieval or accomplishing novel tasks that requir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iverse modalities of data.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multimodal learning methods by correlating image-text or image-audio. In this paper, we propose a half-supervised learning procedure that alternatively feeds image-audio and image-text pairs. With this training strategy, the model can ingest and extract features from all the given modalities; image, text, and audio, using an image as a bridge. Furthermor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vanilla ranking loss, we propose versatile margin ranking loss that scales the margin considering the similarity between image features. To evaluate the model"s representation quality with the proposed strategy, we analyze the quantitative results of cross-modal retrieval between different modalities, primarily focusing on zero-shot text-video retrieval.

      • 재활용 가능성 검토를 위한 사업장 열적처리폐기물의 특성 연구

        김규연 ( Kyuyeon Kim ),이수영 ( Suyoung Lee ),전태완 ( Taewan Jeon ),이영기 ( Youngkee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다양한 산업 활동에 따라 배출되는 폐기물 중 낮은 경제성 때문에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되는 폐기물이 증가하고 있다. 폐자원의 재활용 방향성을 확대하고 미처리폐기물의 매립 제로화를 추진하여 2035년 까지 폐기물 매립처분 비율을 1.0%까지 감소시키고자 목표를 설정하였다. 국내 전체 폐기물의 매립처분 비율은 2015년도 기준 9.2%(38,308 ton/day)이다. 이중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이 약 62%(23,577 ton/day)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무기성폐기물 중 열적처리 잔재물류의 매립량은 10,637 ton/day로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매립량의 45.1%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강열감량, 총유기탄소, XRF 등의 분석을 통하여 무기성폐기물의 물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사업장 제품 특성 및 배출 폐기물의 성상에 따라 성분 함량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XRF분석결과, 광재는 Fe 성분 비율이 2.3~69.9%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Fe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진의 경우 Mg, Al, Si, Ca 등 다양한 형태의 원소들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Ca 성분이 0.5~57.5%로 높게 나타났고 Si 성분이 1.3~55.6%로 나타났다. 연소재의 경우 대부분 Si, Ca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Si는 3.6~57.1%, Ca는 4.1~55.9%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에너지회수 및 열적감량을 통한 오니류의 매립저감 잠재량 평가

        김규연 ( Kyuyeon Kim ),문희성 ( Heesung Moon ),이수영 ( Suyoung Lee ),배지수 ( Jisu Bae ),전태완 ( Taewan Jeon ),신선경 ( Sunkyoung Shi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우리나라는 국토환경의 제한과 매년 증가되는 폐기물로 인한 대책으로 미처리폐기물의 매립제로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자원순환촉진법 제정을 통해 2035년까지 이용 가능한 폐기물의 직매립을 금지하여 매립비율을 1 % 이하로 목표하였다. 2015 국내 전체 폐기물의 매립처리량은 38,308 톤/일이며 이중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의 매립처리량은 23,577 톤/일로 약 62 %를 차지하고 있다.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인 유기성, 무기성오니류의 매립처리량은 8,926 톤/일로 매립제로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재활용과 감량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무기성오니류를 배출사업장 업종별로 구분하여 에너지회수로서 재활용 활성화 방안 등과 같은 간접적인 측면과 열적감량을 통한 감량과 같은 직접적인 측면을 통한 매립억제 가능량에 대해 고찰하였다. 유기성오니류의 경우 수분 전처리를 통한 감량화 및 에너지회수로 매립비율 감소효과가 오니류 매립처리량의 40 %의 감소가 예상되며, 무기성오니류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직접적인 반입기준을 강열감량 5 ~ 10 % 적용을 한다면 오니류 매립처리량의 73 % 매립처리량 감소가 가능할 것으로 추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